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abula.md b/pages.ko/common/tabula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330b4f5f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abula.md @@ -0,0 +1,28 @@ +# tabula + +> PDF 파일에서 테이블을 추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PDF에서 모든 테이블을 CSV 파일로 추출: + +`tabula -o {{파일.csv}} {{파일.pdf}}` + +- PDF에서 모든 테이블을 JSON 파일로 추출: + +`tabula --format JSON -o {{파일.json}} {{파일.pdf}}` + +- PDF의 1, 2, 3, 6 페이지에서 테이블 추출: + +`tabula --pages {{1-3,6}} {{파일.pdf}}` + +- PDF의 1 페이지에서 테이블을 추출하며, 분석할 페이지의 부분을 추측: + +`tabula --guess --pages {{1}} {{파일.pdf}}` + +- 셀 경계를 결정하기 위해 줄을 사용하여 PDF에서 모든 테이블 추출: + +`tabula --spreadsheet {{파일.pdf}}` + +- 셀 경계를 결정하기 위해 빈 공간을 사용하여 PDF에서 모든 테이블 추출: + +`tabula --no-spreadsheet {{파일.pdf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ac.md b/pages.ko/common/ta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c3abff88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ac.md @@ -0,0 +1,25 @@ +# tac + +> 파일을 역순으로 표시하고 연결. +> 같이 보기: `cat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파일들을 역순으로 연결: + +`tac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`stdin`을 역순으로 표시: + +`{{cat 경로/대상/파일}} | tac` + +- 특정 [s]eparator 사용: + +`tac -s {{구분자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특정 [r]egex를 [s]eparator로 사용: + +`tac -r -s {{구분자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각 파일 앞에 구분자 [b]efore 사용: + +`tac -b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ail.md b/pages.ko/common/tai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33b5eb51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ail.md @@ -0,0 +1,29 @@ +# tail + +>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표시. +> 같이 보기: `head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에서 마지막 'count' 줄 표시: + +`tail --lines {{줄_수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특정 줄 번호부터 파일 출력: + +`tail --lines +{{줄_수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주어진 파일의 끝에서 특정 바이트 수 출력: + +`tail --bytes {{바이트_수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주어진 파일의 마지막 줄을 출력하고 `Ctrl + C`를 누를 때까지 계속 읽기: + +`tail --follow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파일이 접근할 수 없는 경우에도 `Ctrl + C`를 누를 때까지 계속 읽기: + +`tail --retry --follow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'파일'의 마지막 'num' 줄을 표시하고 'n' 초마다 새로 고침: + +`tail --lines {{줄_수}} --sleep-interval {{초}} --follow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ailscale-file.md b/pages.ko/common/tailscale-fil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51d115a9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ailscale-file.md @@ -0,0 +1,13 @@ +# tailscale file + +> Tailscale 네트워크에서 연결된 장치 간에 파일을 전송. +> 현재 동일한 Tailscale 네트워크 내에서도 다른 사용자가 소유한 장치로 파일을 보내는 것은 지원하지 않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노드로 파일 전송: + +`sudo tailscale file cp {{경로/대상/파일}} {{호스트명|IP}}:` + +- 현재 노드로 전송된 파일을 특정 디렉토리에 저장: + +`sudo tailscale file get {{경로/대상/폴더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ailscale-ssh.md b/pages.ko/common/tailscale-ss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b6782dd4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ailscale-ssh.md @@ -0,0 +1,12 @@ +# tailscale ssh + +> Tailscale 머신에 SSH 접속 (리눅스 전용)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호스트에서 SSH 광고/비활성화: + +`sudo tailscale up --ssh={{true|false}}` + +- Tailscale-SSH가 활성화된 특정 호스트에 SSH 접속: + +`tailscale ssh {{사용자명}}@{{호스트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ailscale-up.md b/pages.ko/common/tailscale-u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d01c4dec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ailscale-up.md @@ -0,0 +1,37 @@ +# tailscale up + +> 클라이언트를 Tailscale 네트워크에 연결. +> 버전 1.8 이상에서는 명령줄 인수가 저장되어 덮어쓰거나 `--reset`을 호출할 때까지 재사용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ailscale에 연결: + +`sudo tailscale up` + +- 연결하고 현재 기기를 인터넷 트래픽의 종료 노드로 제공: + +`sudo tailscale up --advertise-exit-node` + +- 특정 노드를 인터넷 트래픽을 위한 종료 노드로 사용하여 연결: + +`sudo tailscale up --exit-node={{종료_노드_IP}}` + +- 연결하고 현재 노드로의 수신 연결 차단: + +`sudo tailscale up --shields-up` + +- 연결하고 관리자 패널의 DNS 구성을 수락하지 않음 (기본값은 `true`): + +`sudo tailscale up --accept-dns=false` + +- 연결하고 Tailscale을 서브넷 라우터로 구성: + +`sudo tailscale up --advertise-routes={{10.0.0.0/24,10.0.1.0/24,...}}` + +- 연결하고 Tailscale에서 서브넷 경로 수락: + +`sudo tailscale up --accept-routes` + +- 지정되지 않은 설정을 기본값으로 재설정하고 연결: + +`sudo tailscale up --reset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ailscale.md b/pages.ko/common/tailscal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a6a085d6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ailscale.md @@ -0,0 +1,37 @@ +# tailscale + +> 개인 WireGuard 네트워크 서비스. +> `up`와 같은 일부 하위 명령에는 자체 사용 설명서가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ailscale에 연결: + +`sudo tailscale up` + +- Tailscale에서 연결 해제: + +`sudo tailscale down` + +- 현재 Tailscale IP 주소 표시: + +`tailscale ip` + +- Tailscale 계층에서 피어 노드를 핑하고 각 응답에 대한 경로 표시: + +`tailscale ping {{IP|호스트명}}` + +- 로컬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하고 결과 표시: + +`tailscale netcheck` + +- Tailscale을 제어하기 위한 웹 서버 시작: + +`tailscale web` + +- 문제 진단을 돕기 위한 공유 가능한 식별자 표시: + +`tailscale bugreport` + +- 하위 명령에 대한 도움말 표시: + +`tailscale {{하위_명령}}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akeout.md b/pages.ko/common/takeou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103c5787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akeout.md @@ -0,0 +1,36 @@ +# takeout + +> Docker 기반의 개발 전용 의존성 관리자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사용 가능한 서비스 목록 표시: + +`takeout enable` + +- 특정 서비스 활성화: + +`takeout enable {{이름}}` + +- 기본 매개변수로 특정 서비스 활성화: + +`takeout enable --default {{이름}}` + +- 활성화된 서비스 목록 표시: + +`takeout disable` + +- 특정 서비스 비활성화: + +`takeout disable {{이름}}` + +- 모든 서비스 비활성화: + +`takeout disable --all` + +- 특정 컨테이너 시작: + +`takeout start {{컨테이너_ID}}` + +- 특정 컨테이너 중지: + +`takeout stop {{컨테이너_ID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ar.md b/pages.ko/common/ta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95d750e9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ar.md @@ -0,0 +1,37 @@ +# tar + +> 아카이브 유틸리티. +> 종종 `gzip` 또는 `bzip2`와 같은 압축 방법과 결합하여 사용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아카이브 생성 후 파일로 저장: + +`tar cf {{경로/대상/파일.tar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g[z]ipped 아카이브 생성 후 파일로 저장: + +`tar czf {{경로/대상/파일.tar.gz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디렉토리에서 상대 경로를 사용하여 g[z]ipped (압축된) 아카이브 생성: + +`tar czf {{경로/대상/파일.tar.gz}} --directory={{경로/대상/폴더}} .` + +- (압축된) 아카이브 파일을 현재 디렉토리에 상세히 추출: + +`tar xvf {{경로/대상/원본.tar[.gz|.bz2|.xz]}}` + +- (압축된) 아카이브 파일을 대상 디렉토리에 추출: + +`tar xf {{경로/대상/원본.tar[.gz|.bz2|.xz]}} --directory=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파일 확장자를 사용하여 압축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결정하고 압축 아카이브 생성 후 파일로 저장: + +`tar caf {{경로/대상/파일.tar.xz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tar 파일의 내용을 상세히 목록화: + +`tar tvf {{경로/대상/원본.tar}}` + +- 아카이브 파일에서 패턴과 일치하는 파일 추출: + +`tar xf {{경로/대상/원본.tar}} --wildcards "{{*.html}}"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arsnap-keygen.md b/pages.ko/common/tarsnap-keyge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459b4626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arsnap-keygen.md @@ -0,0 +1,12 @@ +# tarsnap-keygen + +> Tarsnap, 온라인 백업 서비스에서 사용할 키 파일을 생성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arsnap 서버에 컴퓨터 등록: + +`sudo tarsnap-keygen --keyfile {{경로/대상/파일.key}} --user {{사용자_이메일}} --machine {{컴퓨터_이름}}` + +- 키 파일 암호화(암호문을 두 번 입력해야 함): + +`sudo tarsnap-keygen --keyfile {{경로/대상/파일.key}} --user {{사용자_이메일}} --machine {{컴퓨터_이름}} --passphrased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arsnap.md b/pages.ko/common/tarsna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8e61189b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arsnap.md @@ -0,0 +1,34 @@ +# tarsnap + +> 원격 Tarsnap 암호화 백업을 조작. +> 참고: `/usr/local/etc/tarsnap.conf` 또는 `~/.tarsnaprc`에서 설정하면 키 파일과 캐시 디렉토리를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. +> 같이 보기: `tarsnap-keygen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하나 이상의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대한 백업 아카이브 생성, 암호화 키와 캐시 디렉토리 지정: + +`tarsnap -c --keyfile {{경로/대상/키_파일}} --cachedir {{경로/대상/캐시_디렉토리}} -f {{아카이브_이름}}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디렉토리1 경로/대상/파일_또는_디렉토리2 ...}}` + +- 업로드될 데이터 양 표시: + +`tarsnap -c --dry-run --print-stats --keyfile {{경로/대상/키_파일}} --cachedir {{경로/대상/캐시_디렉토리}} -f {{아카이브_이름}}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디렉토리1 경로/대상/파일_또는_디렉토리2 ...}}` + +- 저장된 아카이브 목록 표시: + +`tarsnap --list-archives --keyfile {{경로/대상/키_파일}}` + +- 특정 아카이브 삭제: + +`tarsnap -d --keyfile {{경로/대상/키_파일}} --cachedir {{경로/대상/캐시_디렉토리}} -f {{아카이브_이름}}` + +- 특정 아카이브의 내용을 상세 모드로 목록화: + +`tarsnap -tv --keyfile {{경로/대상/키_파일}} -f {{아카이브_이름}}` + +- 특정 아카이브에서 하나 이상의 파일 또는 디렉토리 복원: + +`tarsnap -x --keyfile {{경로/대상/키_파일}} -f {{아카이브_이름}}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디렉토리1 경로/대상/파일_또는_디렉토리2 ...}}` + +- 아카이브 복사: + +`tarsnap -c --keyfile {{경로/대상/키_파일}} -f {{새_아카이브_이름}} @@{{원본_아카이브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ask.md b/pages.ko/common/tas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44952303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ask.md @@ -0,0 +1,36 @@ +# task + +> 명령줄 할 일 목록 관리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내일까지 완료해야 할 새로운 작업 추가: + +`task add {{설명}} due:{{내일}}` + +- 작업의 우선순위 업데이트: + +`task {{작업_ID}} modify priority:{{H|M|L}}` + +- 작업 완료: + +`task {{작업_ID}} done` + +- 작업 삭제: + +`task {{작업_ID}} delete` + +- 모든 열려 있는 작업 나열: + +`task list` + +- 이번 주 말까지 마감인 열려 있는 작업 나열: + +`task list due.before:{{주말}}` + +- 일별 그래픽 번다운 차트 표시: + +`task burndown.daily` + +- 모든 보고서 나열: + +`task reports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b.md b/pages.ko/common/tb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63ae8290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b.md @@ -0,0 +1,28 @@ +# tb + +> 여러 보드에서 작업과 메모를 관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보드에 새 작업 추가: + +`tb --task {{작업_설명}} @{{보드_이름}}` + +- 보드에 새 메모 추가: + +`tb --note {{메모_설명}} @{{보드_이름}}` + +- 항목의 우선순위 수정: + +`tb --priority @{{항목_ID}} {{우선순위}}` + +- 항목 체크/체크 해제: + +`tb --check {{항목_ID}}` + +- 체크된 모든 항목 아카이브: + +`tb --clear` + +- 항목을 다른 보드로 이동: + +`tb --move @{{항목_ID}} {{보드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bl.md b/pages.ko/common/tb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c3ea128c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bl.md @@ -0,0 +1,13 @@ +# tbl + +> groff (GNU Troff) 문서 형식 시스템을 위한 테이블 전처리기. +> 같이 보기: `groff`, `troff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입력에 포함된 테이블을 처리하여, 후에 groff로 PostScript 형식으로 조판할 수 있도록 출력 저장: + +`tbl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}} > {{경로/대상/출력.roff}}` + +- [me] 매크로 패키지를 사용하여 테이블이 있는 입력을 PDF로 조판: + +`tbl -T {{pdf}} {{경로/대상/입력.tbl}} | groff -{{me}} -T {{pdf}} > {{경로/대상/출력.pdf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cc.md b/pages.ko/common/tc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264162c9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cc.md @@ -0,0 +1,16 @@ +# tcc + +> C 소스 파일을 스크립트처럼 실행할 수 있는 작은 C 컴파일러로, `gcc`와 유사한 명령줄 옵션을 제공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두 개의 소스 파일을 컴파일하고 링크하여 실행 파일 생성: + +`tcc -o {{실행_파일_이름}} {{경로/대상/파일1.c}} {{경로/대상/파일2.c}}` + +- 입력 파일을 스크립트처럼 직접 실행하고 인자를 전달: + +`tcc -run {{경로/대상/소스_파일.c}} {{인자들}}` + +- 파일 내에 shebang을 사용하여 C 소스 파일 해석: + +`#!{{/전체/경로/대상/tcc}} -run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csh.md b/pages.ko/common/tcs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81205499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csh.md @@ -0,0 +1,29 @@ +# tcsh + +> 파일 이름 자동 완성과 명령 줄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C 셸. +> 같이 보기: `csh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상호작용 셸 세션 시작: + +`tcsh` + +- 시작 구성 파일을 로드하지 않고 상호작용 셸 세션 시작: + +`tcsh -f` + +- 특정 [c]명령 실행: + +`tcsh -c "{{echo 'tcsh is executed'}}"` + +- 특정 스크립트 실행: + +`tcsh {{경로/대상/스크립트.tcsh}}` + +- 특정 스크립트의 구문 오류 검사: + +`tcsh -n {{경로/대상/스크립트.tcsh}}` + +- `stdin`에서 특정 명령 실행: + +`{{echo "echo 'tcsh is executed'"}} | tcsh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a.md b/pages.ko/common/tea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e189e5ea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a.md @@ -0,0 +1,32 @@ +# tea + +> Gitea 서버와 상호 작용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Gitea 서버에 로그인: + +`tea login add --name "{{이름}}" --url "{{URL}}" --token "{{토큰}}"` + +- 모든 저장소 표시: + +`tea repos ls` + +- 이슈 목록 표시: + +`tea issues ls` + +- 특정 저장소의 이슈 목록 표시: + +`tea issues ls --repo "{{저장소}}"` + +- 새 이슈 생성: + +`tea issues create --title "{{제목}}" --body "{{본문}}"` + +- 열려 있는 풀 리퀘스트 목록 표시: + +`tea pulls ls` + +- 현재 저장소를 브라우저에서 열기: + +`tea open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ctonic.md b/pages.ko/common/tectoni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37d152bb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ctonic.md @@ -0,0 +1,28 @@ +# tectonic + +> 현대적이고 독립적인 TeX/LaTeX 엔진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독립적인 TeX/LaTeX 파일 컴파일: + +`tectonic -X compile {{경로/대상/파일.tex}}` + +- SyncTeX 데이터를 사용하여 독립적인 TeX/LaTeX 파일 컴파일: + +`tectonic -X compile --synctex {{경로/대상/파일.tex}}` + +- 현재 디렉토리에 tectonic 프로젝트 초기화: + +`tectonic -X init` + +- 지정된 디렉토리에 tectonic 프로젝트 초기화: + +`tectonic -X new {{프로젝트_이름}}` + +- 현재 디렉토리의 프로젝트 빌드: + +`tectonic -X build` + +- 변경 시 현재 디렉토리의 프로젝트를 빌드하는 감시자 시작: + +`tectonic -X watch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e.md b/pages.ko/common/te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f71c83a6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e.md @@ -0,0 +1,20 @@ +# tee + +> `stdin`에서 읽고 `stdout` 및 파일(또는 명령어)로 쓰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stdin`을 각 파일과 `stdout`으로 복사: + +`echo "example" | tee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주어진 파일에 덧붙이기, 덮어쓰지 않음: + +`echo "example" | tee -a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`stdin`을 터미널에 출력하고, 다른 프로그램으로 파이프하여 추가 처리: + +`echo "example" | tee {{/dev/tty}} | {{xargs printf "[%s]"}}` + +- "example"이라는 디렉터리 만들기, "example"의 문자 수 세기, "example"을 터미널에 쓰기: + +`echo "example" | tee >(xargs mkdir) >(wc -c)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legram-desktop.md b/pages.ko/common/telegram-deskto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092d52b6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legram-desktop.md @@ -0,0 +1,16 @@ +# telegram-desktop + +> 오픈 소스 클라이언트, 채팅 및 스티커를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신저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GUI 시작: + +`telegram-desktop` + +- 허용된 경우 자동 시작으로 GUI 실행: + +`telegram-desktop -autostart` + +- 트레이에 최소화된 상태로 GUI 실행: + +`telegram-desktop -startintray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rmdown.md b/pages.ko/common/termdow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e696860b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rmdown.md @@ -0,0 +1,24 @@ +# termdown + +> 명령줄을 위한 카운트다운 타이머와 스톱워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스톱워치 시작: + +`termdown` + +- 1분 30초 카운트다운 시작: + +`termdown {{1m30s}}` + +- 1분 30초 카운트다운을 시작하고 종료 시 터미널 깜빡이기: + +`termdown {{1m30s}} --blink` + +- 카운트다운 위에 제목 표시: + +`termdown {{1m30s}} --title "{{흥미로운 제목}}"` + +- 현재 시간 표시: + +`termdown --time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rminalizer.md b/pages.ko/common/terminaliz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03adfa51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rminalizer.md @@ -0,0 +1,25 @@ +# terminalizer + +> 터미널을 기록하고, 애니메이션 GIF 및 웹 플레이어를 생성하며, 선택적으로 에 업로드. +> 같이 보기: `asciinema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전역 설정 디렉토리 생성: + +`terminalizer init` + +- 터미널을 기록하고 녹화 파일 생성: + +`terminalizer record {{경로/대상/녹화.gif}}` + +- 녹화된 파일을 터미널에서 재생: + +`terminalizer play {{경로/대상/녹화.gif}}` + +- 녹화 파일을 애니메이션 GIF 이미지로 렌더링: + +`terminalizer render {{경로/대상/녹화.gif}}` + +- 비디오를 에 업로드: + +`terminalizer share {{경로/대상/녹화.gif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rraform-fmt.md b/pages.ko/common/terraform-fm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e8b66b5c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rraform-fmt.md @@ -0,0 +1,20 @@ +# terraform fmt + +> Terraform 언어 스타일 규칙에 따라 설정 파일을 포맷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디렉토리의 설정 파일을 포맷: + +`terraform fmt` + +- 현재 디렉토리 및 하위 디렉토리의 설정 파일을 포맷: + +`terraform fmt -recursive` + +- 포맷팅 변경 사항의 차이를 표시: + +`terraform fmt -diff` + +- 포맷된 파일을 `stdout`에 나열하지 않음: + +`terraform fmt -list=false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rraform-output.md b/pages.ko/common/terraform-outpu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0be989bc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rraform-output.md @@ -0,0 +1,20 @@ +# terraform output + +> Terraform 리소스에 대한 구조화된 데이터를 내보내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추가 인수 없이, `output`은 루트 모듈의 모든 출력을 표시: + +`terraform output` + +- 특정 이름의 값만 출력: + +`terraform output {{이름}}` + +- 출력 값을 일반 문자열로 변환 (쉘 스크립트에 유용): + +`terraform output -raw` + +- 출력을 각 출력별 키가 있는 JSON 객체로 포맷 (jq와 함께 사용 시 유용): + +`terraform output -json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rraform-plan.md b/pages.ko/common/terraform-pla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5edb5d2e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rraform-plan.md @@ -0,0 +1,32 @@ +# terraform plan + +> Terraform 실행 계획을 생성하고 보여줍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디렉토리에서 실행 계획 생성 및 보기: + +`terraform plan` + +- 현재 존재하는 모든 원격 객체를 삭제하는 계획 보기: + +`terraform plan -destroy` + +- Terraform 상태 및 출력 값을 업데이트하는 계획 보기: + +`terraform plan -refresh-only` + +- 입력 변수에 대한 값 지정: + +`terraform plan -var '{{이름1}}={{값1}}' -var '{{이름2}}={{값2}}'` + +- 특정 리소스 하위 집합에만 Terraform의 주의 집중: + +`terraform plan -target {{resource_type.resource_name[인스턴스 인덱스]}}` + +- 계획을 JSON으로 출력: + +`terraform plan -json` + +- 특정 파일에 계획 기록: + +`terraform plan -no-color >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rraform.md b/pages.ko/common/terrafor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d890a378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rraform.md @@ -0,0 +1,28 @@ +# terraform + +> 코드로 인프라를 생성하고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배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 또는 기존 Terraform 구성 초기화: + +`terraform init` + +- 구성 파일의 구문이 올바른지 확인: + +`terraform validate` + +- Terraform 언어 스타일 규칙에 따라 구성 포맷팅: + +`terraform fmt` + +- 실행 계획 생성 및 표시: + +`terraform plan` + +- 인프라 생성 또는 변경: + +`terraform apply` + +- Terraform에서 관리하는 인프라 파괴: + +`terraform destroy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rragrunt.md b/pages.ko/common/terragrun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6ad573e0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rragrunt.md @@ -0,0 +1,28 @@ +# terragrunt + +> Terraform CLI 인수를 DRY하게 유지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실행 계획 생성 및 표시: + +`terragrunt plan` + +- 인프라 생성 또는 변경: + +`terragrunt apply` + +- 현재 배포 상태 표시: + +`terragrunt show` + +- 모듈 출력 값 표시: + +`terragrunt output` + +- Terraform이 관리하는 인프라 파괴: + +`terragrunt destroy` + +- Terragrunt 모듈 트리(스택)에서 인프라 생성 또는 변경: + +`terragrunt run-all apply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sseract.md b/pages.ko/common/tesserac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8b6c3a51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sseract.md @@ -0,0 +1,24 @@ +# tesseract + +> OCR (Optical Character Recognition) 엔진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`output.txt`에 저장 (`.txt` 확장자는 자동으로 추가됨): + +`tesseract {{이미지.png}} {{출력}}` + +- ISO 639-2 코드로 사용자 정의 언어 지정 (기본값은 영어, 예: deu = Deutsch = 독일어): + +`tesseract -l deu {{이미지.png}} {{출력}}` + +- 사용 가능한 언어의 ISO 639-2 코드 나열: + +`tesseract --list-langs` + +- 사용자 정의 페이지 세분화 모드 지정 (기본값은 3): + +`tesseract -psm {{0에서_10}} {{이미지.png}} {{출력}}` + +- 페이지 세분화 모드 및 설명 나열: + +`tesseract --help-psm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st.md b/pages.ko/common/tes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f8bae36a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st.md @@ -0,0 +1,25 @@ +# test + +> 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값을 비교. +> 조건이 참이면 0을 반환하고, 거짓이면 1을 반환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주어진 변수가 특정 문자열과 같은지 확인: + +`test "{{$MY_VAR}}" = "{{/bin/zsh}}"` + +- 주어진 변수가 비어 있는지 확인: + +`test -z "{{$GIT_BRANCH}}"` + +-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: + +`test -f "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"` + +-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는지 확인: + +`test ! -d "{{경로/대상/폴더}}"` + +- A가 참이면 B를 실행하고, 오류가 발생하면 C를 실행 (A가 실패해도 C가 실행될 수 있음): + +`test {{조건}} && {{echo "true"}} || {{echo "false"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stssl.md b/pages.ko/common/testss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c2c84e89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stssl.md @@ -0,0 +1,28 @@ +# testssl + +> 서버에서 지원하는 SSL/TLS 프로토콜 및 암호를 확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서버 테스트 (모든 검사를 실행) 포트 443에서: + +`testssl {{example.com}}` + +- 다른 포트 테스트: + +`testssl {{example.com:465}}` + +-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만 확인: + +`testssl --protocols {{example.com}}` + +- 취약점만 확인: + +`testssl --vulnerable {{example.com}}` + +- HTTP 보안 헤더만 확인: + +`testssl --headers {{example.com}}` + +- 다른 STARTTLS 지원 프로토콜 테스트: + +`testssl --starttls {{ftp|smtp|pop3|imap|xmpp|sieve|xmpp-server|telnet|ldap|irc|lmtp|nntp|postgres|mysql}} {{example.com}}:{{포트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x.md b/pages.ko/common/tex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a6ed345b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x.md @@ -0,0 +1,16 @@ +# tex + +> TeX 소스 파일에서 DVI 문서를 컴파일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DVI 문서 컴파일: + +`tex {{소스.tex}}` + +- 출력 폴더를 지정하여 DVI 문서 컴파일: + +`tex -output-directory={{경로/대상/폴더}} {{소스.tex}}` + +- 각 오류 발생 시 종료하며 DVI 문서 컴파일: + +`tex -halt-on-error {{소스.tex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xcount.md b/pages.ko/common/texcoun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1e3dd265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xcount.md @@ -0,0 +1,25 @@ +# texcount + +> TeX 문서에서 매크로를 제외하고 단어 수를 세기. +> 참고: TeX 문서가 `\include` 또는 `\input`을 사용하고 포함된 파일을 세려면, `texcount`를 루트 TeX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에서 실행해야 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eX 파일의 단어 수 세기: + +`texcount {{경로/대상/파일.tex}}` + +- `\input` 또는 `\include`로 구성된 문서 및 하위 문서의 단어 수 세기: + +`texcount -merge {{파일.tex}}` + +- 문서 및 하위 문서의 단어 수를 세고 각 파일을 별도로 나열 (총 단어 수 포함): + +`texcount -inc {{파일.tex}}` + +- 문서 및 하위 문서의 단어 수를 세고 각 챕터별로 세부 카운트 제공 (하위 섹션 대신): + +`texcount -merge -sub=chapter {{파일.tex}}` + +- 자세한 출력과 함께 단어 수 세기: + +`texcount -v {{경로/대상/파일.tex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xdoc.md b/pages.ko/common/texdo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b5c7a4e5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xdoc.md @@ -0,0 +1,16 @@ +# texdoc + +> (La)TeX 명령어 또는 패키지에 대한 적절한 문서를 검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첫 번째 검색 결과를 기본 PDF 뷰어로 열기: + +`texdoc {{검색어}}` + +- 가장 적합한 검색 결과 나열: + +`texdoc --list {{검색어}}` + +- texdoc의 전체 문서 열기: + +`texdoc {{texdoc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xliveonfly.md b/pages.ko/common/texliveonfl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327b2b16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xliveonfly.md @@ -0,0 +1,16 @@ +# texliveonfly + +> `.tex` 파일을 컴파일하는 동안 누락된 TeX Live 패키지를 다운로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컴파일하는 동안 누락된 패키지 다운로드: + +`texliveonfly {{소스.tex}}` + +- 특정 컴파일러 사용 (`pdflatex`가 기본값): + +`texliveonfly --compiler={{컴파일러}} {{소스.tex}}` + +- 사용자 지정 TeX Live `bin` 폴더 사용: + +`texliveonfly --texlive_bin={{경로/대상/texlive_bin}} {{소스.tex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extql.md b/pages.ko/common/textq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7c5df96b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extql.md @@ -0,0 +1,28 @@ +# textql + +> CSV 또는 TSV 파일과 같은 구조화된 텍스트에 대해 SQL을 실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CSV 파일에서 SQL 쿼리와 일치하는 줄을 `stdout`에 출력: + +`textql -sql "{{SELECT * FROM filename}}" {{경로/대상/파일명.csv}}` + +- TSV 파일 쿼리: + +`textql -dlm=tab -sql "{{SELECT * FROM filename}}" {{경로/대상/파일명.tsv}}` + +- 헤더 행이 있는 파일 쿼리: + +`textql -dlm={{구분자}} -header -sql "{{SELECT * FROM filename}}" {{경로/대상/파일명.csv}}` + +- `stdin`에서 데이터 읽기: + +`cat {{경로/대상/파일}} | textql -sql "{{SELECT * FROM stdin}}"` + +- 지정된 공통 열로 두 파일 조인: + +`textql -header -sql "SELECT * FROM {{경로/대상/파일1}} JOIN {{파일2}} ON {{경로/대상/파일1}}.{{c1}} = {{파일2}}.{{c1}} LIMIT {{10}}" -output-header {{경로/대상/파일1.csv}} {{경로/대상/파일2.csv}}` + +- 출력 구분자와 출력 헤더 라인을 사용하여 출력 형식 지정: + +`textql -output-dlm={{구분자}} -output-header -sql "SELECT {{열}} AS {{별칭}} FROM {{파일명}}" {{경로/대상/파일명.csv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gatoppm.md b/pages.ko/common/tgatopp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c5a207c4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gatoppm.md @@ -0,0 +1,20 @@ +# tgatoppm + +> TrueVision Targa 파일을 Netpbm 이미지로 변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rueVision Targa 파일을 PPM 이미지로 변환: + +`tgatoppm {{경로/대상/파일.tga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 + +- TGA 헤더의 정보를 `stdout`로 덤프: + +`tgatoppm --headerdump {{경로/대상/파일.tga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 + +- 입력 이미지의 투명 채널 값을 지정한 파일에 작성: + +`tgatoppm --alphaout {{경로/대상/투명도_파일.pgm}} {{경로/대상/파일.tga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 + +- 버전 표시: + +`tgatoppm -version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gpt.md b/pages.ko/common/tgp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ec5c464a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gpt.md @@ -0,0 +1,37 @@ +# tgpt + +> API 키가 필요 없는 AI 챗봇과 대화. +> 사용 가능한 공급자: `openai`, `opengpts`, `koboldai`, `phind`, `llama2`, `blackboxai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공급자(GPT-3.5-turbo)와 대화: + +`tgpt "{{프롬프트}}"` + +- [m]ulti-line 대화형 모드 시작: + +`tgpt --multiline` + +- [i]mages 생성 후 현재 디렉토리에 저장: + +`tgpt --image "{{프롬프트}}"` + +- 기본 공급자(GPT-3.5-turbo)로 [c]ode 생성: + +`tgpt --code "{{프롬프트}}"` + +- 특정 공급자와 [q]uiet 모드(애니메이션 없이)로 대화: + +`tgpt --provider {{openai|opengpts|koboldai|phind|llama2|blackboxai}} --quiet --whole "{{프롬프트}}"` + +- 특정 공급자를 사용하여 [s]hell 명령 생성 및 실행(확인 프롬프트 포함): + +`tgpt --provider {{llama2}} --shell "{{프롬프트}}"` + +- API 키, 모델, 최대 응답 길이, 온도, `top_p`를 사용하여 프롬프트( `openai` 공급자를 사용할 때 필요): + +`tgpt --provider openai --key "{{API_키}}" --model "{{gpt-3.5-turbo}}" --max-length {{10}} --temperature {{0.7}} --top_p {{0.9}} "{{프롬프트}}"` + +- 추가 사전 프롬프트 입력으로 파일 삽입: + +`tgpt --provider {{blackboxai}} "{{프롬프트}}" <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heharvester.md b/pages.ko/common/theharvest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a81a3f8c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heharvester.md @@ -0,0 +1,24 @@ +# theHarvester + +> 침투 테스트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Google을 사용하여 도메인에 대한 정보 수집: + +`theHarvester --domain {{도메인_이름}} --source google` + +- 여러 소스를 사용하여 도메인에 대한 정보 수집: + +`theHarvester --domain {{도메인_이름}} --source {{duckduckgo,bing,crtsh}}` + +- 결과 제한 변경: + +`theHarvester --domain {{도메인_이름}} --source {{google}} --limit {{200}}` + +- XML 및 HTML 형식으로 출력 파일 두 개로 저장: + +`theHarvester --domain {{도메인_이름}} --source {{google}} --file {{출력_파일_이름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theHarvester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hinkjettopbm.md b/pages.ko/common/thinkjettopb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19f2ab43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hinkjettopbm.md @@ -0,0 +1,12 @@ +# thinkjettopbm + +> HP ThinkJet 프린터 명령 파일을 PBM 파일로 변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HP ThinkJet 프린터 명령 파일을 PBM 파일로 변환: + +`thinkjettopbm {{경로/대상/입력}} > {{경로/대상/출력.pbm}}` + +- 디버그 정보를 `stderr`에 출력: + +`thinkjettopbm -d {{경로/대상/입력}} > {{경로/대상/출력.pbm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hunderbird.md b/pages.ko/common/thunderbir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6b80e4c2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hunderbird.md @@ -0,0 +1,16 @@ +# thunderbird + +> 이메일 클라이언트 및 RSS 리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hunderbird 열기: + +`thunderbird` + +- 특정 사용자 프로필 사용: + +`thunderbird -P {{프로필_이름}}` + +- 특정 사용자 프로필 디렉토리 사용: + +`thunderbird --profile {{경로/대상/프로필/디렉토리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idy.md b/pages.ko/common/tid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003712c9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idy.md @@ -0,0 +1,17 @@ +# tidy + +> HTML, XHTML 및 XML 파일을 정리하고 보기 좋게 출력. +> 참고: `tidy`는 원래 들여쓰기를 보존할 수 없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HTML 파일을 보기 좋게 출력: + +`tidy {{경로/대상/파일.html}}` + +- [i]ndentation을 활성화하고, 줄을 100으로 [w]rapping하여 `output.html`에 저장: + +`tidy --indent y --wrap 100 -output {{경로/대상/output.html}} {{경로/대상/파일.html}}` + +- 설정 파일을 사용하여 HTML 파일을 직접 수정: + +`tidy -config {{경로/대상/설정}} -modify {{경로/대상/파일.html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ifftopnm.md b/pages.ko/common/tifftopn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0da8308d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ifftopnm.md @@ -0,0 +1,20 @@ +# tifftopnm + +> TIFF 이미지를 PNM 이미지로 변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IFF를 PNM 파일로 변환: + +`tifftopnm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tiff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pnm}}` + +- 입력 이미지의 알파 채널을 포함하는 PGM 파일 생성: + +`tifftopnm -alphaout {{경로/대상/알파_파일.pgm}}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tiff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pnm}}` + +- 입력 TIFF 이미지의 `fillorder` 태그 고려: + +`tifftopnm -respectfillorder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tiff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pnm}}` + +- TIFF 헤더 정보를 `stderr`에 출력: + +`tifftopnm -headerdump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.tiff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pnm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ig.md b/pages.ko/common/ti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c1df3034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ig.md @@ -0,0 +1,33 @@ +# tig + +> 설정 가능한 `ncurses` 기반 Git TUI. +> 같이 보기: `gitui`, `git-gui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커밋부터 시작하여 시간 역순으로 커밋 순서 표시: + +`tig` + +- 특정 브랜치의 히스토리 표시: + +`tig {{브랜치}}` + +- 특정 파일 또는 폴더의 히스토리 표시: + +`tig {{경로1 경로2 ...}}` + +- 두 참조(예: 브랜치 또는 태그) 간의 차이 표시: + +`tig {{기준_참조}}..{{비교_참조}}` + +- 모든 브랜치와 스태시의 커밋 표시: + +`tig --all` + +- 스태시 보기에서 시작하여 저장된 모든 스태시 표시: + +`tig stash` + +- TUI에서 도움말 표시: + +`h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ime.md b/pages.ko/common/tim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898e9acc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ime.md @@ -0,0 +1,13 @@ +# time + +> 명령어 실행 시간을 측정. +> 참고: `time`은 셸 내장 명령어이거나 독립 실행형 프로그램이거나 둘 다일 수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command`를 실행하고 시간 측정 결과를 `stdout`에 출력: + +`time {{명령어}}` + +- 매우 간단한 스톱워치 생성 (Bash에서만 작동): + +`time read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imeout.md b/pages.ko/common/timeou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a5e3d2a0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imeout.md @@ -0,0 +1,24 @@ +# timeout + +> 명령을 일정 시간 제한 내에서 실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sleep 10`을 실행하고 3초 후 종료: + +`timeout 3s sleep 10` + +- 시간 제한이 만료되면 명령에 [s]ignal을 전송 (`TERM`이 기본, 모든 신호 목록은 `kill -l`): + +`timeout --signal {{INT|HUP|KILL|...}} {{5s}} {{sleep 10}}` + +- 시간 초과 시 전송된 신호를 `stderr`에 [v]erbose 출력으로 표시: + +`timeout --verbose {{0.5s|1m|1h|1d|...}} {{명령}}` + +- 시간 초과 여부와 관계없이 명령의 종료 상태를 유지: + +`timeout --preserve-status {{1s|1m|1h|1d|...}} {{명령}}` + +- 초기 신호를 무시할 경우 특정 시간 후 강제 `KILL` 신호 전송: + +`timeout --kill-after={{5m}} {{30s}} {{명령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imetrap.md b/pages.ko/common/timetra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8577028d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imetrap.md @@ -0,0 +1,20 @@ +# timetrap + +> Ruby로 작성된 간단한 명령줄 시간 추적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 타임시트 생성: + +`timetrap sheet {{타임시트}}` + +- 5분 전에 시작된 항목 체크인: + +`timetrap in --at "{{5분 전}}" {{항목_노트}}` + +- 현재 타임시트 표시: + +`timetrap display` + +- 마지막 항목의 종료 시간 수정: + +`timetrap edit --end {{시간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imew.md b/pages.ko/common/timew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256d6ada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imew.md @@ -0,0 +1,24 @@ +# timew + +> 활동의 지속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추적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추적할 활동에 태그 이름을 부여하여 새 스톱워치 시작: + +`timew start {{활동_태그}}` + +- 실행 중인 스톱워치 보기: + +`timew` + +- 주어진 태그 이름으로 스톱워치 중지: + +`timew stop {{활동_태그}}` + +- 실행 중인 모든 스톱워치 중지: + +`timew stop` + +- 추적된 항목 보기: + +`timew summary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imidity.md b/pages.ko/common/timidit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1a4a527d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imidity.md @@ -0,0 +1,24 @@ +# timidity + +> MIDI 파일을 재생하고 변환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MIDI 파일 재생: + +`timidity {{경로/대상/파일.mid}}` + +- MIDI 파일을 반복 재생: + +`timidity --loop {{경로/대상/파일.mid}}` + +- 특정 조로 MIDI 파일 재생 (0 = 다장조/가단조, -1 = 바장조/라단조, +1 = 사장조/마단조 등): + +`timidity --force-keysig={{-플랫|+샤프}} {{경로/대상/파일.mid}}` + +- MIDI 파일을 PCM (WAV) 오디오로 변환: + +`timidity --output-mode={{w}} --output-file={{경로/대상/파일.wav}} {{경로/대상/파일.mid}}` + +- MIDI 파일을 FLAC 오디오로 변환: + +`timidity --output-mode={{F}} --output-file={{경로/대상/파일.flac}} {{경로/대상/파일.mid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ldr-lint.md b/pages.ko/common/tldr-lin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bca3ab8d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ldr-lint.md @@ -0,0 +1,16 @@ +# tldr-lint + +> `tldr` 페이지를 검사하고 포맷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페이지 검사: + +`tldr-lint {{페이지_디렉토리}}` + +- 특정 페이지를 포맷하여 `stdout`에 출력: + +`tldr-lint --format {{페이지.md}}` + +- 모든 페이지를 제자리에서 포맷: + +`tldr-lint --format --in-place {{페이지_디렉토리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ldr.md b/pages.ko/common/tldr.md index d14f18d76..64f51ba25 100644 --- a/pages.ko/common/tldr.md +++ b/pages.ko/common/tldr.md @@ -1,16 +1,33 @@ # tldr -> 간단한 매뉴얼 페이지. +> tldr-pages 프로젝트에서 제공하는 명령줄 도구에 대한 간단한 도움말 페이지를 표시합니다. +> 참고: `--language` 및 `--list` 옵션은 클라이언트 사양에 필수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클라이언트가 이를 구현합니다. > 더 많은 정보: . -- 명령어 형식적 사용법 가져오기 (힌트 : 이걸 사용하는 방법입니다!): +- 특정 명령에 대한 tldr 페이지를 출력 (힌트: 이렇게 이곳에 도착했습니다!): `tldr {{명령어}}` -- Linux에서 tar에 대한 tldr 문서 표시하기: +- 특정 하위 명령에 대한 tldr 페이지를 출력: -`tldr -p {{linux}} {{tar}}` +`tldr {{명령어}} {{하위_명령어}}` -- git 부속명령에 대한 도움말 가져오기: +- 주어진 [L]언어로 된 명령어의 tldr 페이지를 출력 (가능한 경우, 그렇지 않으면 영어로 표시): -`tldr {{git checkout}}` +`tldr --language {{언어_코드}} {{명령어}}` + +- 특정 [p]플랫폼의 명령어에 대한 tldr 페이지를 출력: + +`tldr --platform {{android|common|freebsd|linux|osx|netbsd|openbsd|sunos|windows}} {{명령어}}` + +- tldr 페이지의 로컬 캐시 [u]업데이트: + +`tldr --update` + +- 현재 플랫폼 및 `common`에 대한 모든 페이지 [l]목록: + +`tldr --list` + +- 명령어에 대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하위 명령 페이지 [l]목록: + +`tldr --list | grep {{명령어}} | column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mpmail.md b/pages.ko/common/tmpmai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ca51658a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mpmail.md @@ -0,0 +1,28 @@ +# tmpmail + +> 터미널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POSIX sh로 작성된 임시 이메일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임시 받은 편지함 생성: + +`tmpmail --generate` + +- 메시지와 그 숫자 ID 나열: + +`tmpmail` + +- 가장 최근에 받은 이메일 표시: + +`tmpmail --recent` + +- 특정 메시지 열기: + +`tmpmail {{이메일_ID}}` + +- HTML 태그 없이 이메일을 원시 텍스트로 보기: + +`tmpmail --text` + +- 특정 브라우저로 이메일 열기 (기본값은 w3m): + +`tmpmail --browser {{브라우저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msu.md b/pages.ko/common/tmsu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658357a8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msu.md @@ -0,0 +1,28 @@ +# tmsu + +> 파일에 태그를 붙이는 간단한 명령줄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파일에 여러 태그 추가: + +`tmsu tag {{경로/대상/파일.mp3}} {{music}} {{big-jazz}} {{mp3}}` + +- 여러 파일에 태그 추가: + +`tmsu tag --tags "{{music mp3}}" {{*.mp3}}` + +- 지정된 파일의 태그 나열: + +`tmsu tags {{*.mp3}}` + +- 지정된 태그가 있는 파일 나열: + +`tmsu files {{big-jazz}} {{music}}` + +- 논리 표현식과 일치하는 태그가 있는 파일 나열: + +`tmsu files "{{(year >= 1990 and year <= 2000)}} and {{grunge}}"` + +- 기존 디렉토리에 tmsu 가상 파일 시스템 마운트: + +`tmsu mount {{경로/대상/폴더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muxinator.md b/pages.ko/common/tmuxinato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9c796b55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muxinator.md @@ -0,0 +1,24 @@ +# tmuxinator + +> tmux 세션을 쉽게 생성하고 관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 프로젝트 생성: + +`tmuxinator new {{프로젝트}}` + +- 프로젝트 편집: + +`tmuxinator edit {{프로젝트}}` + +- 프로젝트 목록 나열: + +`tmuxinator list` + +-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tmux 세션 시작: + +`tmuxinator start {{프로젝트}}` + +- 프로젝트의 tmux 세션 중지: + +`tmuxinator stop {{프로젝트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odo.md b/pages.ko/common/todo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7e86f807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odo.md @@ -0,0 +1,32 @@ +# todo + +> 간단하고 표준 기반의 CLI 할 일 관리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시작할 수 있는 작업 목록: + +`todo list --startable` + +- 작업 목록에 새 작업 추가: + +`todo new {{할_일}} --list {{작업_목록}}` + +- 지정된 ID의 작업에 위치 추가: + +`todo edit --location {{위치_이름}} {{작업_ID}}` + +- 작업에 대한 세부 정보 표시: + +`todo show {{작업_ID}}` + +- 지정된 ID의 작업 완료로 표시: + +`todo done {{작업_ID1 작업_ID2 ...}}` + +- 작업 삭제: + +`todo delete {{작업_ID}}` + +- 완료된 작업 삭제 및 남은 작업 ID 초기화: + +`todo flush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odo.sh.md b/pages.ko/common/todo.s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ad785fd9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odo.sh.md @@ -0,0 +1,28 @@ +# todo.sh + +> `todo.txt`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간단하고 확장 가능한 셸 스크립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항목 나열: + +`todo.sh ls` + +- 프로젝트 및 컨텍스트 태그로 항목 추가: + +`todo.sh add '{{설명}} +{{프로젝트}} @{{컨텍스트}}'` + +- 항목을 [완료]로 표시: + +`todo.sh do {{항목_번호}}` + +- 항목 제거: + +`todo.sh rm {{항목_번호}}` + +- 항목의 [우선순위] 설정 (A-Z): + +`todo.sh pri {{항목_번호}} {{우선순위}}` + +- 항목 교체: + +`todo.sh replace {{항목_번호}} '{{새_설명}}'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odoist.md b/pages.ko/common/todois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deb793ae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odoist.md @@ -0,0 +1,28 @@ +# todoist + +> 명령줄에서 에 접근하세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작업 추가: + +`todoist add "{{작업_이름}}"` + +- 라벨, 프로젝트 및 기한이 있는 높은 우선순위 작업 추가: + +`todoist add "{{작업_이름}}" --priority {{1}} --label-ids "{{라벨_ID}}" --project-name "{{프로젝트_이름}}" --date "{{tmr 9am}}"` + +- 빠른 모드로 라벨, 프로젝트 및 기한이 있는 높은 우선순위 작업 추가: + +`todoist quick '#{{프로젝트_이름}} "{{tmr 9am}}" p{{1}} {{작업_이름}} @{{라벨_이름}}'` + +- 헤더 및 색상이 있는 모든 작업 나열: + +`todoist --header --color list` + +- 높은 우선순위의 모든 작업 나열: + +`todoist list --filter p{{1}}` + +- 지정된 라벨이 있는 오늘의 높은 우선순위 작업 나열: + +`todoist list --filter '(@{{라벨_이름}} | {{today}}) & p{{1}}'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odoman.md b/pages.ko/common/todoma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5b151984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odoman.md @@ -0,0 +1,9 @@ +# todoman + +> 간단하고 표준 기반의 CLI 할 일 관리 도구. +> `todoman`은 `todo`라는 명령의 일반적인 이름이며, 명령 자체는 아닙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todo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oipe.md b/pages.ko/common/toip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a9895d16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oipe.md @@ -0,0 +1,25 @@ +# toipe + +> 또 다른 타자 테스트, 하지만 게 맛. +> 신뢰할 수 있는 터미널 타자 연습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단어 목록으로 타자 테스트 시작: + +`toipe` + +- 특정 단어 목록 사용: + +`toipe {{-w|--wordlist}} {{단어목록_이름}}` + +- 사용자 정의 단어 목록 사용: + +`toipe {{-f|--file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각 테스트에서 단어 수 지정: + +`toipe {{-n|--num}} {{단어_수}}` + +- 구두점 포함: + +`toipe {{-p|--punctuation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okei.md b/pages.ko/common/tokei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8f11ff50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okei.md @@ -0,0 +1,20 @@ +# tokei + +> 코드에 대한 통계 표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디렉토리 및 모든 하위 디렉토리의 코드에 대한 보고서 표시: + +`tokei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`.min.js` 파일을 제외한 디렉토리의 보고서 표시: + +`tokei {{경로/대상/폴더}} -e {{*.min.js}}` + +- 디렉토리 내 개별 파일에 대한 통계 표시: + +`tokei {{경로/대상/폴더}} --files` + +- Rust 및 Markdown 유형의 모든 파일에 대한 보고서 표시: + +`tokei {{경로/대상/폴더}} -t={{Rust}},{{Markdown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opgrade.md b/pages.ko/common/topgrad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5b8c993e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opgrade.md @@ -0,0 +1,28 @@ +# topgrade + +> 시스템의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업데이트 실행: + +`topgrade` + +- 모든 업데이트에 대해 '예'라고 응답: + +`topgrade -y` + +- 임시/오래된 파일 정리: + +`topgrade -c` + +- 특정 업데이트 작업 비활성화: + +`topgrade --disable {{작업}}` + +- 특정 업데이트 작업만 수행: + +`topgrade --only {{작업}}` + +- 기본 편집기로 구성 파일 편집: + +`topgrade --edit-config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opydo.md b/pages.ko/common/topydo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603b1703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opydo.md @@ -0,0 +1,28 @@ +# topydo + +> todo.txt 형식을 사용하는 할 일 목록 애플리케이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프로젝트와 주어진 컨텍스트로 할 일 추가: + +`topydo add "{{할일_메시지}} +{{프로젝트_이름}} @{{컨텍스트_이름}}"` + +- 마감일이 내일이고 우선순위가 `A`인 할 일 추가: + +`topydo add "(A) {{할일_메시지}} due:{{1d}}"` + +- 마감일이 금요일인 할 일 추가: + +`topydo add "{{할일_메시지}} due:{{fri}}"` + +- 비엄격한 반복 할 일 추가 (다음 마감일 = 지금 + 반복): + +`topydo add "물 주기 due:{{mon}} rec:{{1w}}"` + +- 엄격한 반복 할 일 추가 (다음 마감일 = 현재 마감일 + 반복): + +`topydo add "{{할일_메시지}} due:{{2020-01-01}} rec:{{+1m}}"` + +- 마지막으로 실행한 `topydo` 명령 되돌리기: + +`topydo revert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ox.md b/pages.ko/common/tox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de102517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ox.md @@ -0,0 +1,25 @@ +# tox + +> 여러 Python 버전에서 Python 테스트를 자동화. +> tox.ini를 사용하여 환경 및 테스트 명령을 구성하세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테스트 환경에서 테스트 실행: + +`tox` + +- `tox.ini` 구성 생성: + +`tox-quickstart` + +- 사용 가능한 환경 나열: + +`tox --listenvs-all` + +- 특정 환경에서 테스트 실행 (예: Python 3.6): + +`tox -e {{py36}}` + +- 가상 환경을 강제로 재생성: + +`tox --recreate -e {{py27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pp.md b/pages.ko/common/tp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86bf6ee5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pp.md @@ -0,0 +1,12 @@ +# tpp + +> 커맨드라인 기반 프레젠테이션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프레젠테이션 보기: + +`tpp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프레젠테이션 출력: + +`tpp -t {{타입}} -o {{경로/대상/출력}}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put.md b/pages.ko/common/tpu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dc453db3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put.md @@ -0,0 +1,28 @@ +# tput + +> 터미널 설정 및 기능을 조회하고 수정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커서를 특정 화면 위치로 이동: + +`tput cup {{행}} {{열}}` + +- 전경색(af) 또는 배경색(ab) 설정: + +`tput {{setaf|setab}} {{ANSI_색상_코드}}` + +- 컬럼 수, 라인 수, 또는 색상 수 표시: + +`tput {{cols|lines|colors}}` + +- 터미널 벨 울리기: + +`tput bel` + +- 모든 터미널 속성 초기화: + +`tput sgr0` + +- 자동 줄바꿈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: + +`tput {{smam|rmam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.md b/pages.ko/common/t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b3d244fe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.md @@ -0,0 +1,32 @@ +# tr + +> 문자를 변환합니다: 단일 문자 및 문자 집합을 기반으로 대체를 수행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에서 특정 문자의 모든 발생을 대체하고 결과를 출력: + +`tr {{찾을_문자}} {{대체할_문자}} <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다른 명령의 출력에서 특정 문자의 모든 발생을 대체: + +`echo {{텍스트}} | tr {{찾을_문자}} {{대체할_문자}}` + +- 첫 번째 집합의 각 문자를 두 번째 집합의 해당 문자로 매핑: + +`tr '{{abcd}}' '{{jkmn}}' <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입력에서 지정된 문자 집합의 모든 발생 삭제: + +`tr -d '{{입력_문자들}}' <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연속된 같은 문자를 하나의 문자로 압축: + +`tr -s '{{입력_문자들}}' <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파일 내용을 대문자로 변환: + +`tr "[:lower:]" "[:upper:]" <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파일에서 출력 가능한 문자가 아닌 문자 제거: + +`tr -cd "[:print:]" <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ceroute.md b/pages.ko/common/tracerout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bd4816dc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ceroute.md @@ -0,0 +1,32 @@ +# traceroute + +> 네트워크 호스트로 패킷 경로를 추적하여 출력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호스트로 traceroute 실행: + +`traceroute {{example.com}}` + +- IP 주소 및 호스트 이름 매핑 비활성화: + +`traceroute -n {{example.com}}` + +- 응답 대기 시간을 초 단위로 지정: + +`traceroute --wait={{0.5}} {{example.com}}` + +- 홉당 쿼리 수 지정: + +`traceroute --queries={{5}} {{example.com}}` + +- 프로빙 패킷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지정: + +`traceroute {{example.com}} {{42}}` + +- 목적지까지의 MTU 결정: + +`traceroute --mtu {{example.com}}` + +- UDP 대신 ICMP를 사용하여 traceroute 실행: + +`traceroute --icmp {{example.com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efik.md b/pages.ko/common/traefi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bdddb003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efik.md @@ -0,0 +1,20 @@ +# traefik + +> HTTP 리버스 프록시 및 로드 밸런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설정으로 서버 시작: + +`traefik` + +- 사용자 지정 설정 파일로 서버 시작: + +`traefik --ConfigFile {{설정_파일.toml}}` + +- 클러스터 모드를 활성화하여 서버 시작: + +`traefik --cluster` + +- 웹 UI를 활성화하여 서버 시작: + +`traefik --web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ns.md b/pages.ko/common/tran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cf18bc40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ns.md @@ -0,0 +1,24 @@ +# trans + +> Translate Shell은 명령줄 번역기입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단어 번역 (언어는 자동으로 감지됨): + +`trans "{{번역할_단어나_문장}}"` + +- 간단한 번역 받기: + +`trans --brief "{{번역할_단어나_문장}}"` + +- 단어를 프랑스어로 번역: + +`trans :{{fr}} {{단어}}` + +- 독일어에서 영어로 단어 번역: + +`trans {{de}}:{{en}} {{Schmetterling}}` + +- 사전처럼 행동하여 단어의 의미 얻기: + +`trans -d {{단어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nscode.md b/pages.ko/common/transcod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0347a6a8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nscode.md @@ -0,0 +1,16 @@ +# transcode + +>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을 변환하고 미디어 형식을 변환하는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카메라 흔들림 제거를 위한 안정화 파일 생성: + +`transcode -J stabilize -i {{입력_파일}}` + +- 안정화 파일 생성 후 카메라 흔들림 제거, XviD를 사용하여 비디오 변환: + +`transcode -J transform -i {{입력_파일}} -y xvid -o {{출력_파일}}` + +- 비디오 크기를 640x480 픽셀로 조정하고 XviD를 사용하여 MPEG4 코덱으로 변환: + +`transcode -Z 640x480 -i {{입력_파일}} -y xvid -o {{출력_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nscrypt.md b/pages.ko/common/transcryp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e47e7234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nscrypt.md @@ -0,0 +1,24 @@ +# transcrypt + +> Git 저장소 내에서 파일을 투명하게 암호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구성되지 않은 저장소 초기화: + +`transcrypt` + +- 현재 암호화된 파일 나열: + +`git ls-crypt` + +- 구성된 저장소의 자격 증명 표시: + +`transcrypt --display` + +- 구성된 저장소의 새 클론을 초기화하고 복호화: + +`transcrypt --cipher={{암호화_알고리즘}}` + +- 암호화 알고리즘이나 암호를 변경하기 위한 키 재설정: + +`transcrypt --rekey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nsfersh.md b/pages.ko/common/transfers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d75e5b49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nsfersh.md @@ -0,0 +1,28 @@ +# transfersh + +> 비공식적인 transfer.sh 명령줄 클라이언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을 transfer.sh에 업로드: + +`transfersh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진행 표시줄을 보여주며 파일 업로드 (Python 패키지 `requests_toolbelt` 필요): + +`transfersh --progress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다른 파일 이름으로 파일 업로드: + +`transfersh --name {{파일명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사용자 지정 transfer.sh 서버에 파일 업로드: + +`transfersh --servername {{업로드.서버.이름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재귀적으로 업로드: + +`transfersh --recursive {{경로/대상/폴더/}}` + +- 특정 디렉터리를 압축되지 않은 tar로 업로드: + +`transfersh -rt {{경로/대상/폴더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cli.md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cli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216b36a3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cli.md @@ -0,0 +1,37 @@ +# transmission-cli + +> 경량의 명령줄 기반 BitTorrent 클라이언트. +> 이 도구는 사용이 중단되었습니다. `transmission-remote`를 참조하세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토렌트 다운로드: + +`transmission-cli {{url|마그넷|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특정 디렉토리에 토렌트 다운로드: + +`transmission-cli --download-dir {{경로/대상/다운로드_디렉토리}} {{url|마그넷|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에서 토렌트 파일 생성: + +`transmission-cli --new {{경로/대상/소스_파일_또는_디렉토리}}` + +- 다운로드 속도 제한 설정 (KB/s 단위): + +`transmission-cli --downlimit {{50}} {{url|마그넷|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업로드 속도 제한 설정 (KB/s 단위): + +`transmission-cli --uplimit {{50}} {{url|마그넷|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특정 포트를 사용하여 연결: + +`transmission-cli --port {{포트_번호}} {{url|마그넷|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피어 연결에 암호화 강제 적용: + +`transmission-cli --encryption-required {{url|마그넷|경로/대상/파일}}` + +- Bluetack 형식의 피어 차단 목록 사용: + +`transmission-cli --blocklist {{차단목록_url|경로/대상/차단목록}} {{url|마그넷|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create.md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creat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455ec3be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create.md @@ -0,0 +1,25 @@ +# transmission-create + +> BitTorrent `.torrent` 파일 만들기. +> 같이 보기: `transmission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2048 KB를 조각 크기로 하여 토렌트 생성: + +`transmission-create -o {{경로/대상/example.torrent}} --tracker {{트래커_발표_URL}} --piecesize {{2048}}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 + +- 2048 KB 조각 크기로 개인 토렌트 생성: + +`transmission-create -p -o {{경로/대상/example.torrent}} --tracker {{트래커_발표_URL}} --piecesize {{2048}}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 + +- 코멘트를 포함하여 토렌트 생성: + +`transmission-create -o {{경로/대상/example.torrent}} --tracker {{트래커_URL1}} -c {{코멘트}}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 + +- 여러 트래커를 포함하여 토렌트 생성: + +`transmission-create -o {{경로/대상/example.torrent}} --tracker {{트래커_URL1}} --tracker {{트래커_URL2}}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 + +- 도움말 페이지 표시: + +`transmission-create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daemon.md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daemo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817ad3fe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daemon.md @@ -0,0 +1,21 @@ +# transmission-daemon + +> `transmission-remote` 또는 웹 인터페이스로 제어되는 데몬. +> 같이 보기: `transmission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헤드리스 `transmission` 세션 시작: + +`transmission-daemon` + +- 특정 디렉터리를 감시하여 새로운 토렌트를 시작: + +`transmission-daemon --watch-dir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JSON 형식으로 데몬 설정 덤프: + +`transmission-daemon --dump-settings > {{경로/대상/파일.json}}` + +- 웹 인터페이스에 대한 특정 설정으로 시작: + +`transmission-daemon --auth --username {{사용자명}} --password {{비밀번호}} --port {{9091}} --allowed {{127.0.0.1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edit.md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edi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e17dcb25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edit.md @@ -0,0 +1,13 @@ +# transmission-edit + +> 토렌트 파일에서 announce URL을 수정. +> 같이 보기: `transmission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토렌트의 announce 목록에 URL 추가 또는 삭제: + +`transmission-edit --{{add|delete}} {{http://example.com}} {{경로/대상/파일.torrent}}` + +- 토렌트 파일에서 트래커의 패스코드 업데이트: + +`transmission-edit --replace {{기존-패스코드}} {{새로운-패스코드}} {{경로/대상/파일.torrent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remote.md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remot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6c4282f7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remote.md @@ -0,0 +1,32 @@ +# transmission-remote + +> `transmission-daemon` 및 `transmission`의 원격 제어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토렌트 파일 또는 마그넷 링크를 Transmission에 추가하고 지정한 디렉토리로 다운로드: + +`transmission-remote {{호스트명}} -a {{토렌트|url}} -w {{/경로/대상/다운로드_디렉토리}}` + +- 기본 다운로드 디렉토리 변경: + +`transmission-remote {{호스트명}} -w {{/경로/대상/다운로드_디렉토리}}` + +- 모든 토렌트 나열: + +`transmission-remote {{호스트명}} --list` + +- 토렌트 1과 2 시작, 토렌트 3 중지: + +`transmission-remote {{호스트명}} -t "{{1,2}}" --start -t {{3}} --stop` + +- 토렌트 1과 2 제거, 토렌트 2의 로컬 데이터도 삭제: + +`transmission-remote {{호스트명}} -t {{1}} --remove -t {{2}} --remove-and-delete` + +- 모든 토렌트 중지: + +`transmission-remote {{호스트명}} -t {{all}} --stop` + +- 토렌트 1-10 및 15-20을 새 디렉토리로 이동 (존재하지 않는 경우 생성됨): + +`transmission-remote {{호스트명}} -t "{{1-10,15-20}}" --move {{/경로/대상/새_디렉토리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show.md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show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226a2427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-show.md @@ -0,0 +1,17 @@ +# transmission-show + +> 토렌트 파일에 대한 정보 가져오기. +> 같이 보기: `transmission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토렌트의 메타데이터 표시: + +`transmission-show {{경로/대상/파일.torrent}}` + +- 특정 토렌트에 대한 마그넷 링크 생성: + +`transmission-show --magnet {{경로/대상/파일.torrent}}` + +- 토렌트의 트래커를 조회하고 현재 피어 수 출력: + +`transmission-show --scrape {{경로/대상/파일.torrent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nsmission.md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3d1294af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nsmission.md @@ -0,0 +1,29 @@ +# transmission + +> 간단한 토렌트 클라이언트. +> Transmission은 하나의 명령이 아닌 명령 집합입니다. 아래 페이지를 참조하세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ransmission 데몬 실행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transmission-daemon` + +- 데몬과 상호작용하는 방법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transmission-remote` + +- 토렌트 파일 생성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transmission-create` + +- 토렌트 파일 수정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transmission-edit` + +- 토렌트 파일 정보 얻기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transmission-show` + +- 데몬과 상호작용하는 이전 방식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transmission-cli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p.md b/pages.ko/common/tra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c34e694a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p.md @@ -0,0 +1,16 @@ +# trap + +> 이벤트 발생 시 명령을 실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예상 이벤트의 이름과 명령 나열: + +`trap` + +- 신호를 받았을 때 명령 실행: + +`trap 'echo "신호 {{SIGHUP}} 수신"' {{HUP}}` + +- 명령 제거: + +`trap - {{HUP}} {{INT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sh-cli.md b/pages.ko/common/trash-cli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2ab831ec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sh-cli.md @@ -0,0 +1,8 @@ +# trash-cli + +> 이 명령은 `trash`의 별칭입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trash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vis.md b/pages.ko/common/travi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0947870f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vis.md @@ -0,0 +1,24 @@ +# travis + +> Travis CI와 상호작용하는 명령줄 클라이언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클라이언트 버전 표시: + +`travis version` + +- 인증 토큰을 사용하여 서버에 CLI 클라이언트 인증: + +`travis login` + +- 사용자가 권한을 가진 저장소 나열: + +`travis repos` + +- `.travis.yml` 파일에서 값을 암호화: + +`travis encrypt {{토큰}}` + +- `.travis.yml` 파일 생성 및 프로젝트 활성화: + +`travis init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awl.md b/pages.ko/common/traw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471bcea3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awl.md @@ -0,0 +1,20 @@ +# trawl + +>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콘솔에 출력하는 도구로, ifconfig/ipconfig/ip/ifdata와 유사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열 이름 표시: + +`trawl -n` + +- 대소문자 구분 없는 정규 표현식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 이름 필터링: + +`trawl -f wi` + +-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나열: + +`trawl -i` + +- 루프백 인터페이스 포함: + +`trawl -l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e.md b/pages.ko/common/tr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d0166d2b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e.md @@ -0,0 +1,37 @@ +# tre + +> 현재 디렉토리의 내용을 트리 형태로 표시. +> 기본적으로 `.gitignore` 설정을 존중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디렉토리만 출력: + +`tre --directories` + +- 트리 구조 대신 파일을 포함한 JSON 출력: + +`tre --json` + +- 지정된 깊이 제한까지 파일 및 디렉토리 출력 (1은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): + +`tre --limit {{깊이}}` + +- 지정된 색상 모드를 사용하여 모든 숨김 파일 및 디렉토리 출력: + +`tre --all --color {{automatic|always|never}}` + +- 트리 구조 내 파일들을 출력하고, 각 파일을 연관된 `command`(기본값은 `$EDITOR`)로 열 수 있는 셸 별칭 할당: + +`tre --editor {{명령어}}` + +- 제공된 정규 표현식과 일치하는 모든 경로를 제외하고 트리 구조 내 파일 출력: + +`tre --exclude {{정규_표현식}}` + +- 버전 표시: + +`tre --version` + +- 도움말 표시: + +`tre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ed.md b/pages.ko/common/tre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4276bbfa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ed.md @@ -0,0 +1,13 @@ +# tred + +> 방향 그래프의 전이 축소를 계산. +> Graphviz 필터: `acyclic`, `bcomps`, `comps`, `edgepaint`, `gvcolor`, `gvpack`, `mingle`, `nop`, `sccmap`, `tred`, & `unflatten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하나 이상의 방향 그래프의 전이 축소 그래프 생성: + +`tred {{경로/대상/입력1.gv}} {{경로/대상/입력2.gv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.gv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tred -?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ee.md b/pages.ko/common/tre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af6ec59c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ee.md @@ -0,0 +1,36 @@ +# tree + +> 현재 디렉토리의 내용을 트리 형태로 표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'num' 수준 깊이까지 파일 및 디렉토리 표시 (1은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): + +`tree -L {{수준}}` + +- 디렉토리만 표시: + +`tree -d` + +- 숨김 파일도 색상화하여 표시: + +`tree -a -C` + +- 들여쓰기 선 없이 전체 경로를 표시 (인쇄할 수 없는 문자를 이스케이프하지 않으려면 `-N` 사용): + +`tree -i -f` + +- 각 파일의 크기와 각 디렉토리의 누적 크기를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표시: + +`tree -s -h --du` + +- 와일드카드(글로벌) 패턴을 사용하여 트리 계층 내의 파일을 표시하고, 일치하는 파일이 없는 디렉토리는 제외: + +`tree -P '{{*.txt}}' --prune` + +- 와일드카드(글로벌) 패턴을 사용하여 트리 계층 내의 디렉토리를 표시하고, 원하는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가 아닌 디렉토리는 제외: + +`tree -P {{디렉토리_이름}} --matchdirs --prune` + +- 주어진 디렉토리를 무시하고 트리 표시: + +`tree -I '{{디렉토리_이름1|디렉토리_이름2}}'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ivy.md b/pages.ko/common/triv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ef762271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ivy.md @@ -0,0 +1,36 @@ +# trivy + +> 컨테이너 이미지, 파일 시스템 및 Git 저장소의 취약점과 구성 문제를 스캔하는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Docker 이미지를 취약점 및 노출된 비밀 키에 대해 스캔: + +`trivy image {{이미지:태그}}` + +- 심각도에 따라 출력 결과를 필터링하여 Docker 이미지 스캔: + +`trivy image --severity {{HIGH,CRITICAL}} {{alpine:3.15}}` + +- 수정되지 않거나 패치되지 않은 취약점을 무시하고 Docker 이미지 스캔: + +`trivy image --ignore-unfixed {{alpine:3.15}}` + +- 파일 시스템을 취약점 및 잘못된 구성에 대해 스캔: + +`trivy fs --security-checks {{vuln,config}} {{경로/대상/프로젝트_폴더}}` + +- IaC(Terraform, CloudFormation, ARM, Helm 및 Dockerfile) 디렉토리를 잘못된 구성에 대해 스캔: + +`trivy config {{경로/대상/iac_폴더}}` + +- 로컬 또는 원격 Git 저장소를 취약점에 대해 스캔: + +`trivy repo {{경로/대상/로컬_저장소_폴더|원격_저장소_URL}}` + +- 특정 커밋 해시까지 Git 저장소 스캔: + +`trivy repo --commit {{커밋_해시}} {{저장소}}` + +- SARIF 템플릿으로 출력 생성: + +`trivy image --format {{template}} --template {{"@sarif.tpl"}} -o {{경로/대상/보고서.sarif}} {{이미지:태그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off.md b/pages.ko/common/troff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a94832df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off.md @@ -0,0 +1,21 @@ +# troff + +> groff (GNU Troff) 문서 형식 시스템을 위한 조판 프로세서. +> 같이 보기: `groff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출력 형식을 PostScript 프린터용으로 지정하고, 출력을 파일에 저장: + +`troff {{경로/대상/입력.roff}} | grops > {{경로/대상/출력.ps}}` + +- [me] 매크로 패키지를 사용하여 출력 형식을 PostScript 프린터용으로 지정하고, 출력을 파일에 저장: + +`troff -{{me}} {{경로/대상/입력.roff}} | grops > {{경로/대상/출력.ps}}` + +- 출력 형식을 [a]SCII 텍스트로 지정하고 [man] 매크로 패키지를 사용: + +`troff -T {{ascii}} -{{man}} {{경로/대상/입력.roff}} | grotty` + +- 출력 형식을 [pdf] 파일로 지정하고, 출력을 파일에 저장: + +`troff -T {{pdf}} {{경로/대상/입력.roff}} | gropdf > {{경로/대상/출력.pdf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ue.md b/pages.ko/common/tru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5b5c64c1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ue.md @@ -0,0 +1,9 @@ +# true + +> 성공적인 종료 상태 코드 0을 반환합니다. +> 이 명령을 `||` 연산자와 함께 사용하여 명령이 항상 0으로 종료되도록 만드세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성공적인 종료 코드를 반환: + +`true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uffle.md b/pages.ko/common/truffl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dc61baa5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uffle.md @@ -0,0 +1,24 @@ +# truffle + +> Ethereum 블록체인에서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스마트 계약 개발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미리 만들어진 Truffle 프로젝트(Truffle Box) 다운로드: + +`truffle unbox {{박스_이름}}` + +- 현재 디렉토리의 계약 소스 파일 컴파일: + +`truffle compile` + +- JavaScript 및 Solidity 테스트 실행: + +`truffle test` + +- 계약 배포를 위한 마이그레이션 실행: + +`truffle migrate` + +- 하위 명령에 대한 도움말 표시: + +`truffle help {{하위_명령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ufflehog.md b/pages.ko/common/truffleho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e82c08b0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ufflehog.md @@ -0,0 +1,36 @@ +# trufflehog + +> 파일, Git 저장소, S3 버킷 및 Docker 이미지에서 인증 정보를 찾고 검증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Git 저장소에서 검증된 비밀 검색: + +`trufflehog git {{https://github.com/trufflesecurity/test_keys}} --only-verified` + +- GitHub 조직에서 검증된 비밀 검색: + +`trufflehog github --org={{trufflesecurity}} --only-verified` + +- GitHub 저장소에서 검증된 키 검색 및 JSON 출력 받기: + +`trufflehog git {{https://github.com/trufflesecurity/test_keys}} --only-verified --json` + +- GitHub 저장소와 그 이슈 및 풀 리퀘스트 검색: + +`trufflehog github --repo={{https://github.com/trufflesecurity/test_keys}} --issue-comments --pr-comments` + +- S3 버킷에서 검증된 키 검색: + +`trufflehog s3 --bucket={{버킷 이름}} --only-verified` + +- IAM 역할을 사용하여 S3 버킷 검색: + +`trufflehog s3 --role-arn={{iam-role-arn}}` + +- 개별 파일 또는 디렉터리 검색: + +`trufflehog filesystem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디렉터리1 경로/대상/파일_또는_디렉터리2 ...}}` + +- Docker 이미지에서 검증된 비밀 검색: + +`trufflehog docker --image {{trufflesecurity/secrets}} --only-verified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runcate.md b/pages.ko/common/truncat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94586efa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runcate.md @@ -0,0 +1,24 @@ +# truncate + +> 파일의 크기를 지정된 크기로 줄이거나 늘립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존 파일의 크기를 10GB로 설정하거나, 지정된 크기로 새 파일 생성: + +`truncate --size 10G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파일 크기를 50MiB 늘리고, 구멍으로 채우기 (0바이트로 읽힘): + +`truncate --size +50M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파일의 끝에서 데이터를 제거하여 2GiB 줄이기: + +`truncate --size -2G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파일 내용 비우기: + +`truncate --size 0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파일 내용 비우기,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생성하지 않기: + +`truncate --no-create --size 0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s-node.md b/pages.ko/common/ts-nod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07b8dd62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s-node.md @@ -0,0 +1,28 @@ +# ts-node + +> TypeScript 코드를 컴파일 없이 직접 실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ypeScript 파일을 컴파일 없이 실행 (`node` + `tsc`): + +`ts-node {{경로/대상/파일.ts}}` + +- `tsconfig.json`을 로드하지 않고 TypeScript 파일 실행: + +`ts-node --skip-project {{경로/대상/파일.ts}}` + +- 리터럴로 전달된 TypeScript 코드 평가: + +`ts-node --eval '{{console.log("Hello World")}}'` + +- 스크립트 모드로 TypeScript 파일 실행: + +`ts-node --script-mode {{경로/대상/파일.ts}}` + +- TypeScript 파일을 실행하지 않고 JavaScript로 트랜스파일: + +`ts-node --transpile-only {{경로/대상/파일.ts}}` + +- TS-Node 도움말 표시: + +`ts-node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s.md b/pages.ko/common/t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61267b3e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s.md @@ -0,0 +1,20 @@ +# ts + +> `stdin`의 각 줄에 타임스탬프를 추가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각 줄의 시작에 타임스탬프 추가: + +`{{명령어}} | ts` + +- 마이크로초 정밀도의 타임스탬프 추가: + +`{{명령어}} | ts "{{%b %d %H:%M:%.S}}"` + +- 0부터 시작하여 마이크로초 정밀도의 [i]증분 타임스탬프 추가: + +`{{명령어}} | ts -i "{{%H:%M:%.S}}"` + +- 텍스트 파일(예: 로그 파일)의 기존 타임스탬프를 [r]상대적 형식으로 변환: + +`cat {{경로/대상/파일}} | ts -r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sc.md b/pages.ko/common/ts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1085c5bf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sc.md @@ -0,0 +1,32 @@ +# tsc + +> TypeScript 컴파일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foobar.ts` TypeScript 파일을 `foobar.js` JavaScript 파일로 컴파일: + +`tsc {{foobar.ts}}` + +- 특정 목표 구문을 사용하여 TypeScript 파일을 JavaScript로 컴파일 (기본값은 `ES3`): + +`tsc --target {{ES5|ES2015|ES2016|ES2017|ES2018|ESNEXT}} {{foobar.ts}}` + +- 사용자 정의 이름으로 TypeScript 파일을 JavaScript 파일로 컴파일: + +`tsc --outFile {{출력.js}} {{입력.ts}}` + +- `tsconfig.json` 파일에 정의된 TypeScript 프로젝트의 모든 `.ts` 파일 컴파일: + +`tsc --build {{tsconfig.json}}` + +- 명령줄 옵션 및 인수를 텍스트 파일에서 가져와 컴파일러 실행: + +`tsc @{{인수.txt}}` + +- 여러 JavaScript 파일을 타입 체크하고, 오류만 출력: + +`tsc --allowJs --checkJs --noEmit {{src/**/*.js}}` + +- 코드가 변경될 때 자동으로 다시 컴파일하는 감시 모드에서 컴파일러 실행: + +`tsc --watch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slint.md b/pages.ko/common/tslin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2649e51c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slint.md @@ -0,0 +1,20 @@ +# tslint + +> TypeScript를 위한 플러그 가능한 린트 유틸리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SLint 구성 생성: + +`tslint --init` + +- 주어진 파일 집합에 대해 린트 수행: + +`tslint {{경로/대상/파일1.js 경로/대상/파일2.js ...}}` + +- 린트 문제 수정: + +`tslint --fix` + +- 프로젝트 루트에 있는 설정 파일로 린트 수행: + +`tslint --project {{경로/대상/프로젝트_루트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sort.md b/pages.ko/common/tsor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83cfd9a1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sort.md @@ -0,0 +1,13 @@ +# tsort + +> 위상 정렬 수행. +> 일반적으로 유향 비순환 그래프에서 노드의 의존성 순서를 보여주는 데 사용됨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공백으로 구분된 입력의 각 줄에 대해 부분 정렬과 일치하는 위상 정렬 수행: + +`tsort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문자열에 대해 일관된 위상 정렬 수행: + +`echo -e "{{UI Backend\nBackend Database\nDocs UI}}" | tsort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spin.md b/pages.ko/common/tspi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7bed4587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spin.md @@ -0,0 +1,20 @@ +# tspin + +> `less` 페이지를 기반으로 하는 로그 파일 하이라이터로, 기본적으로 다른 페이지처럼 동작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에서 읽고 `less`로 보기: + +`tspin {{경로/대상/애플리케이션.log}}` + +- 다른 명령어의 출력을 읽고 표준 출력으로 출력: + +`journalctl -b --follow | tspin` + +- 파일에서 읽고 `stdout`으로 출력: + +`tspin {{경로/대상/애플리케이션.log}} --print` + +- `stdin`에서 읽고 `stdout`으로 출력: + +`echo "2021-01-01 12:00:00 [INFO] This is a log message" | tspin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sv-filter.md b/pages.ko/common/tsv-filt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fb1d108a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sv-filter.md @@ -0,0 +1,36 @@ +# tsv-filter + +> 개별 필드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여 TSV 파일의 행을 필터링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열이 주어진 숫자와 수치적으로 같은 행을 출력: + +`tsv-filter -H --eq {{필드_이름}}:{{숫자}} {{경로/대상/tsv_파일}}` + +- 특정 열이 주어진 숫자와 [eq]ual/[n]on [e]qual/[l]ess [t]han/[l]ess than or [e]qual/[g]reater [t]han/[g]reater than or [e]qual한 행을 출력: + +`tsv-filter --{{eq|ne|lt|le|gt|ge}} {{열_번호}}:{{숫자}} {{경로/대상/tsv_파일}}` + +- 특정 열이 주어진 문자열과 [eq]ual/[n]ot [e]qual/포함됨/포함되지 않음을 만족하는 행을 출력: + +`tsv-filter --str-{{eq|ne|in-fld|not-in-fld}} {{열_번호}}:{{문자열}} {{경로/대상/tsv_파일}}` + +- 비어 있지 않은 필드를 필터링: + +`tsv-filter --not-empty {{열_번호}} {{경로/대상/tsv_파일}}` + +- 특정 열이 비어 있는 행을 출력: + +`tsv-filter --invert --not-empty {{열_번호}} {{경로/대상/tsv_파일}}` + +- 두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출력: + +`tsv-filter --eq {{열_번호1}}:{{숫자}} --str-eq {{열_번호2}}:{{문자열}} {{경로/대상/tsv_파일}}` + +- 최소한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출력: + +`tsv-filter --or --eq {{열_번호1}}:{{숫자}} --str-eq {{열_번호2}}:{{문자열}} {{경로/대상/tsv_파일}}` + +- 첫 번째 행을 [H]eader로 해석하여 일치하는 행 개수 세기: + +`tsv-filter --count -H --eq {{필드_이름}}:{{숫자}} {{경로/대상/tsv_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t.md b/pages.ko/common/t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12f96311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t.md @@ -0,0 +1,20 @@ +# tt + +> 터미널 기반 타자 테스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내장된 영어 인용문 목록으로 인용문 모드 시작: + +`tt -quotes {{en}}` + +- 10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5개의 그룹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50개의 단어로 구성된 테스트 생성: + +`tt -n {{10}} -g {{5}}` + +- 10초 동안 지속되는 타이머 테스트 시작: + +`tt -t {{10}}` + +- 테마 없이 타이핑하면서 WPM(분당 타자 속도)을 표시하며 `tt` 시작: + +`tt -showwpm -notheme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ts.md b/pages.ko/common/tt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6a4b1d59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ts.md @@ -0,0 +1,28 @@ +# tts + +> 음성을 합성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모델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고 출력을 "tts_output.wav"에 저장: + +`tts --text "{{텍스트}}"` + +- 제공된 모델 나열: + +`tts --list_models` + +- 인덱스로 모델 정보 조회: + +`tts --model_info_by_idx {{모델_타입/모델_조회_인덱스}}` + +- 이름으로 모델 정보 조회: + +`tts --model_info_by_name {{모델_타입/언어/데이터셋/모델_이름}}` + +- 기본 보코더 모델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: + +`tts --text "{{텍스트}}" --model_name {{모델_타입/언어/데이터셋/모델_이름}}` + +- 사용자 정의 텍스트 음성 변환 모델 실행 (Griffin-Lim 보코더 사용): + +`tts --text "{{텍스트}}" --model_path {{경로/대상/모델.pth}} --config_path {{경로/대상/설정.json}} --out_path {{경로/대상/파일.wav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ty.md b/pages.ko/common/tt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0fbd1c5d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ty.md @@ -0,0 +1,8 @@ +# tty + +> 터미널 이름 반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이 터미널의 파일 이름 출력: + +`tty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uckr.md b/pages.ko/common/tuck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09b98dc6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uckr.md @@ -0,0 +1,25 @@ +# tuckr + +> Rust로 작성된 도트파일 관리 도구. +> 같이 보기: `chezmoi`, `vcsh`, `homeshick`, `stow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도트파일 상태 확인: + +`tuckr status` + +- 모든 도트파일 시스템에 추가: + +`tuckr add \*` + +- 지정된 프로그램을 제외한 모든 도트파일 추가: + +`tuckr add \* -e {{프로그램1}},{{프로그램2}}` + +- 시스템에서 모든 도트파일 제거: + +`tuckr rm \*` + +- 프로그램 도트파일 추가 및 설정 스크립트 실행: + +`tuckr set {{프로그램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uir.md b/pages.ko/common/tui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17d9c39d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uir.md @@ -0,0 +1,25 @@ +# tuir + +> 터미널에서 Reddit을 조회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텍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(TUI). +> Vim 키로 탐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uir 시작: + +`tuir` + +- 서브레딧 열기: + +`/{{서브레딧_이름}}` + +- 링크 열기: + +`o` + +- 시작 시 특정 서브레딧 열기: + +`tuir -s {{서브레딧_이름}}` + +- mailcap 설정에서 정의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외부 링크 열기: + +`tuir --enable-media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urbo.md b/pages.ko/common/turbo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c81e561c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urbo.md @@ -0,0 +1,37 @@ +# turbo + +> JavaScript 및 TypeScript 코드베이스를 위한 고성능 빌드 시스템. +> 같이 보기: `n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Vercel 계정으로 로그인: + +`turbo login` + +- 현재 디렉토리를 Vercel 조직에 연결하고 원격 캐싱 활성화: + +`turbo link` + +- 현재 프로젝트 빌드: + +`turbo run build` + +- 동시성 없이 작업 실행: + +`turbo run {{작업_이름}} --concurrency={{1}}` + +- 캐시된 아티팩트를 무시하고 모든 작업을 강제로 다시 실행: + +`turbo run {{작업_이름}} --force` + +- 패키지 전반에 걸쳐 병렬로 작업 실행: + +`turbo run {{작업_이름}} --parallel --no-cache` + +- 현재 디렉토리를 Vercel 조직에서 연결 해제하고 원격 캐싱 비활성화: + +`turbo unlink` + +- 특정 작업 실행의 Dot 그래프 생성 (출력 파일 형식은 파일 이름으로 제어 가능): + +`turbo run {{작업_이름}} --graph={{경로/대상/파일.html|jpg|json|pdf|png|svg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wine.md b/pages.ko/common/twin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1afab398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wine.md @@ -0,0 +1,36 @@ +# twine + +> Python 패키지를 PyPI에 배포하는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PyPI에 업로드: + +`twine upload dist/*` + +- Test PyPI 저장소에 업로드하여 검증: + +`twine upload -r testpypi dist/*` + +- 지정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로 PyPI에 업로드: + +`twine upload -u {{사용자명}} -p {{비밀번호}} dist/*` + +- 대체 저장소 URL로 업로드: + +`twine upload --repository-url {{저장소_URL}} dist/*` + +- 배포의 긴 설명이 PyPI에서 올바르게 렌더링되는지 확인: + +`twine check dist/*` + +- 특정 pypirc 설정 파일을 사용하여 업로드: + +`twine upload --config-file {{설정_파일}} dist/*` + +-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업로드 계속 (PyPI에 업로드할 때만 유효): + +`twine upload --skip-existing dist/*` + +- 자세한 정보를 표시하며 PyPI에 업로드: + +`twine upload --verbose dist/*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wm.md b/pages.ko/common/tw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8efacf4a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wm.md @@ -0,0 +1,24 @@ +# twm + +> X Window 시스템을 위한 윈도우 매니저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X 서버에 연결: + +`twm` + +- 특정 X 서버에 연결: + +`twm -display {{디스플레이}}` + +- 기본 화면만 관리: + +`twm -s` + +- 특정 시작 파일 사용: + +`twm -f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자세한 모드 활성화 및 X에서 예상치 못한 오류 출력: + +`twm -v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wopi.md b/pages.ko/common/twopi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53bf336a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wopi.md @@ -0,0 +1,25 @@ +# twopi + +> `graphviz` 파일에서 `방사형` 네트워크 그래프 이미지를 렌더링. +> 레이아웃: `dot`, `neato`, `twopi`, `circo`, `fdp`, `sfdp`, `osage` 및 `patchwork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입력 파일 이름과 출력 형식을 기반으로 파일 이름이 결정되는 PNG 이미지 렌더링 (대문자 -O): + +`twopi -T {{png}} -O {{경로/대상/입력.gv}}` + +- 지정된 출력 파일 이름으로 SVG 이미지 렌더링 (소문자 -o): + +`twopi -T {{svg}} -o {{경로/대상/이미지.svg}} {{경로/대상/입력.gv}}` + +- PS, PDF, SVG, Fig, PNG, GIF, JPEG, JSON 또는 DOT 형식으로 출력 렌더링: + +`twopi -T {{형식}} -O {{경로/대상/입력.gv}}` + +- `stdin` 및 `stdout`을 사용하여 GIF 이미지 렌더링: + +`echo "{{digraph {this -> that} }}" | twopi -T {{gif}} > {{경로/대상/이미지.gif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twopi -?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wurl.md b/pages.ko/common/twur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cce663da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wurl.md @@ -0,0 +1,28 @@ +# twurl + +> Twitter API에 특화된 Curl과 유사한 명령어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witter 계정에 대한 접근을 승인: + +`twurl authorize --consumer-key {{트위터_API_키}} --consumer-secret {{트위터_API_비밀}}` + +- API 엔드포인트에 GET 요청 수행: + +`twurl -X GET {{트위터_API_엔드포인트}}` + +- API 엔드포인트에 POST 요청 수행: + +`twurl -X POST -d '{{엔드포인트_파라미터}}' {{트위터_API_엔드포인트}}` + +- Twitter에 미디어 업로드: + +`twurl -H "{{트위터_업로드_URL}}" -X POST "{{트위터_업로드_엔드포인트}}" --file "{{경로/대상/미디어.jpg}}" --file-field "media"` + +- 다른 Twitter API 호스트에 접근: + +`twurl -H {{트위터_API_URL}} -X GET {{트위터_API_엔드포인트}}` + +- 요청한 리소스에 대한 별칭 생성: + +`twurl alias {{별칭_이름}} {{리소스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ye.md b/pages.ko/common/ty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e146a9a0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ye.md @@ -0,0 +1,28 @@ +# tye + +> 마이크로서비스와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, 테스트 및 배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`tye.yaml` 파일 스캐폴드: + +`tye init` + +- 애플리케이션을 로컬에서 실행: + +`tye run` + +- 애플리케이션의 컨테이너 빌드: + +`tye build` + +- 애플리케이션의 컨테이너 푸시: + +`tye push` + +- 애플리케이션을 Kubernetes에 배포: + +`tye deploy` + +- Kubernetes에서 배포된 애플리케이션 제거: + +`tye undeploy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ype.md b/pages.ko/common/typ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e5ff2cb3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ype.md @@ -0,0 +1,21 @@ +# type + +> 셀이 실행할 명령의 유형을 표시합니다. +> 참고: 모든 예시는 POSIX 호환이 아닙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명령의 유형 표시: + +`type {{명령어}}` + +- 지정된 실행 파일을 포함하는 모든 위치 표시 (Bash/fish/Zsh 셸에서만 작동): + +`type -a {{명령어}}` + +- 실행될 디스크 파일의 이름 표시 (Bash/fish/Zsh 셸에서만 작동): + +`type -p {{명령어}}` + +- 특정 명령, 별칭/키워드/함수/내장 명령/파일의 유형 표시 (Bash/fish 셸에서만 작동): + +`type -t {{명령어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ypeinc.md b/pages.ko/common/typein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92cdb3ec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ypeinc.md @@ -0,0 +1,21 @@ +# typeinc + +> Python으로 작성된 `ncurses` 기반 터미널 타자 속도 테스트 프로그램. +> 다양한 난이도를 시도하고 타자 속도를 향상시키세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타자 테스트 시작: + +`typeinc` + +- 입력한 난이도에 대한 상위 10위 랭크 목록 표시: + +`typeinc {{-r|--ranklist}} {{난이도}}` + +- 워드리스트에 있는 무작위 영어 단어 가져오기: + +`typeinc {{-w|--words}} {{단어_개수}}` + +- 가상의 Typeinc 점수 계산: + +`typeinc {{-s|--score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ypeorm.md b/pages.ko/common/typeor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3f39c441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ypeorm.md @@ -0,0 +1,36 @@ +# typeorm + +> Node.js, 브라우저, Cordova, Ionic, React Native, NativeScript, Electron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는 JavaScript ORM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로운 TypeORM 프로젝트 구조 생성: + +`typeorm init` + +- 빈 마이그레이션 파일 생성: + +`typeorm migration:create --name {{마이그레이션_이름}}` + +- 스키마를 업데이트하는 SQL 문이 포함된 마이그레이션 파일 생성: + +`typeorm migration:generate --name {{마이그레이션_이름}}` + +- 대기 중인 모든 마이그레이션 실행: + +`typeorm migration:run` + +- 특정 디렉터리에 새 엔터티 파일 생성: + +`typeorm entity:create --name {{엔터티}} --dir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기본 연결에서 `typeorm schema:sync`로 실행될 SQL 문 표시: + +`typeorm schema:log` + +- 기본 연결에서 특정 SQL 문 실행: + +`typeorm query {{sql_문장}}` + +- 하위 명령에 대한 도움말 표시: + +`typeorm {{하위_명령}}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ypeset.md b/pages.ko/common/typese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7db7f3a6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ypeset.md @@ -0,0 +1,28 @@ +# typeset + +> 변수를 선언하고 속성을 부여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값으로 문자열 변수 선언: + +`typeset {{변수}}="{{값}}"` + +- 지정된 값으로 정수 변수 선언: + +`typeset -i {{변수}}="{{값}}"` + +- 지정된 값으로 배열 변수 선언: + +`typeset {{변수}}=({{항목_a 항목_b 항목_c}})` + +- 지정된 값으로 연관 배열 변수 선언: + +`typeset -A {{변수}}=({{[키_a]=항목_a [키_b]=항목_b [키_c]=항목_c}})` + +- 지정된 값으로 읽기 전용 변수 선언: + +`typeset -r {{변수}}="{{값}}"` + +- 함수 내에서 지정된 값으로 전역 변수 선언: + +`typeset -g {{변수}}="{{값}}"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typst.md b/pages.ko/common/typs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5664b6ef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typst.md @@ -0,0 +1,21 @@ +# typst + +> Typst 파일을 PDF로 컴파일. +> 참고: 출력 위치 지정은 선택 사항입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주어진 디렉터리에 템플릿(예: `@preview/charged-ieee`)을 사용하여 새로운 Typst 프로젝트 초기화: + +`typst init "{{템플릿}}"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Typst 파일 컴파일: + +`typst compile {{경로/대상/소스.typ}} {{경로/대상/출력.pdf}}` + +- Typst 파일을 감시하고 변경 시 다시 컴파일: + +`typst watch {{경로/대상/소스.typ}} {{경로/대상/출력.pdf}}` + +- 시스템 및 주어진 디렉토리에서 발견 가능한 모든 글꼴 나열: + +`typst --font-path {{경로/대상/폰트_디렉토리}} fonts` diff --git a/pages/common/tcc.md b/pages/common/tcc.md index 732fac606..69df3b619 100644 --- a/pages/common/tcc.md +++ b/pages/common/tcc.md @@ -13,4 +13,4 @@ - Interpret C source files with a shebang inside the file: -`#!/full/path/to/tcc -run` +`#!{{/full/path/to/tcc}} -run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