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hnsplit: fix typo, systemctl: update Korean translation, linux/s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715)
* linux/s*: add Korean translation * systemctl: update Korean translation * Update pages.ko/linux/sqfscat.md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 * Update pages.ko/linux/shar.md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 * Update pages.ko/linux/sqfstar.md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 * shnsplit: fix typo * semanage: update Korean translation --------- 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17
pages.ko/linux/sa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sa.md
Normal file
@@ -0,0 +1,17 @@
|
||||
# sa
|
||||
|
||||
> 사용자가 호출한 명령에 대한 회계 정보를 요약하여 표시하며, 처리에 소비된 CPU 시간 및 I/O 속도에 대한 기본 정보를 포함합니다.
|
||||
> `acct` 패키지의 일부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a.8>.
|
||||
|
||||
- 사용자별 실행 호출 횟수 표시 (사용자명은 표시되지 않음):
|
||||
|
||||
`sudo sa`
|
||||
|
||||
- 사용자별 실행 호출 횟수 표시, 책임 있는 사용자명 표시:
|
||||
|
||||
`sudo sa --print-users`
|
||||
|
||||
- 최근 사용자별로 사용된 리소스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sudo sa --user-summary`
|
28
pages.ko/linux/sacct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acct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sacct
|
||||
|
||||
> Slurm 서비스로부터 회계 데이터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acct.html>.
|
||||
|
||||
- 최근 작업의 작업 ID, 작업 이름, 파티션, 계정, 할당된 CPU 수, 작업 상태 및 작업 종료 코드를 표시:
|
||||
|
||||
`sacct`
|
||||
|
||||
- 최근 작업의 작업 ID, 작업 상태 및 작업 종료 코드를 표시:
|
||||
|
||||
`sacct --brief`
|
||||
|
||||
- 작업의 할당을 표시:
|
||||
|
||||
`sacct --jobs {{작업_ID}} --allocations`
|
||||
|
||||
- 작업의 경과 시간, 작업 이름, 요청된 CPU 수 및 요청된 메모리를 표시:
|
||||
|
||||
`sacct --jobs {{작업_ID}} --format=Elapsed,JobName,ReqCPUS,ReqMem`
|
||||
|
||||
- 1주일 전부터 현재까지 발생한 최근 작업을 표시:
|
||||
|
||||
`sacct --starttime=$(date -d "1 week ago" +'%F')`
|
||||
|
||||
- 속성에 대해 더 많은 문자를 출력:
|
||||
|
||||
`sacct --format=JobID,JobName%100`
|
20
pages.ko/linux/sacctmgr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acctmgr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acctmgr
|
||||
|
||||
> Slurm 계정을 조회, 설정 및 관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acctmgr.html>.
|
||||
|
||||
- 현재 구성 보기:
|
||||
|
||||
`sacctmgr show configuration`
|
||||
|
||||
- Slurm 데이터베이스에 클러스터 추가:
|
||||
|
||||
`sacctmgr add cluster {{클러스터_이름}}`
|
||||
|
||||
- Slurm 데이터베이스에 계정 추가:
|
||||
|
||||
`sacctmgr add account {{계정_이름}} cluster={{계정의_클러스터}}`
|
||||
|
||||
- 특정 형식을 사용하여 사용자/연관/클러스터/계정 세부 정보 보기:
|
||||
|
||||
`sacctmgr show {{user|association|cluster|account}} format="Account%10" format="GrpTRES%30"`
|
16
pages.ko/linux/salloc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salloc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salloc
|
||||
|
||||
> 클러스터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를 할당하여 대화형 셸 세션을 시작하거나 명령을 실행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alloc.html>.
|
||||
|
||||
- 클러스터의 노드에서 대화형 셸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salloc`
|
||||
|
||||
- 클러스터의 노드에서 지정된 명령을 동기적으로 실행:
|
||||
|
||||
`salloc {{ls -a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제약 조건을 충족하는 노드만 할당:
|
||||
|
||||
`salloc --constraint={{(amd|intel)&gpu}}`
|
28
pages.ko/linux/sam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am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sam
|
||||
|
||||
> AWS Serverless Application Model (SAM) CLI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awslabs/aws-sam-cli>.
|
||||
|
||||
-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초기화:
|
||||
|
||||
`sam init`
|
||||
|
||||
- 특정 런타임으로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초기화:
|
||||
|
||||
`sam init --runtime {{python3.7}}`
|
||||
|
||||
- SAM 애플리케이션 패키징:
|
||||
|
||||
`sam package`
|
||||
|
||||
- Lambda 함수 코드 빌드:
|
||||
|
||||
`sam build`
|
||||
|
||||
- 로컬에서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실행:
|
||||
|
||||
`sam local start-api`
|
||||
|
||||
- AWS SAM 애플리케이션 배포:
|
||||
|
||||
`sam deploy`
|
28
pages.ko/linux/sar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ar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sar
|
||||
|
||||
> 다양한 Linux 하위 시스템의 성능을 모니터링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ar>.
|
||||
|
||||
- 물리적 장치에 발행된 I/O 및 전송 속도를 1초 간격으로 보고 (종료하려면 CTRL+C 입력):
|
||||
|
||||
`sar -b {{1}}`
|
||||
|
||||
- 네트워크 장치 통계를 2초 간격으로 총 10회 보고:
|
||||
|
||||
`sar -n DEV {{2}} {{10}}`
|
||||
|
||||
- CPU 사용률을 2초 간격으로 보고:
|
||||
|
||||
`sar -u ALL {{2}}`
|
||||
|
||||
- 메모리 사용 통계를 1초 간격으로 총 20회 보고:
|
||||
|
||||
`sar -r ALL {{1}} {{20}}`
|
||||
|
||||
- 실행 대기열 길이와 평균 부하를 1초 간격으로 보고:
|
||||
|
||||
`sar -q {{1}}`
|
||||
|
||||
- 페이징 통계를 5초 간격으로 보고:
|
||||
|
||||
`sar -B {{5}}`
|
16
pages.ko/linux/sattach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sattach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sattach
|
||||
|
||||
> Slurm 작업 단계에 연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attach.html>.
|
||||
|
||||
- Slurm 작업 단계의 IO 스트림(`stdout`, `stderr`, `stdin`)을 현재 터미널로 리디렉션:
|
||||
|
||||
`sattach {{작업_ID}}.{{단계_ID}}`
|
||||
|
||||
- 현재 콘솔의 입력을 지정된 작업의 `stdin`으로 사용:
|
||||
|
||||
`sattach --input-filter {{작업_번호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작업의 `stdin`/`stderr`만 리디렉션:
|
||||
|
||||
`sattach --{{출력|오류}}-filter {{작업_번호}}`
|
20
pages.ko/linux/sbatch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batch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batch
|
||||
|
||||
> SLURM 스케줄러에 배치 작업 제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batch>.
|
||||
|
||||
- 배치 작업 제출:
|
||||
|
||||
`sbatch {{경로/대상/작업.sh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지정 이름으로 배치 작업 제출:
|
||||
|
||||
`sbatch --job-name={{myjob}} {{경로/대상/작업.sh}}`
|
||||
|
||||
- 30분의 시간 제한으로 배치 작업 제출:
|
||||
|
||||
`sbatch --time={{00:30:00}} {{경로/대상/작업.sh}}`
|
||||
|
||||
- 여러 노드를 요청하여 작업 제출:
|
||||
|
||||
`sbatch --nodes={{3}} {{경로/대상/작업.sh}}`
|
13
pages.ko/linux/sbcast.md
Normal file
13
pages.ko/linux/sbcast.md
Normal file
@@ -0,0 +1,13 @@
|
||||
# sbcast
|
||||
|
||||
> 작업에 할당된 노드로 파일 전송.
|
||||
> 이 명령은 Slurm 배치 작업 내에서만 사용해야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bcast.html>.
|
||||
|
||||
- 현재 작업에 할당된 모든 노드로 파일 전송:
|
||||
|
||||
`sbcast {{경로/대상/파일}} {{경로/대상/목적지}}`
|
||||
|
||||
- 전송하는 파일이 의존하는 공유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함께 전송:
|
||||
|
||||
`sbcast --send-libs={{yes}} {{경로/대상/실행파일}} {{경로/대상/목적지}}`
|
33
pages.ko/linux/sbctl.md
Normal file
33
pages.ko/linux/sbctl.md
Normal file
@@ -0,0 +1,33 @@
|
||||
# sbctl
|
||||
|
||||
> 사용자 친화적인 보안 부트 키 관리자.
|
||||
> 참고: Microsoft의 인증서를 등록하지 않으면 시스템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. <https://github.com/Foxboron/sbctl/wiki/FAQ#option-rom>을 참조하세요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Foxboron/sbctl#usage>.
|
||||
|
||||
- 현재 보안 부트 상태 표시:
|
||||
|
||||
`sbctl status`
|
||||
|
||||
- 사용자 정의 보안 부트 키 생성 (기본적으로 모든 것은 `/var/lib/sbctl`에 저장):
|
||||
|
||||
`sbctl create-keys`
|
||||
|
||||
- 사용자 정의 보안 부트 키 및 Microsoft의 UEFI 공급업체 인증서 등록:
|
||||
|
||||
`sbctl enroll-keys --microsoft`
|
||||
|
||||
- `/etc/sbctl/sbctl.conf`의 설정에 따라 `create-keys`와 `enroll-keys` 자동 실행:
|
||||
|
||||
`sbctl setup --setup`
|
||||
|
||||
- 생성된 키로 EFI 바이너리에 서명하고 파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:
|
||||
|
||||
`sbctl sign {{-s|--save}} {{경로/대상/efi_바이너리}}`
|
||||
|
||||
- 저장된 모든 파일 다시 서명:
|
||||
|
||||
`sbctl sign-all`
|
||||
|
||||
- EFI 시스템 파티션의 모든 EFI 실행 파일이 서명되었는지 확인:
|
||||
|
||||
`sbctl verify`
|
12
pages.ko/linux/scancel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scancel.md
Normal file
@@ -0,0 +1,12 @@
|
||||
# scancel
|
||||
|
||||
> Slurm 작업을 취소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cancel.html>.
|
||||
|
||||
- 작업 ID를 사용하여 작업 취소:
|
||||
|
||||
`scancel {{작업_ID}}`
|
||||
|
||||
- 사용자로부터 모든 작업 취소:
|
||||
|
||||
`scancel {{사용자_이름}}`
|
12
pages.ko/linux/scanimage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scanimage.md
Normal file
@@ -0,0 +1,12 @@
|
||||
# scanimage
|
||||
|
||||
> Scanner Access Now Easy API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스캔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://sane-project.org/man/scanimage.1.html>.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스캐너를 나열하여 대상 장치가 연결되고 인식되었는지 확인:
|
||||
|
||||
`scanimage -L`
|
||||
|
||||
- 이미지를 스캔하여 파일로 저장:
|
||||
|
||||
`scanimage --format={{pnm|tiff|png|jpeg}} > {{경로/대상/새_이미지}}`
|
36
pages.ko/linux/schroot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schroot.md
Normal file
@@ -0,0 +1,36 @@
|
||||
# schroot
|
||||
|
||||
> 다른 루트 디렉터리로 명령을 실행하거나 대화형 셸을 시작합니다. `chroot`보다 더 커스터마이즈 가능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iki.debian.org/Schroot>.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chroot 목록 나열:
|
||||
|
||||
`schroot --list`
|
||||
|
||||
- 특정 chroot에서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schroot --chroot {{chroot}} {{명령}}`
|
||||
|
||||
- 특정 chroot에서 옵션과 함께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schroot --chroot {{chroot}} {{명령}} -- {{명령_옵션}}`
|
||||
|
||||
- 모든 사용 가능한 chroot에서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schroot --all {{명령}}`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로 특정 chroot 내에서 대화형 셸 시작:
|
||||
|
||||
`schroot --chroot {{chroot}} --user {{사용자}}`
|
||||
|
||||
- 새 세션 시작 (고유한 세션 ID가 `stdout`에 반환됨):
|
||||
|
||||
`schroot --begin-session --chroot {{chroot}}`
|
||||
|
||||
- 기존 세션에 연결:
|
||||
|
||||
`schroot --run-session --chroot {{세션_ID}}`
|
||||
|
||||
- 기존 세션 종료:
|
||||
|
||||
`schroot --end-session --chroot {{세션_ID}}`
|
24
pages.ko/linux/scontrol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control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control
|
||||
|
||||
> 작업에 대한 정보를 보고 수정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control.html>.
|
||||
|
||||
- 작업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control show job {{작업_ID}}`
|
||||
|
||||
- 쉼표로 구분된 실행 중인 작업 목록 일시 중지:
|
||||
|
||||
`scontrol suspend {{작업_ID1,작업_ID2,...}}`
|
||||
|
||||
- 쉼표로 구분된 일시 중지된 작업 목록 재개:
|
||||
|
||||
`scontrol resume {{작업_ID1,작업_ID2,...}}`
|
||||
|
||||
- 쉼표로 구분된 대기 중인 작업 목록 보류 (작업 예약을 허용하려면 `release` 명령 사용):
|
||||
|
||||
`scontrol hold {{작업_ID1,작업_ID2,...}}`
|
||||
|
||||
- 쉼표로 구분된 일시 중지된 작업 목록 해제:
|
||||
|
||||
`scontrol release {{작업_ID1,작업_ID2,...}}`
|
32
pages.ko/linux/screenkey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screenkey.md
Normal file
@@ -0,0 +1,32 @@
|
||||
# screenkey
|
||||
|
||||
> 키 입력을 화면에 표시하는 스크린캐스트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thregr.org/~wavexx/software/screenkey/>.
|
||||
|
||||
- 현재 눌린 키를 화면에 표시:
|
||||
|
||||
`screenkey`
|
||||
|
||||
- 현재 눌린 키와 마우스 버튼을 화면에 표시:
|
||||
|
||||
`screenkey --mouse`
|
||||
|
||||
- screenkey의 설정 메뉴 실행:
|
||||
|
||||
`screenkey --show-settings`
|
||||
|
||||
- 특정 위치에 screenkey 실행:
|
||||
|
||||
`screenkey --position {{top|center|bottom|fixed}}`
|
||||
|
||||
- 화면에 표시되는 키 수정자의 형식 변경:
|
||||
|
||||
`screenkey --mods-mode {{normal|emacs|mac|win|tux}}`
|
||||
|
||||
- screenkey의 외관 변경:
|
||||
|
||||
`screenkey --bg-color "{{#a1b2c3}}" --font {{Hack}} --font-color {{yellow}} --opacity {{0.8}}`
|
||||
|
||||
- 화면에서 창을 드래그하여 screenkey 표시 위치 선택:
|
||||
|
||||
`screenkey --position fixed --geometry {{$(slop -n -f '%g')}}`
|
24
pages.ko/linux/script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cript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cript
|
||||
|
||||
> 터미널 출력을 파일로 기록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cript>.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토리의 `typescript`라는 이름의 파일에 새 세션 기록:
|
||||
|
||||
`script`
|
||||
|
||||
- 사용자 지정 파일 경로에 새 세션 기록:
|
||||
|
||||
`script {{경로/대상/세션.out}}`
|
||||
|
||||
- 기존 파일에 추가하여 새 세션 기록:
|
||||
|
||||
`script -a {{경로/대상/세션.out}}`
|
||||
|
||||
- 타이밍 정보 기록 (`stderr`에 출력됩니다):
|
||||
|
||||
`script -t 2> {{경로/대상/타이밍_파일}}`
|
||||
|
||||
-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출력:
|
||||
|
||||
`script -f {{경로/대상/파일}}`
|
16
pages.ko/linux/scriptreplay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scriptreplay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scriptreplay
|
||||
|
||||
> `script` 명령어로 생성된 typescript를 `stdout`으로 재생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criptreplay>.
|
||||
|
||||
- 기록된 속도로 typescript를 재생:
|
||||
|
||||
`scriptreplay {{경로/대상/타이밍_파일}} {{경로/대상/typescript}}`
|
||||
|
||||
- 원래 속도의 두 배로 typescript를 재생:
|
||||
|
||||
`scriptreplay {{경로/대상/타이밍_파일}} {{경로/대상/typescript}} 2`
|
||||
|
||||
- 원래 속도의 절반으로 typescript를 재생:
|
||||
|
||||
`scriptreplay {{경로/대상/타이밍_파일}} {{경로/대상/typescript}} 0.5`
|
24
pages.ko/linux/scrontab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crontab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crontab
|
||||
|
||||
> Slurm 크론탭 파일을 관리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crontab.html>.
|
||||
|
||||
- 지정된 파일에서 새 크론탭 설치:
|
||||
|
||||
`scrontab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의 크론탭 [e]편집:
|
||||
|
||||
`scrontab -e`
|
||||
|
||||
- 지정된 사용자의 크론탭 [e]편집:
|
||||
|
||||
`scrontab --user={{사용자_ID}} -e`
|
||||
|
||||
- 현재 크론탭 [r]제거:
|
||||
|
||||
`scrontab -r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의 크론탭을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scrontab -l`
|
32
pages.ko/linux/scrot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scrot.md
Normal file
@@ -0,0 +1,32 @@
|
||||
# scrot
|
||||
|
||||
> 스크린 캡처 유틸리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resurrecting-open-source-projects/scrot>.
|
||||
|
||||
- 스크린샷을 캡처하여 현재 디렉토리에 현재 날짜를 파일명으로 저장:
|
||||
|
||||
`scrot`
|
||||
|
||||
- 스크린샷을 캡처하여 `capture.png`로 저장:
|
||||
|
||||
`scrot {{capture.png}}`
|
||||
|
||||
- 대화형으로 스크린샷 캡처:
|
||||
|
||||
`scrot --select`
|
||||
|
||||
- 키보드 입력으로 종료하지 않고 대화형으로 스크린샷 캡처, `ESC`를 눌러 종료:
|
||||
|
||||
`scrot --select --ignorekeyboard`
|
||||
|
||||
- 색상이 있는 선으로 영역을 구분하여 대화형으로 스크린샷 캡처:
|
||||
|
||||
`scrot --select --line color={{x11_색상|rgb_색상}}`
|
||||
|
||||
- 현재 포커스된 창에서 스크린샷 캡처:
|
||||
|
||||
`scrot --focused`
|
||||
|
||||
- 스크린샷을 찍기 전에 10초 카운트다운 표시:
|
||||
|
||||
`scrot --count --delay {{10}}`
|
20
pages.ko/linux/sdiag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diag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diag
|
||||
|
||||
> `slurmctld` 실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diag.html>.
|
||||
|
||||
- `slurmctld` 실행과 관련된 모든 성능 카운터 표시:
|
||||
|
||||
`sdiag --all`
|
||||
|
||||
- `slurmctld` 실행과 관련된 성능 카운터 재설정:
|
||||
|
||||
`sdiag --reset`
|
||||
|
||||
- 출력 형식 지정:
|
||||
|
||||
`sdiag --all --{{json|yaml}}`
|
||||
|
||||
- 명령을 보낼 클러스터 지정:
|
||||
|
||||
`sdiag --all --cluster={{클러스터_이름}}`
|
25
pages.ko/linux/secon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secon.md
Normal file
@@ -0,0 +1,25 @@
|
||||
# secon
|
||||
|
||||
> 파일, 프로세스 ID, 현재 실행 컨텍스트 또는 컨텍스트 명세의 SELinux 보안 컨텍스트를 확인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semanage`, `runcon`, `chcon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con>.
|
||||
|
||||
- 현재 실행 컨텍스트의 보안 컨텍스트 확인:
|
||||
|
||||
`secon`
|
||||
|
||||
- 프로세스의 현재 보안 컨텍스트 확인:
|
||||
|
||||
`secon --pid {{1}}`
|
||||
|
||||
- 모든 중간 심볼릭 링크를 해석하여 파일의 현재 보안 컨텍스트 확인:
|
||||
|
||||
`secon --file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
|
||||
|
||||
- 심볼릭 링크 자체의 현재 보안 컨텍스트 확인 (즉, 해석하지 않음):
|
||||
|
||||
`secon --link {{경로/대상/심볼릭_링크}}`
|
||||
|
||||
- 컨텍스트 명세를 해석하고 설명:
|
||||
|
||||
`secon {{system_u:system_r:container_t:s0:c899,c900}}`
|
21
pages.ko/linux/secret-tool.md
Normal file
21
pages.ko/linux/secret-tool.md
Normal file
@@ -0,0 +1,21 @@
|
||||
# secret-tool
|
||||
|
||||
> `libsecret` 패키지의 일부로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검색.
|
||||
> `gnome-keyring`과 같은 Freedesktop 비밀 서비스 구현과 통신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nome.pages.gitlab.gnome.org/libsecret/>.
|
||||
|
||||
- 선택적 레이블과 함께 비밀 저장:
|
||||
|
||||
`secret-tool store --label={{레이블}} {{키}} {{값}}`
|
||||
|
||||
- 비밀 검색:
|
||||
|
||||
`secret-tool lookup key {{키}}`
|
||||
|
||||
- 비밀에 대한 추가 정보 얻기:
|
||||
|
||||
`secret-tool search key {{키}}`
|
||||
|
||||
- 저장된 비밀 삭제:
|
||||
|
||||
`secret-tool clear key {{키}}`
|
33
pages.ko/linux/sed.md
Normal file
33
pages.ko/linux/sed.md
Normal file
@@ -0,0 +1,33 @@
|
||||
# sed
|
||||
|
||||
> 스크립트 방식으로 텍스트를 편집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awk`, `ed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gnu.org/software/sed/manual/sed.html>.
|
||||
|
||||
- 모든 입력 줄에서 `apple` (기본 정규식) 발생 부분을 `mango` (기본 정규식)로 대체하고 결과를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{{command}} | sed 's/apple/mango/g'`
|
||||
|
||||
- 모든 입력 줄에서 `apple` (확장 정규식) 발생 부분을 `APPLE` (확장 정규식)로 대체하고 결과를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{{command}} | sed -E 's/(apple)/\U\1/g'`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에서 모든 `apple` (기본 정규식) 발생 부분을 `mango` (기본 정규식)로 대체하고 원본 파일을 직접 덮어쓰기:
|
||||
|
||||
`sed -i 's/apple/mango/g'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특정 스크립트 [f]파일을 실행하고 결과를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{{command}} | sed -f {{경로/대상/스크립트.sed}}`
|
||||
|
||||
- 첫 번째 줄만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{{command}} | sed -n '1p'`
|
||||
|
||||
- 파일의 첫 번째 줄 [d]삭제:
|
||||
|
||||
`sed -i 1d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의 첫 번째 줄에 새 줄 [i]삽입:
|
||||
|
||||
`sed -i '1i\your new line text\' {{경로/대상/파일}}`
|
13
pages.ko/linux/see.md
Normal file
13
pages.ko/linux/see.md
Normal file
@@ -0,0 +1,13 @@
|
||||
# see
|
||||
|
||||
> `run-mailcap`의 보기(view) 작업에 대한 별칭.
|
||||
> `run-mailcap`의 인쇄 작업에 대한 별칭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e>.
|
||||
|
||||
- 기본 mailcap 탐색기에서 파일(주로 이미지)을 보기 위해 see 작업 사용:
|
||||
|
||||
`see {{파일명}}`
|
||||
|
||||
- `run-mailcap`과 함께 사용:
|
||||
|
||||
`run-mailcap --action=view {{파일명}}`
|
17
pages.ko/linux/semanage-boolean.md
Normal file
17
pages.ko/linux/semanage-boolean.md
Normal file
@@ -0,0 +1,17 @@
|
||||
# semanage boolean
|
||||
|
||||
> SELinux 부울 설정을 영구적으로 관리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SELinux 정책 관리를 위한 `semanage`, 부울 값을 확인하기 위한 `getsebool`, 비영구적 부울 설정 적용을 위한 `setsebool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manage-boolean>.
|
||||
|
||||
- 모든 부울 설정 나열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boolean {{-l|--list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정의 부울 설정을 제목 없이 나열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boolean {{-l|--list}} {{-C|--locallist}} {{-n|--noheading}}`
|
||||
|
||||
- 부울을 영구적으로 설정 또는 해제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boolean {{-m|--modify}} {{-1|--on|-0|--off}} {{haproxy_connect_any}}`
|
25
pages.ko/linux/semanage-fcontext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semanage-fcontext.md
Normal file
@@ -0,0 +1,25 @@
|
||||
# semanage fcontext
|
||||
|
||||
> 파일/폴더에 대한 지속적인 SELinux 보안 컨텍스트 규칙 관리.
|
||||
> 같이 보기: `semanage`, `matchpathcon`, `secon`, `chcon`, `restorecon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manage-fcontext>.
|
||||
|
||||
- 모든 파일 레이블링 규칙 나열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fcontext --list`
|
||||
|
||||
- 사용자 정의 파일 레이블링 규칙을 헤더 없이 나열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fcontext --list --locallist --noheading`
|
||||
|
||||
- PCRE 정규표현식과 일치하는 경로에 레이블을 지정하는 사용자 정의 규칙 추가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fcontext --add --type {{samba_share_t}} {{'/mnt/share(/.*)?'}}`
|
||||
|
||||
- PCRE 정규표현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정의 규칙 삭제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fcontext --delete {{'/mnt/share(/.*)?'}}`
|
||||
|
||||
- 새로운 규칙을 적용하여 폴더를 재귀적으로 다시 레이블링:
|
||||
|
||||
`restorecon -R -v {{경로/대상/폴더}}`
|
14
pages.ko/linux/semanage-permissive.md
Normal file
14
pages.ko/linux/semanage-permissive.md
Normal file
@@ -0,0 +1,14 @@
|
||||
# semanage permissive
|
||||
|
||||
> 지속적인 SELinux 허용 도메인 관리.
|
||||
> 이로 인해 프로세스가 비구속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,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SELinux를 올바르게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semanage`, `getenforce`, `setenforc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manage-permissive>.
|
||||
|
||||
- 허용 모드에 있는 모든 프로세스 유형(도메인) 나열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permissive {{-l|--list}}`
|
||||
|
||||
- 도메인에 대한 허용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permissive {{-a|--add|-d|--delete}} {{httpd_t}}`
|
21
pages.ko/linux/semanage-port.md
Normal file
21
pages.ko/linux/semanage-port.md
Normal file
@@ -0,0 +1,21 @@
|
||||
# semanage port
|
||||
|
||||
> 지속적인 SELinux 포트 정의를 관리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semanag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manage-port>.
|
||||
|
||||
- 모든 포트 레이블 규칙 나열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port {{-l|--list}}`
|
||||
|
||||
- 헤더 없이 사용자가 정의한 모든 포트 레이블 규칙 나열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port {{-l|--list}} {{-C|--locallist}} {{-n|--noheading}}`
|
||||
|
||||
- 프로토콜-포트 쌍에 레이블을 지정하는 사용자가 정의한 규칙 추가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port {{-a|--add}} {{-t|--type}} {{ssh_port_t}} {{-p|--proto}} {{tcp}} {{22000}}`
|
||||
|
||||
- 프로토콜-포트 쌍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규칙 삭제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port {{-d|--delete}} {{-p|--proto}} {{udp}} {{11940}}`
|
29
pages.ko/linux/semanage.md
Normal file
29
pages.ko/linux/semanage.md
Normal file
@@ -0,0 +1,29 @@
|
||||
# semanage
|
||||
|
||||
> SELinux 영구 정책 관리 도구.
|
||||
> `boolean`, `fcontext`, `port` 등의 일부 하위 명령에는 자체 사용 설명서가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manage>.
|
||||
|
||||
- SELinux 불리언 설정 또는 해제. 불리언은 관리자가 정책 규칙이 제한된 프로세스 유형(도메인)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사용자 정의할 수 있게 함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boolean {{-m|--modify}} {{-1|--on|-0|--off}} {{haproxy_connect_any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정의 파일 컨텍스트 레이블링 규칙 추가. 파일 컨텍스트는 제한된 도메인이 접근할 수 있는 파일을 정의함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fcontext {{-a|--add}} {{-t|--type}} {{samba_share_t}} '/mnt/share(/.*)?'`
|
||||
|
||||
- 사용자 정의 포트 레이블링 규칙 추가. 포트 레이블은 제한된 도메인이 청취할 수 있는 포트를 정의함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port {{-a|--add}} {{-t|--type}} {{ssh_port_t}} {{-p|--proto}} {{tcp}} {{22000}}`
|
||||
|
||||
- 제한된 도메인에 대한 허용 모드 설정 또는 해제. 도메인별 허용 모드는 `setenforce`에 비해 더 세분화된 제어를 제공함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permissive {{-a|--add|-d|--delete}} {{httpd_t}}`
|
||||
|
||||
- 기본 저장소에서 로컬 사용자 정의 출력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export {{-f|--output_file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`semanage export`로 생성된 파일을 로컬 사용자 정의에 가져오기 (주의: 현재 사용자 정의가 제거될 수 있음!)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import {{-f|--input_file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12
pages.ko/linux/sensible-browser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sensible-browser.md
Normal file
@@ -0,0 +1,12 @@
|
||||
# sensible-browser
|
||||
|
||||
> 기본 브라우저 열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nsible-browser>.
|
||||
|
||||
- 기본 브라우저의 새 창을 열기:
|
||||
|
||||
`sensible-browser`
|
||||
|
||||
- 기본 브라우저에서 URL 열기:
|
||||
|
||||
`sensible-browser {{url}}`
|
20
pages.ko/linux/sensible-editor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ensible-editor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ensible-editor
|
||||
|
||||
> 기본 편집기를 엽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nsible-editor>.
|
||||
|
||||
- 기본 편집기로 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sensible-editor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 끝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기본 편집기로 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sensible-editor +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10번째 줄 시작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기본 편집기로 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sensible-editor +10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세 개의 파일을 수직 분할된 편집기 창에서 동시에 열기:
|
||||
|
||||
`sensible-editor -O3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경로/대상/파일3}}`
|
12
pages.ko/linux/sensors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sensors.md
Normal file
@@ -0,0 +1,12 @@
|
||||
# sensors
|
||||
|
||||
> 센서 정보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nsors>.
|
||||
|
||||
- 모든 센서 칩의 현재 읽기값 표시:
|
||||
|
||||
`sensors`
|
||||
|
||||
- 온도를 화씨로 표시:
|
||||
|
||||
`sensors --fahrenheit`
|
21
pages.ko/linux/service.md
Normal file
21
pages.ko/linux/service.md
Normal file
@@ -0,0 +1,21 @@
|
||||
# service
|
||||
|
||||
> init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서비스를 관리.
|
||||
> 전체 스크립트 경로는 생략해야 하며(`/etc/init.d/`가 기본값으로 가정됩니다)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rvice>.
|
||||
|
||||
- 모든 서비스의 이름 및 상태 나열:
|
||||
|
||||
`service --status-all`
|
||||
|
||||
- 서비스 시작/중지/재시작/다시 로드 (시작/중지는 항상 가능해야 함):
|
||||
|
||||
`service {{서비스_이름}} {{start|stop|restart|reload}}`
|
||||
|
||||
- 전체 재시작 수행 (시작과 중지로 스크립트를 두 번 실행):
|
||||
|
||||
`service {{서비스_이름}} --full-restart`
|
||||
|
||||
- 서비스의 현재 상태 표시:
|
||||
|
||||
`service {{서비스_이름}} status`
|
16
pages.ko/linux/sestatus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sestatus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sestatus
|
||||
|
||||
> 현재 SELinux 상태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status>.
|
||||
|
||||
- 현재 상태 표시:
|
||||
|
||||
`sestatus`
|
||||
|
||||
- 모든 정책 불리언의 현재 상태 표시:
|
||||
|
||||
`sestatus -b`
|
||||
|
||||
- 현재 파일 및 프로세스 컨텍스트 표시:
|
||||
|
||||
`sestatus -v`
|
25
pages.ko/linux/setcap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setcap.md
Normal file
@@ -0,0 +1,25 @@
|
||||
# setcap
|
||||
|
||||
> 지정된 파일의 권한 설정.
|
||||
> 같이 보기: `getcap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tcap>.
|
||||
|
||||
- 주어진 파일에 `cap_net_raw` 권한 설정 (RAW 및 PACKET 소켓 사용을 위해):
|
||||
|
||||
`setcap '{{cap_net_raw}}'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에 여러 권한 설정 (`ep`는 "효과적 허가"를 의미):
|
||||
|
||||
`setcap '{{cap_dac_read_search,cap_sys_tty_config+ep}}'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에서 모든 권한 제거:
|
||||
|
||||
`setcap -r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파일에 현재 지정된 권한이 연관되어 있는지 확인:
|
||||
|
||||
`setcap -v '{{cap_net_raw}}'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선택적 `-n root_uid` 인수는 이 루트 사용자 ID 소유자와 함께 사용자 네임스페이스에서만 파일 권한을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:
|
||||
|
||||
`setcap -n {{root_uid}} '{{cap_net_admin}}' {{경로/대상/파일}}`
|
14
pages.ko/linux/setenforce.md
Normal file
14
pages.ko/linux/setenforce.md
Normal file
@@ -0,0 +1,14 @@
|
||||
# setenforce
|
||||
|
||||
> SELinux를 강제 모드와 허용 모드 사이에서 전환.
|
||||
> SELinux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려면 `/etc/selinux/config`를 편집하세요.
|
||||
> 같이 보기: `getenforce`, `semanage-permissiv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tenforce>.
|
||||
|
||||
- SELinux를 강제 모드로 설정:
|
||||
|
||||
`setenforce {{1|Enforcing}}`
|
||||
|
||||
- SELinux를 허용 모드로 설정:
|
||||
|
||||
`setenforce {{0|Permissive}}`
|
20
pages.ko/linux/setfacl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etfacl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etfacl
|
||||
|
||||
> 파일 접근 제어 목록(ACL) 설정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tfacl>.
|
||||
|
||||
- [u]사용자에게 읽기 및 쓰기 권한으로 파일의 ACL [m]수정:
|
||||
|
||||
`setfacl --modify u:{{사용자명}}:rw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
|
||||
|
||||
- 모든 사용자에 대한 파일의 기본 ACL [m]수정:
|
||||
|
||||
`setfacl --modify --default u::rw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
|
||||
|
||||
- 파일의 사용자에 대한 ACL 제거:
|
||||
|
||||
`setfacl --remove u:{{사용자명}}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
|
||||
|
||||
- 파일의 모든 ACL 항목 제거:
|
||||
|
||||
`setfacl --remove-all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
|
16
pages.ko/linux/setfattr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setfattr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setfattr
|
||||
|
||||
> 확장 파일 속성 설정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tfattr>.
|
||||
|
||||
- 파일의 속성 이름 설정:
|
||||
|
||||
`setfattr -n user.{{속성_이름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의 사용자 정의 확장 속성 값 설정:
|
||||
|
||||
`setfattr -n user.{{속성_이름}} -v "{{값}}"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의 특정 속성 제거:
|
||||
|
||||
`setfattr -x user.{{속성_이름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25
pages.ko/linux/setsebool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setsebool.md
Normal file
@@ -0,0 +1,25 @@
|
||||
# setsebool
|
||||
|
||||
> SELinux 불리언 값을 설정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semanage-boolean`, `getsebool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tsebool>.
|
||||
|
||||
- 모든 불리언의 현재 설정을 표시:
|
||||
|
||||
`getsebool -a`
|
||||
|
||||
- 불리언을 일시적으로 설정 또는 해제 (재부팅 시 비활성화):
|
||||
|
||||
`sudo setsebool {{httpd_can_network_connect}} {{1|true|on|0|false|off}}`
|
||||
|
||||
- 불리언을 영구적으로 설정 또는 해제:
|
||||
|
||||
`sudo setsebool -P {{container_use_devices}} {{1|true|on|0|false|off}}`
|
||||
|
||||
- 여러 불리언을 한 번에 영구적으로 설정 또는 해제:
|
||||
|
||||
`sudo setsebool -P {{ftpd_use_fusefs=1 mount_anyfile=0 ...}}`
|
||||
|
||||
- 불리언을 영구적으로 설정 또는 해제 (대안 방법으로 `semanage-boolean` 사용):
|
||||
|
||||
`sudo semanage boolean {{-m|--modify}} {{-1|--on|-0|--off}} {{haproxy_connect_any}}`
|
20
pages.ko/linux/setserial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etserial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etserial
|
||||
|
||||
> 시리얼 포트 정보를 읽고 수정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tserial>.
|
||||
|
||||
- 특정 시리얼 장치에 대한 모든 정보 출력:
|
||||
|
||||
`setserial -a {{/dev/cuaN}}`
|
||||
|
||||
- 특정 시리얼 장치의 구성 요약 출력 (부팅 과정에서 출력할 때 유용):
|
||||
|
||||
`setserial -b {{장치}}`
|
||||
|
||||
- 장치에 특정 구성 매개변수 설정:
|
||||
|
||||
`sudo setserial {{장치}} {{매개변수}}`
|
||||
|
||||
- 장치 목록의 구성 출력:
|
||||
|
||||
`setserial -g {{장치1 장치2 ...}}`
|
25
pages.ko/linux/setsid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setsid.md
Normal file
@@ -0,0 +1,25 @@
|
||||
# setsid
|
||||
|
||||
> 호출 프로세스가 프로세스 그룹 리더가 아닌 경우 새 세션에서 프로그램을 실행.
|
||||
> 생성된 세션은 기본적으로 현재 터미널에 의해 제어되지 않음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tsid>.
|
||||
|
||||
- 새 세션에서 프로그램 실행:
|
||||
|
||||
`setsid {{프로그램}}`
|
||||
|
||||
- 결과 출력 및 오류를 무시하며 새 세션에서 프로그램 실행:
|
||||
|
||||
`setsid {{프로그램}} > /dev/null 2>&1`
|
||||
|
||||
- 새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프로그램 실행:
|
||||
|
||||
`setsid --fork {{프로그램}}`
|
||||
|
||||
-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해당 종료 코드를 setsid의 종료 코드로 반환:
|
||||
|
||||
`setsid --wait {{프로그램}}`
|
||||
|
||||
- 현재 터미널을 제어 터미널로 설정하여 새 세션에서 프로그램 실행:
|
||||
|
||||
`setsid --ctty {{프로그램}}`
|
28
pages.ko/linux/setxkbmap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etxkbmap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setxkbmap
|
||||
|
||||
> X Keyboard Extension을 사용하여 키보드를 설정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etxkbmap>.
|
||||
|
||||
- 키보드를 프랑스어 AZERTY로 설정:
|
||||
|
||||
`setxkbmap {{fr}}`
|
||||
|
||||
- 여러 키보드 레이아웃, 변형 및 전환 옵션 설정:
|
||||
|
||||
`setxkbmap -layout {{us,de}} -variant {{,qwerty}} -option {{'grp:alt_caps_toggle'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보기:
|
||||
|
||||
`setxkbmap -help`
|
||||
|
||||
- 모든 레이아웃 나열:
|
||||
|
||||
`localectl list-x11-keymap-layouts`
|
||||
|
||||
- 레이아웃의 변형 나열:
|
||||
|
||||
`localectl list-x11-keymap-variants {{de}}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전환 옵션 나열:
|
||||
|
||||
`localectl list-x11-keymap-options | grep grp:`
|
24
pages.ko/linux/sfdisk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fdisk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fdisk
|
||||
|
||||
> 디스크 파티션 테이블을 표시하거나 조작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fdisk>.
|
||||
|
||||
- 파티션 레이아웃을 파일로 백업:
|
||||
|
||||
`sudo sfdisk {{-d|--dump}} {{경로/대상/장치}} > {{경로/대상/파일.dump}}`
|
||||
|
||||
- 파티션 레이아웃 복원:
|
||||
|
||||
`sudo sfdisk {{경로/대상/장치}} < {{경로/대상/파일.dump}}`
|
||||
|
||||
- 파티션 유형 설정:
|
||||
|
||||
`sfdisk --part-type {{경로/대상/장치}}} {{파티션_번호}} {{swap}}`
|
||||
|
||||
- 파티션 삭제:
|
||||
|
||||
`sfdisk --delete {{경로/대상/장치}} {{파티션_번호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sfdisk {{-h|--help}}`
|
24
pages.ko/linux/sfill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fill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fill
|
||||
|
||||
> 지정된 디렉터리가 위치한 파티션의 여유 공간과 inode를 안전하게 덮어쓰기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fill>.
|
||||
|
||||
- 38번 덮어쓰기하여 디스크의 여유 공간과 inode 덮어쓰기(느리지만 안전):
|
||||
|
||||
`sfill {{/경로/대상/마운트된_디스크_디렉터리}}`
|
||||
|
||||
- 6번 덮어쓰기하여 디스크의 여유 공간과 inode 덮어쓰기(빠르지만 덜 안전) 및 상태 표시:
|
||||
|
||||
`sfill -l -v {{/경로/대상/마운트된_디스크_디렉터리}}`
|
||||
|
||||
- 1번 덮어쓰기하여 디스크의 여유 공간과 inode 덮어쓰기(매우 빠르지만 안전하지 않음) 및 상태 표시:
|
||||
|
||||
`sfill -ll -v {{/경로/대상/마운트된_디스크_디렉터리}}`
|
||||
|
||||
- 디스크의 여유 공간만 덮어쓰기:
|
||||
|
||||
`sfill -I {{/경로/대상/마운트된_디스크_디렉터리}}`
|
||||
|
||||
- 디스크의 여유 inode만 덮어쓰기:
|
||||
|
||||
`sfill -i {{/경로/대상/마운트된_디스크_디렉터리}}`
|
16
pages.ko/linux/sh5util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sh5util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sh5util
|
||||
|
||||
> `sacct_gather_profile` 플러그인이 생성한 HDF5 파일 병합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h5util.html>.
|
||||
|
||||
- 지정된 작업 또는 단계에 대해 각 할당된 노드에서 생성된 HDF5 파일 병합:
|
||||
|
||||
`sh5util --jobs={{작업_ID|작업_ID.단계_ID}}`
|
||||
|
||||
- 병합된 작업 파일에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시리즈 추출:
|
||||
|
||||
`sh5util --jobs={{작업_ID|작업_ID.단계_ID}} --extract -i {{경로/대상/파일.h5}} --series={{Energy|Filesystem|Network|Task}}`
|
||||
|
||||
- 병합된 작업 파일에서 모든 노드의 하나의 데이터 항목 추출:
|
||||
|
||||
`sh5util --jobs={{작업_ID|작업_ID.단계_ID}} --item-extract --series={{Energy|Filesystem|Network|Task}} --data={{데이터_항목}}`
|
24
pages.ko/linux/shar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har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har
|
||||
|
||||
> 쉘 아카이브 생성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gnu.org/software/sharutils/manual/sharutils.html>.
|
||||
|
||||
- 주어진 파일들을 포함하고 실행 시 해당 파일들을 추출하는 쉘 스크립트 생성:
|
||||
|
||||
`shar --vanilla-operation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 > {{경로/대상/아카이브.sh}}`
|
||||
|
||||
- 아카이브 내 파일들을 압축:
|
||||
|
||||
`shar --compactor {{xz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 > {{경로/대상/아카이브.sh}}`
|
||||
|
||||
- 모든 파일을 바이너리로 처리 (즉, 모든 것을 `uuencode`):
|
||||
|
||||
`shar --uuencode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 > {{경로/대상/아카이브.sh}}`
|
||||
|
||||
- 모든 파일을 텍스트로 처리 (즉, 아무것도 `uuencode`하지 않음):
|
||||
|
||||
`shar --text-files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 > {{경로/대상/아카이브.sh}}`
|
||||
|
||||
- 아카이브의 헤더 주석에 이름과 컷 마크 포함:
|
||||
|
||||
`shar --archive-name "{{내_파일}}" --cut-mark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 > {{경로/대상/아카이브.sh}}`
|
32
pages.ko/linux/sherlock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sherlock.md
Normal file
@@ -0,0 +1,32 @@
|
||||
# sherlock
|
||||
|
||||
> 소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명을 찾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sherlock-project/sherlock>.
|
||||
|
||||
- 소셜 네트워크에서 특정 사용자명을 검색하고 결과를 [f]파일에 저장:
|
||||
|
||||
`sherlock {{사용자명}} --output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소셜 네트워크에서 특정 사용자명을 검색하고 결과를 [f]폴더에 저장:
|
||||
|
||||
`sherlock {{사용자명1 사용자명2 ...}} --folderoutput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Tor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소셜 네트워크에서 특정 사용자명 검색:
|
||||
|
||||
`sherlock --tor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각 요청 후 새로운 Tor 회로로 요청 수행:
|
||||
|
||||
`sherlock --unique-tor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프록시를 사용하여 소셜 네트워크에서 특정 사용자명 검색:
|
||||
|
||||
`sherlock {{사용자명}} --proxy {{프록시_URL}}`
|
||||
|
||||
- 소셜 네트워크에서 특정 사용자명을 검색하고 결과를 기본 웹 브라우저에서 열기:
|
||||
|
||||
`sherlock {{사용자명}} --browse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sherlock --help`
|
21
pages.ko/linux/shiny-mirrors.md
Normal file
21
pages.ko/linux/shiny-mirrors.md
Normal file
@@ -0,0 +1,21 @@
|
||||
# shiny-mirrors
|
||||
|
||||
> Manjaro Linux용 `pacman` 미러 목록 생성.
|
||||
> shiny-mirrors를 실행할 때마다 `sudo pacman -Syyu` 명령어로 데이터베이스를 동기화하고 시스템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lab.com/Arisa_Snowbell/shiny-mirrors/-/blob/domina/shiny-mirrors/man/shiny-mirrors.md>.
|
||||
|
||||
- 현재 미러 상태 확인:
|
||||
|
||||
`shiny-mirrors status`
|
||||
|
||||
- 기본 동작으로 미러 목록 생성:
|
||||
|
||||
`sudo shiny-mirrors refresh`
|
||||
|
||||
- 현재 구성 파일 표시:
|
||||
|
||||
`shiny-mirrors config show`
|
||||
|
||||
- 다른 브랜치로 대화식 전환:
|
||||
|
||||
`sudo shiny-mirrors config --branch`
|
20
pages.ko/linux/shnsplit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hnsplit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hnsplit
|
||||
|
||||
> `.cue` 파일에 따라 오디오 파일을 분할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://shnutils.freeshell.org/shntool/>.
|
||||
|
||||
- `.wav` + `.cue` 파일을 여러 파일로 분할:
|
||||
|
||||
`shnsplit -f {{경로/대상/파일.cue}} {{경로/대상/파일.wav}}`
|
||||
|
||||
- 지원되는 형식 표시:
|
||||
|
||||
`shnsplit -a`
|
||||
|
||||
- `.flac` 파일을 여러 파일로 분할:
|
||||
|
||||
`shnsplit -f {{경로/대상/파일.cue}} -o flac {{경로/대상/파일.flac}}`
|
||||
|
||||
- `.wav` 파일을 "트랙 번호 - 앨범 - 제목" 형식으로 분할:
|
||||
|
||||
`shnsplit -f {{경로/대상/파일.cue}} {{경로/대상/파일.wav}} -t "%n - %a - %t"`
|
7
pages.ko/linux/shntool-split.md
Normal file
7
pages.ko/linux/shntool-split.md
Normal file
@@ -0,0 +1,7 @@
|
||||
# shntool split
|
||||
|
||||
> 이 명령어는 `shnsplit`의 별칭입니다.
|
||||
|
||||
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shnsplit`
|
24
pages.ko/linux/showkey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howkey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howkey
|
||||
|
||||
> 키보드에서 누른 키의 키코드를 표시하여 키보드 관련 문제 디버깅 및 키 매핑에 유용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howkey>.
|
||||
|
||||
- 키코드를 10진수로 보기:
|
||||
|
||||
`sudo showkey`
|
||||
|
||||
- 스캔코드를 16진수로 표시:
|
||||
|
||||
`sudo showkey {{-s|--scancodes}}`
|
||||
|
||||
- 키코드를 10진수로 표시 (기본값):
|
||||
|
||||
`sudo showkey {{-k|--keycodes}}`
|
||||
|
||||
- 키코드를 ASCII, 10진수, 16진수로 표시:
|
||||
|
||||
`sudo showkey {{-a|--ascii}}`
|
||||
|
||||
- 프로그램 종료:
|
||||
|
||||
`Ctrl + d`
|
24
pages.ko/linux/shutdown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hutdown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hutdown
|
||||
|
||||
> 시스템 종료 및 재부팅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hutdown.8>.
|
||||
|
||||
- 즉시 전원 끄기 ([h]alt):
|
||||
|
||||
`shutdown -h now`
|
||||
|
||||
- 즉시 [r]재부팅:
|
||||
|
||||
`shutdown -r now`
|
||||
|
||||
- 5분 후 [r]재부팅:
|
||||
|
||||
`shutdown -r +{{5}} &`
|
||||
|
||||
- 오후 1시에 종료하기 (24시간 [h] 형식 사용):
|
||||
|
||||
`shutdown -h 13:00`
|
||||
|
||||
- 보류 중인 종료/재부팅 작업 [c]취소:
|
||||
|
||||
`shutdown -c`
|
29
pages.ko/linux/sic.md
Normal file
29
pages.ko/linux/sic.md
Normal file
@@ -0,0 +1,29 @@
|
||||
# sic
|
||||
|
||||
> Simple IRC 클라이언트.
|
||||
> suckless 도구의 일부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tools.suckless.org/sic/>.
|
||||
|
||||
- 기본 호스트(irc.ofct.net)에 `$USER` 환경 변수에 설정된 닉네임으로 연결:
|
||||
|
||||
`sic`
|
||||
|
||||
- 주어진 호스트에 주어진 닉네임으로 연결:
|
||||
|
||||
`sic -h {{호스트}} -n {{닉네임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호스트에 주어진 닉네임과 비밀번호로 연결:
|
||||
|
||||
`sic -h {{호스트}} -n {{닉네임}} -k {{비밀번호}}`
|
||||
|
||||
- 채널 참여:
|
||||
|
||||
`:j #{{채널}}<Enter>`
|
||||
|
||||
- 채널이나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:
|
||||
|
||||
`:m #{{채널|사용자}}<Enter>`
|
||||
|
||||
- 기본 채널이나 사용자 설정:
|
||||
|
||||
`:s #{{채널|사용자}}<Enter>`
|
12
pages.ko/linux/silentcast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silentcast.md
Normal file
@@ -0,0 +1,12 @@
|
||||
# silentcast
|
||||
|
||||
> Silent screencast 생성기. `.mkv` 및 애니메이션 GIF 형식으로 저장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colinkeenan/silentcast>.
|
||||
|
||||
- silentcast 시작:
|
||||
|
||||
`silentcast`
|
||||
|
||||
- 특정 디스플레이에서 silentcast 시작:
|
||||
|
||||
`silentcast --display={{디스플레이}}`
|
29
pages.ko/linux/sinfo.md
Normal file
29
pages.ko/linux/sinfo.md
Normal file
@@ -0,0 +1,29 @@
|
||||
# sinfo
|
||||
|
||||
> Slurm 노드 및 파티션 정보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squeue` 및 `sbatch`, 이는 Slurm 작업 관리자에 포함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info.html>.
|
||||
|
||||
- 클러스터의 빠른 요약 개요 표시:
|
||||
|
||||
`sinfo --summarize`
|
||||
|
||||
- 클러스터 전체의 모든 파티션에 대한 자세한 상태 보기:
|
||||
|
||||
`sinfo`
|
||||
|
||||
- 특정 파티션에 대한 자세한 상태 보기:
|
||||
|
||||
`sinfo --partition {{파티션_이름}}`
|
||||
|
||||
- 유휴 노드 정보 보기:
|
||||
|
||||
`sinfo --states {{idle}}`
|
||||
|
||||
- 죽은 노드 요약:
|
||||
|
||||
`sinfo --dead`
|
||||
|
||||
- 죽은 노드와 그 이유 나열:
|
||||
|
||||
`sinfo --list-reasons`
|
20
pages.ko/linux/size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ize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ize
|
||||
|
||||
> 바이너리 파일 내부 섹션의 크기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ourceware.org/binutils/docs/binutils/size.html>.
|
||||
|
||||
- 주어진 오브젝트 또는 실행 파일의 섹션 크기 표시:
|
||||
|
||||
`size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오브젝트 또는 실행 파일의 섹션 크기를 [o]팔진수로 표시:
|
||||
|
||||
`size {{-o|--radix=8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오브젝트 또는 실행 파일의 섹션 크기를 [d]십진수로 표시:
|
||||
|
||||
`size {{-d|--radix=10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오브젝트 또는 실행 파일의 섹션 크기를 [x]십육진수로 표시:
|
||||
|
||||
`size {{-x|--radix=16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29
pages.ko/linux/slapt-get.md
Normal file
29
pages.ko/linux/slapt-get.md
Normal file
@@ -0,0 +1,29 @@
|
||||
# slapt-get
|
||||
|
||||
> Slackware 패키지 관리를 위한 `apt`와 유사한 시스템.
|
||||
> slapt-getrc 파일에서 패키지 소스를 구성해야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oftware.jaos.org>.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패키지 및 버전 목록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slapt-get --update`
|
||||
|
||||
-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slapt-get --install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패키지 제거:
|
||||
|
||||
`slapt-get --remove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:
|
||||
|
||||
`slapt-get --upgrade`
|
||||
|
||||
- 패키지 이름, 디스크 세트 또는 버전으로 패키지 검색:
|
||||
|
||||
`slapt-get --search {{쿼리}}`
|
||||
|
||||
- 패키지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lapt-get --show {{패키지}}`
|
25
pages.ko/linux/slapt-src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slapt-src.md
Normal file
@@ -0,0 +1,25 @@
|
||||
# slapt-src
|
||||
|
||||
> SlackBuilds의 빌드를 자동화하는 유틸리티.
|
||||
> SlackBuild 소스는 slapt-srcrc 파일에 구성해야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jaos/slapt-src>.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SlackBuilds 및 버전 목록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slapt-src --update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모든 SlackBuilds 나열:
|
||||
|
||||
`slapt-src --list`
|
||||
|
||||
- 지정된 SlackBuild(들)을 가져와서 빌드하고 설치:
|
||||
|
||||
`slapt-src --install {{slackbuild_이름}}`
|
||||
|
||||
- 이름 또는 설명으로 SlackBuilds 찾기:
|
||||
|
||||
`slapt-src --search {{검색_어구}}`
|
||||
|
||||
- SlackBuild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lapt-src --show {{slackbuild_이름}}`
|
20
pages.ko/linux/sleep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leep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leep
|
||||
|
||||
> 지정된 시간만큼 지연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gnu.org/software/coreutils/sleep>.
|
||||
|
||||
- 초 단위로 지연:
|
||||
|
||||
`sleep {{초}}`
|
||||
|
||||
- [m]분 단위로 지연 (다른 단위로는 [d]일, [h]시간, [s]초, [inf]무한대 사용 가능):
|
||||
|
||||
`sleep {{분}}m`
|
||||
|
||||
- 1[d]일 3[h]시간 동안 지연:
|
||||
|
||||
`sleep 1d 3h`
|
||||
|
||||
- 20[m]분 지연 후 특정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sleep 20m && {{명령}}`
|
24
pages.ko/linux/slop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lop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lop
|
||||
|
||||
> 화면의 선택 영역을 가져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naelstrof/slop>.
|
||||
|
||||
- 사용자가 선택할 때까지 기다린 후 그 기하정보를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slop`
|
||||
|
||||
- 드래그하여 선택하는 대신 더블 클릭하여 선택:
|
||||
|
||||
`slop -D`
|
||||
|
||||
- 선택 영역을 윤곽선 대신 강조:
|
||||
|
||||
`slop -l`
|
||||
|
||||
- 출력 형식 지정:
|
||||
|
||||
`slop -f {{형식_문자열}}`
|
||||
|
||||
- 선택 사각형의 색상 지정:
|
||||
|
||||
`slop -c {{빨강}},{{초록}},{{파랑}},{{알파}}`
|
24
pages.ko/linux/slurmctld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lurmctld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lurmctld
|
||||
|
||||
> 모든 다른 Slurm 데몬과 리소스를 모니터링하고 작업(잡)을 수락하며, 해당 작업에 리소스를 할당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lurmctld.html>.
|
||||
|
||||
- 마지막 체크포인트에서 이전 `slurmctld` 상태를 모두 지우기:
|
||||
|
||||
`slurmctld -c`
|
||||
|
||||
- 데몬의 우선순위 값을 지정된 값으로 설정 (일반적으로 음수):
|
||||
|
||||
`slurmctld -n {{값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파일에 로그 메시지 기록:
|
||||
|
||||
`slurmctld -L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slurmctld -h`
|
||||
|
||||
- 버전 표시:
|
||||
|
||||
`slurmctld -V`
|
24
pages.ko/linux/slurmd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lurmd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lurmd
|
||||
|
||||
> 컴퓨트 노드에서 실행 중인 모든 작업을 모니터링하고, 작업을 수락, 실행 및 요청 시 실행 중인 작업을 종료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lurmd.html>.
|
||||
|
||||
- 데몬이 재시작될 때 노드가 재부팅되었다고 보고 (테스트 목적으로 사용됨):
|
||||
|
||||
`slurmd -b`
|
||||
|
||||
- 지정된 노드명으로 데몬 실행:
|
||||
|
||||
`slurmd -N {{노드명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파일에 로그 메시지 기록:
|
||||
|
||||
`slurmd -L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파일에서 설정 읽기:
|
||||
|
||||
`slurmd -f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slurmd -h`
|
20
pages.ko/linux/slurmdbd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lurmdbd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lurmdbd
|
||||
|
||||
> Slurm를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안전한 엔터프라이즈 인터페이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lurmdbd.html>.
|
||||
|
||||
- 데몬의 우선순위를 지정된 값(일반적으로 음수)으로 설정:
|
||||
|
||||
`slurmdbd -n {{값}}`
|
||||
|
||||
- `slurmdbd`의 작업 디렉토리를 LogFile 경로 또는 `/var/tmp`로 변경:
|
||||
|
||||
`slurmdbd -s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slurmdbd -h`
|
||||
|
||||
- 버전 표시:
|
||||
|
||||
`slurmdbd -V`
|
28
pages.ko/linux/slurmrestd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lurmrestd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slurmrestd
|
||||
|
||||
> REST API를 통해 Slurm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도구입니다. *Inetd 모드* 및 *Listen 모드*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lurmrestd.html>.
|
||||
|
||||
-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기 전에 그룹 ID를 변경하고 보조 그룹을 제거:
|
||||
|
||||
`slurmrestd --g {{그룹_ID}} {{[호스트]:포트 | unix:/경로/대상/소켓}}`
|
||||
|
||||
- 로드할 인증 플러그인의 쉼표로 구분된 목록:
|
||||
|
||||
`slurmrestd -a {{인증_플러그인}} {{[호스트]:포트 | unix:/경로/대상/소켓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파일에서 Slurm 설정 읽기:
|
||||
|
||||
`slurmrestd -f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기 전에 사용자 ID 변경:
|
||||
|
||||
`slurmrestd -u {{사용자_ID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slurmrestd -h`
|
||||
|
||||
- 버전 표시:
|
||||
|
||||
`slurmrestd -V`
|
9
pages.ko/linux/slurmstepd.md
Normal file
9
pages.ko/linux/slurmstepd.md
Normal file
@@ -0,0 +1,9 @@
|
||||
# slurmstepd
|
||||
|
||||
> 다단계 작업 내 개별 작업 단계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Slurm 데몬.
|
||||
> 수동으로 호출해서는 안 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lurmstepd.html>.
|
||||
|
||||
- 데몬 시작:
|
||||
|
||||
`slurmstepd`
|
28
pages.ko/linux/slurp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lurp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slurp
|
||||
|
||||
> Wayland 컴포지터에서 영역을 선택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emersion/slurp>.
|
||||
|
||||
- 영역을 선택하고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slurp`
|
||||
|
||||
-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영역의 크기를 표시하면서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slurp -d`
|
||||
|
||||
- 영역 대신 단일 지점 선택:
|
||||
|
||||
`slurp -p`
|
||||
|
||||
- 출력물을 선택하고 그 이름을 출력:
|
||||
|
||||
`slurp -o -f '%o'`
|
||||
|
||||
- 특정 영역을 선택하고 `grim`을 사용하여 테두리가 없는 스크린샷 찍기:
|
||||
|
||||
`grim -g "$(slurp -w 0)"`
|
||||
|
||||
- 특정 영역을 선택하고 `wf-recorder`를 사용하여 테두리가 없는 비디오 촬영:
|
||||
|
||||
`wf-recorder --geometry "$(slurp -w 0)"`
|
28
pages.ko/linux/sm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m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sm
|
||||
|
||||
> 전체 화면에 짧은 메시지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nomeata/screen-message>.
|
||||
|
||||
- 메시지를 전체 화면에 표시:
|
||||
|
||||
`sm "{{Hello World!}}"`
|
||||
|
||||
- 색상을 반전하여 메시지를 표시:
|
||||
|
||||
`sm -i "{{Hello World!}}"`
|
||||
|
||||
- 사용자 지정 전경색으로 메시지를 표시:
|
||||
|
||||
`sm -f {{파란색}} "{{Hello World!}}"`
|
||||
|
||||
- 사용자 지정 배경색으로 메시지를 표시:
|
||||
|
||||
`sm -b {{#008888}} "{{Hello World!}}"`
|
||||
|
||||
- 메시지를 3회 회전하여 표시 (90도씩 반시계 방향):
|
||||
|
||||
`sm -r {{3}} "{{Hello World!}}"`
|
||||
|
||||
- 다른 명령의 출력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표시:
|
||||
|
||||
`{{echo "Hello World!"}} | sm -`
|
32
pages.ko/linux/smbclient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smbclient.md
Normal file
@@ -0,0 +1,32 @@
|
||||
# smbclient
|
||||
|
||||
> 서버의 SMB/CIFS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한 FTP 유사 클라이언트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mbclient>.
|
||||
|
||||
- 공유 서버에 연결(비밀번호 입력이 필요하며, `exit` 명령으로 세션 종료):
|
||||
|
||||
`smbclient {{//서버/공유}}`
|
||||
|
||||
- 다른 사용자명으로 연결:
|
||||
|
||||
`smbclient {{//서버/공유}} --user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다른 작업 그룹으로 연결:
|
||||
|
||||
`smbclient {{//서버/공유}} --workgroup {{도메인}} --user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로 연결:
|
||||
|
||||
`smbclient {{//서버/공유}} --user {{사용자명%비밀번호}}`
|
||||
|
||||
- 서버에서 파일 다운로드:
|
||||
|
||||
`smbclient {{//서버/공유}} --directory {{경로/대상/폴더}} --command "get {{파일.txt}}"`
|
||||
|
||||
- 서버에 파일 업로드:
|
||||
|
||||
`smbclient {{//서버/공유}} --directory {{경로/대상/폴더}} --command "put {{파일.txt}}"`
|
||||
|
||||
- 서버의 공유 목록을 익명으로 나열:
|
||||
|
||||
`smbclient --list={{서버}} --no-pass`
|
20
pages.ko/linux/smbget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mbget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mbget
|
||||
|
||||
> SMB 서버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`wget` 유사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samba.org/samba/docs/current/man-html/smbget.1.html>.
|
||||
|
||||
- 서버에서 파일 다운로드:
|
||||
|
||||
`smbget {{smb://server/share/file}}`
|
||||
|
||||
- 공유 또는 폴더를 재귀적으로 다운로드:
|
||||
|
||||
`smbget --recursive {{smb://server/share}}`
|
||||
|
||||
-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로 연결:
|
||||
|
||||
`smbget {{smb://server/share/file}} --user {{사용자명%비밀번호}}`
|
||||
|
||||
- 암호화된 전송 요구:
|
||||
|
||||
`smbget {{smb://server/share/file}} --encrypt`
|
36
pages.ko/linux/smbmap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smbmap.md
Normal file
@@ -0,0 +1,36 @@
|
||||
# smbmap
|
||||
|
||||
> SMB 열거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ShawnDEvans/smbmap>.
|
||||
|
||||
- 사용자의 비밀번호 또는 NTLM 해시를 입력하여 호스트의 SMB 공유 및 권한 표시:
|
||||
|
||||
`smbmap -u {{사용자명}} --prompt -H {{IP}}`
|
||||
|
||||
- 도메인을 지정하고 비밀번호 NTLM 해시를 입력하여 호스트의 SMB 공유 및 권한 표시:
|
||||
|
||||
`smbmap -u {{사용자명}} --prompt -d {{도메인}} -H {{IP}}`
|
||||
|
||||
- SMB 공유를 표시하고 단일 수준의 디렉토리 및 파일 나열:
|
||||
|
||||
`smbmap -u {{사용자명}} --prompt -H {{IP}} -r`
|
||||
|
||||
- SMB 공유를 표시하고 정의된 수준의 디렉토리 및 파일을 재귀적으로 나열:
|
||||
|
||||
`smbmap -u {{사용자명}} --prompt -H {{IP}} -R --depth {{3}}`
|
||||
|
||||
- SMB 공유를 표시하고 디렉토리 및 파일을 재귀적으로 나열하며, 정규 표현식과 일치하는 파일 다운로드:
|
||||
|
||||
`smbmap -u {{사용자명}} --prompt -H {{IP}} -R -A {{패턴}}`
|
||||
|
||||
- SMB 공유를 표시하고 디렉토리 및 파일을 재귀적으로 나열하며, 정규 표현식과 일치하는 파일 내용을 검색:
|
||||
|
||||
`smbmap -u {{사용자명}} --prompt -H {{IP}} -R -F {{패턴}}`
|
||||
|
||||
- 원격 시스템에서 셸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smbmap -u {{사용자명}} --prompt -H {{IP}} -x {{명령}}`
|
||||
|
||||
- 파일을 원격 시스템에 업로드:
|
||||
|
||||
`smbmap -u {{사용자명}} --prompt -H {{IP}} --upload {{소스}} {{대상}}`
|
8
pages.ko/linux/smbnetfs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smbnetfs.md
Normal file
@@ -0,0 +1,8 @@
|
||||
# smbnetfs
|
||||
|
||||
> SMB 공유를 대화식으로 마운트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ourceforge.net/projects/smbnetfs/>.
|
||||
|
||||
- `mountpoint`에 공유 항목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:
|
||||
|
||||
`smbnetfs {{마운트_지점}}`
|
21
pages.ko/linux/smbpasswd.md
Normal file
21
pages.ko/linux/smbpasswd.md
Normal file
@@ -0,0 +1,21 @@
|
||||
# smbpasswd
|
||||
|
||||
> Samba 사용자 추가/제거 또는 비밀번호 변경.
|
||||
> Samba 사용자는 기존의 로컬 유닉스 계정이 있어야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mbpasswd.8>.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의 SMB 비밀번호 변경:
|
||||
|
||||
`smbpasswd`
|
||||
|
||||
- 지정된 사용자를 Samba에 추가하고 비밀번호 설정 (사용자는 시스템에 이미 존재해야 함):
|
||||
|
||||
`sudo smbpasswd -a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기존 Samba 사용자의 비밀번호 수정:
|
||||
|
||||
`sudo smbpasswd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Samba 사용자 삭제 (유닉스 계정이 삭제된 경우에는 `pdbedit` 사용):
|
||||
|
||||
`sudo smbpasswd -x {{사용자명}}`
|
20
pages.ko/linux/smem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mem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mem
|
||||
|
||||
> 프로그램의 메모리 사용량을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mem>.
|
||||
|
||||
- 현재 프로세스의 메모리 사용량 표시:
|
||||
|
||||
`smem`
|
||||
|
||||
-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의 현재 프로세스 메모리 사용량 표시:
|
||||
|
||||
`smem --users`
|
||||
|
||||
- 지정된 사용자의 현재 프로세스 메모리 사용량 표시:
|
||||
|
||||
`smem --userfilter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시스템 메모리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mem --system`
|
28
pages.ko/linux/snake4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nake4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snake4
|
||||
|
||||
> 터미널에서 실행하는 뱀 게임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nake4.6>.
|
||||
|
||||
- 뱀 게임 시작:
|
||||
|
||||
`snake4`
|
||||
|
||||
- 레벨 선택:
|
||||
|
||||
`{{1|2|3|4|5}}`
|
||||
|
||||
- 뱀 이동:
|
||||
|
||||
`{{위쪽|아래쪽|왼쪽|오른쪽 화살표 키}}`
|
||||
|
||||
- 게임 일시 중지:
|
||||
|
||||
`<스페이스바>`
|
||||
|
||||
- 게임 종료:
|
||||
|
||||
`q`
|
||||
|
||||
- 최고 점수 표시:
|
||||
|
||||
`snake4 --highscores`
|
8
pages.ko/linux/snake4scores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snake4scores.md
Normal file
@@ -0,0 +1,8 @@
|
||||
# snake4scores
|
||||
|
||||
> snake4 게임의 최고 점수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pages.debian.org/snake4/snake4.6.en.html>.
|
||||
|
||||
- 최고 점수 표시:
|
||||
|
||||
`snake4scores`
|
37
pages.ko/linux/snap.md
Normal file
37
pages.ko/linux/snap.md
Normal file
@@ -0,0 +1,37 @@
|
||||
# snap
|
||||
|
||||
> "snap"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.
|
||||
> `.deb` 파일에 대한 `apt`와 유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nap>.
|
||||
|
||||
- 패키지 검색:
|
||||
|
||||
`snap find {{검색어}}`
|
||||
|
||||
- 패키지 설치:
|
||||
|
||||
`snap install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패키지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snap refresh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패키지를 다른 채널(트랙, 위험도, 브랜치)로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snap refresh {{패키지}} --channel={{채널}}`
|
||||
|
||||
- 모든 패키지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snap refresh`
|
||||
|
||||
- 설치된 snap 소프트웨어의 기본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nap list`
|
||||
|
||||
- 패키지 제거:
|
||||
|
||||
`snap remove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시스템의 최근 snap 변경 사항 확인:
|
||||
|
||||
`snap changes`
|
28
pages.ko/linux/snapper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napper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snapper
|
||||
|
||||
> 파일 시스템 스냅샷 관리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://snapper.io/manpages/snapper.html>.
|
||||
|
||||
- 스냅샷 구성 목록 나열:
|
||||
|
||||
`snapper list-configs`
|
||||
|
||||
- 스냅퍼 구성 생성:
|
||||
|
||||
`snapper -c {{구성}} create-config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설명과 함께 스냅샷 생성:
|
||||
|
||||
`snapper -c {{구성}} create -d "{{스냅샷_설명}}"`
|
||||
|
||||
- 특정 구성의 스냅샷 목록 나열:
|
||||
|
||||
`snapper -c {{구성}} list`
|
||||
|
||||
- 스냅샷 삭제:
|
||||
|
||||
`snapper -c {{구성}} delete {{스냅샷_번호}}`
|
||||
|
||||
- 스냅샷 범위 삭제:
|
||||
|
||||
`snapper -c {{구성}} delete {{스냅샷1}}-{{스냅샷2}}`
|
24
pages.ko/linux/snmpwalk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nmpwalk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nmpwalk
|
||||
|
||||
> SNMP 쿼리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nmpwalk>.
|
||||
|
||||
- SNMPv1과 커뮤니티 문자열을 사용하여 원격 호스트의 시스템 정보 쿼리:
|
||||
|
||||
`snmpwalk -v1 -c {{커뮤니티}} {{ip}}`
|
||||
|
||||
- SNMPv2를 사용하여 지정된 포트에서 OID로 원격 호스트의 시스템 정보 쿼리:
|
||||
|
||||
`snmpwalk -v2c -c {{커뮤니티}} {{ip}}:{{포트}} {{oid}}`
|
||||
|
||||
- SNMPv3과 인증(암호화 없이)을 사용하여 OID로 원격 호스트의 시스템 정보 쿼리:
|
||||
|
||||
`snmpwalk -v3 -l {{authNoPriv}} -u {{사용자명}} -a {{MD5|SHA}} -A {{암호}} {{ip}} {{oid}}`
|
||||
|
||||
- SNMPv3과 인증 및 암호화를 사용하여 OID로 원격 호스트의 시스템 정보 쿼리:
|
||||
|
||||
`snmpwalk -v3 -l {{authPriv}} -u {{사용자명}} -a {{MD5|SHA}} -A {{인증_암호}} -x {{DES|AES}} -X {{암호화_암호}} {{ip}} {{oid}}`
|
||||
|
||||
- SNMPv3을 사용하여 인증 또는 암호화 없이 OID로 원격 호스트의 시스템 정보 쿼리:
|
||||
|
||||
`snmpwalk -v3 -l {{noAuthNoPriv}} -u {{사용자명}} {{ip}} {{oid}}`
|
29
pages.ko/linux/sockstat.md
Normal file
29
pages.ko/linux/sockstat.md
Normal file
@@ -0,0 +1,29 @@
|
||||
# sockstat
|
||||
|
||||
> 열린 인터넷 또는 UNIX 도메인 소켓 나열.
|
||||
> 같이 보기: `netstat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ockstat>.
|
||||
|
||||
- 대기 중이거나 연결된 IPv4 및 IPv6 소켓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ockstat`
|
||||
|
||||
- 특정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특정 포트에서 [l]대기 중인 IPv[4]/IPv[6] 소켓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ockstat -{{4|6}} -l -R {{tcp|udp|raw|unix}} -p {{포트1,포트2...}}`
|
||||
|
||||
- [c]연결된 소켓 및 [u]유닉스 소켓도 표시:
|
||||
|
||||
`sockstat -cu`
|
||||
|
||||
- 지정된 `pid` 또는 프로세스의 소켓만 표시:
|
||||
|
||||
`sockstat -P {{pid|프로세스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`uid` 또는 사용자의 소켓만 표시:
|
||||
|
||||
`sockstat -U {{uid|사용자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`gid` 또는 그룹의 소켓만 표시:
|
||||
|
||||
`sockstat -G {{gid|그룹}}`
|
21
pages.ko/linux/speaker-test.md
Normal file
21
pages.ko/linux/speaker-test.md
Normal file
@@ -0,0 +1,21 @@
|
||||
# speaker-test
|
||||
|
||||
> ALSA를 위한 스피커 테스트 톤 생성기.
|
||||
> 같이 보기: `aplay`, `arecord`, `amixer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peaker-test>.
|
||||
|
||||
- 핑크 노이즈로 기본 스피커 테스트:
|
||||
|
||||
`speaker-test`
|
||||
|
||||
- 사인파로 기본 스피커 테스트:
|
||||
|
||||
`speaker-test {{-t|--test}} sine {{-f|--frequency}} {{주파수}}`
|
||||
|
||||
- 미리 정의된 WAV 파일로 기본 스피커 테스트:
|
||||
|
||||
`speaker-test {{-t|--test}} wav`
|
||||
|
||||
- WAV 파일로 기본 스피커 테스트:
|
||||
|
||||
`speaker-test {{-t|--test}} wav {{-w|--wavfile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28
pages.ko/linux/spectre-meltdown-checker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pectre-meltdown-checker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spectre-meltdown-checker
|
||||
|
||||
> Spectre와 Meltdown 완화 감지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pectre-meltdown-checker>.
|
||||
|
||||
- 현재 실행 중인 커널을 Spectre 또는 Meltdown에 대해 검사:
|
||||
|
||||
`sudo spectre-meltdown-checker`
|
||||
|
||||
- 현재 실행 중인 커널을 검사하고 취약성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 설명 표시:
|
||||
|
||||
`sudo spectre-meltdown-checker --explain`
|
||||
|
||||
- 특정 변종 검사 (기본적으로 모두 검사):
|
||||
|
||||
`sudo spectre-meltdown-checker --variant {{1|2|3|3a|4|l1tf|msbds|mfbds|mlpds|mdsum|taa|mcespc|srbds}}`
|
||||
|
||||
- 특정 출력 형식을 사용하여 출력 표시:
|
||||
|
||||
`sudo spectre-meltdown-checker --batch {{text|json|nrpe|prometheus|short}}`
|
||||
|
||||
- `/sys` 인터페이스가 존재해도 사용하지 않음:
|
||||
|
||||
`sudo spectre-meltdown-checker --no-sysfs`
|
||||
|
||||
- 실행 중이지 않은 커널 검사:
|
||||
|
||||
`sudo spectre-meltdown-checker --kernel {{경로/대상/커널_파일}}`
|
8
pages.ko/linux/speedometer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speedometer.md
Normal file
@@ -0,0 +1,8 @@
|
||||
# speedometer
|
||||
|
||||
> 네트워크 트래픽 그래프를 터미널에 표시하는 Python 스크립트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excess.org/speedometer>.
|
||||
|
||||
- 특정 인터페이스의 그래프 표시:
|
||||
|
||||
`speedometer -r {{eth0}} -t {{eth0}}`
|
29
pages.ko/linux/speedread.md
Normal file
29
pages.ko/linux/speedread.md
Normal file
@@ -0,0 +1,29 @@
|
||||
# speedread
|
||||
|
||||
> 간단한 터미널 기반 오픈 소스 Spritz 유사 도구.
|
||||
> 입력된 텍스트를 단어별 RSVP(빠른 연속 시각적 표시)로 최적의 읽기 지점에 맞춰 표시하여, 눈이 한 곳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반적인 속도보다 훨씬 빠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게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pasky/speedread>.
|
||||
|
||||
- 특정 속도로 텍스트 파일 읽기:
|
||||
|
||||
`cat {{경로/대상/파일.txt}} | speedread -wpm {{250}}`
|
||||
|
||||
- 특정 줄부터 다시 시작:
|
||||
|
||||
`cat {{경로/대상/파일.txt}} | speedread -resume {{5}}`
|
||||
|
||||
- 한 번에 여러 단어를 표시:
|
||||
|
||||
`cat {{경로/대상/파일.txt}} | speedread -multiword`
|
||||
|
||||
- 읽기 중 10% 속도 감소:
|
||||
|
||||
`[`
|
||||
|
||||
- 읽기 중 10% 속도 증가:
|
||||
|
||||
`]`
|
||||
|
||||
- 일시 정지하고 마지막 몇 줄을 컨텍스트로 표시:
|
||||
|
||||
`<space>`
|
28
pages.ko/linux/spi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spi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spi
|
||||
|
||||
> 패키지와 슬랙빌드를 모두 관리하는 메타 패키지 관리자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gapan/spi>.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패키지와 슬랙빌드 목록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spi --update`
|
||||
|
||||
- 패키지 또는 슬랙빌드 설치:
|
||||
|
||||
`spi --install {{패키지/슬랙빌드_이름}}`
|
||||
|
||||
-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:
|
||||
|
||||
`spi --upgrade`
|
||||
|
||||
- 패키지 이름 또는 설명으로 패키지나 슬랙빌드 찾기:
|
||||
|
||||
`spi {{검색_어구}}`
|
||||
|
||||
- 패키지 또는 슬랙빌드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pi --show {{패키지/슬랙빌드_이름}}`
|
||||
|
||||
- 로컬 패키지 및 슬랙빌드 캐시 정리:
|
||||
|
||||
`spi --clean`
|
32
pages.ko/linux/sport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sport.md
Normal file
@@ -0,0 +1,32 @@
|
||||
# sport
|
||||
|
||||
> SlackBuilds 검색 및 설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://slackermedia.info/handbook/doku.php?id=slackbuilds>.
|
||||
|
||||
- `sport`를 처음 실행하기 위해 SlackBuild 목록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sudo mkdir -p /usr/ports && sudo rsync -av rsync://slackbuilds.org /slackbuilds/$(awk '{print $2}' /etc/slackware-version)/ /usr/ports/`
|
||||
|
||||
- `rsync`를 통해 시스템 트리의 업데이트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sudo sport rsync`
|
||||
|
||||
- 이름으로 패키지 검색:
|
||||
|
||||
`sport search "{{키워드}}"`
|
||||
|
||||
- 패키지가 설치되었는지 확인:
|
||||
|
||||
`sport check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패키지의 README 및 `.info` 파일 표시:
|
||||
|
||||
`sport cat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의존성이 해결된 후 패키지 설치:
|
||||
|
||||
`sudo sport install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파일에 있는 패키지 목록 설치 (형식: 공백으로 구분된 패키지):
|
||||
|
||||
`sudo sport install $(< {{경로/대상/목록}})`
|
24
pages.ko/linux/sprio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prio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prio
|
||||
|
||||
> 작업의 스케줄링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요소 보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prio.html>.
|
||||
|
||||
- 모든 작업의 스케줄링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요소 보기:
|
||||
|
||||
`sprio`
|
||||
|
||||
- 지정한 작업의 스케줄링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요소 보기:
|
||||
|
||||
`sprio --jobs={{작업_ID_1,작업_ID_2,...}}`
|
||||
|
||||
- 추가 정보를 출력:
|
||||
|
||||
`sprio --long`
|
||||
|
||||
- 지정한 사용자의 작업 정보를 보기:
|
||||
|
||||
`sprio --user={{사용자_이름_1,사용자_이름_2,...}}`
|
||||
|
||||
- 작업 스케줄링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각 요소의 가중치 출력:
|
||||
|
||||
`sprio --weights`
|
8
pages.ko/linux/sqfscat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sqfscat.md
Normal file
@@ -0,0 +1,8 @@
|
||||
# sqfscat
|
||||
|
||||
> squashfs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연결하고 `stdout`에 출력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qfscat>.
|
||||
|
||||
- squashfs 파일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파일 내용을 표시:
|
||||
|
||||
`sqfscat {{파일_시스템.squashfs}} {{파일1 파일2 ...}}`
|
24
pages.ko/linux/sqfstar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qfstar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qfstar
|
||||
|
||||
> tar 아카이브에서 squashfs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qfstar>.
|
||||
|
||||
- 압축되지 않은 tar 아카이브에서 기본적으로 `gzip`으로 압축된 squashfs 파일 시스템 생성:
|
||||
|
||||
`sqfstar {{파일_시스템.squashfs}} < {{아카이브.tar}}`
|
||||
|
||||
- `gzip`으로 압축된 tar 아카이브에서 특정 알고리즘으로 파일 시스템을 [comp]압축하여 squashfs 파일 시스템 생성:
|
||||
|
||||
`zcat {{아카이브.tar.gz}} | sqfstar -comp {{gzip|lzo|lz4|xz|zstd|lzma}} {{파일_시스템.squashfs}}`
|
||||
|
||||
- `xz`로 압축된 tar 아카이브에서 일부 파일을 제외하고 squashfs 파일 시스템 생성:
|
||||
|
||||
`xzcat {{아카이브.tar.xz}} | sqfstar {{파일_시스템.squashfs}} {{파일1 파일2 ...}}`
|
||||
|
||||
- `zstd`로 압축된 tar 아카이브에서 `.gz`로 끝나는 파일을 제외하고 squashfs 파일 시스템 생성:
|
||||
|
||||
`zstdcat {{아카이브.tar.zst}} | sqfstar {{파일_시스템.squashfs}} "{{*.gz}}"`
|
||||
|
||||
- `lz4`로 압축된 tar 아카이브에서 정규 표현식에 맞는 파일을 제외하고 squashfs 파일 시스템 생성:
|
||||
|
||||
`lz4cat {{아카이브.tar.lz4}} | sqfstar {{파일_시스템.squashfs}} -regex "{{정규_표현식}}"`
|
20
pages.ko/linux/squeue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queue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queue
|
||||
|
||||
> SLURM 스케줄러에 대기 중인 작업을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queue>.
|
||||
|
||||
- 대기열 보기:
|
||||
|
||||
`squeue`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에 의해 대기 중인 작업 보기:
|
||||
|
||||
`squeue -u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대기열을 5초마다 새로고침하여 보기:
|
||||
|
||||
`squeue -i {{5}}`
|
||||
|
||||
- 예상 시작 시간과 함께 대기열 보기:
|
||||
|
||||
`squeue --start`
|
16
pages.ko/linux/sreport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sreport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sreport
|
||||
|
||||
> 작업, 사용자, 클러스터에 대한 보고서를 회계 데이터에서 생성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report.html>.
|
||||
|
||||
- 파이프로 구분된 클러스터 사용량 데이터를 표시:
|
||||
|
||||
`sreport --parsable cluster utilization`
|
||||
|
||||
- 실행된 작업 수를 표시:
|
||||
|
||||
`sreport job sizes printjobcount`
|
||||
|
||||
- CPU 사용 시간이 가장 많은 사용자를 표시:
|
||||
|
||||
`sreport user topuser`
|
16
pages.ko/linux/srun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srun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srun
|
||||
|
||||
> 대화형 슬럼 작업을 생성하거나 기존 작업에 연결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run.html>.
|
||||
|
||||
- 기본 대화형 작업 제출:
|
||||
|
||||
`srun --pty /bin/bash`
|
||||
|
||||
- 다양한 속성으로 대화형 작업 제출:
|
||||
|
||||
`srun --ntasks-per-node={{코어_수}} --mem-per-cpu={{메모리_MB}} --pty /bin/bash`
|
||||
|
||||
- 작업이 실행 중인 워커 노드에 연결:
|
||||
|
||||
`srun --jobid={{작업_ID}} --pty /bin/bash`
|
36
pages.ko/linux/ss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ss.md
Normal file
@@ -0,0 +1,36 @@
|
||||
# ss
|
||||
|
||||
> 소켓을 조사하는 유틸리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ss.8>.
|
||||
|
||||
- 모든 TCP/UDP/RAW/UNIX 소켓 표시:
|
||||
|
||||
`ss -a {{-t|-u|-w|-x}}`
|
||||
|
||||
- 상태별로 TCP 소켓 필터링, 포함/제외:
|
||||
|
||||
`ss {{state/exclude}} {{bucket/big/connected/synchronized/...}}`
|
||||
|
||||
- 로컬 HTTPS 포트(443)에 연결된 모든 TCP 소켓 표시:
|
||||
|
||||
`ss -t src :{{443}}`
|
||||
|
||||
- 로컬 8080 포트에서 수신 중인 모든 TCP 소켓 표시:
|
||||
|
||||
`ss -lt src :{{8080}}`
|
||||
|
||||
- 원격 SSH 포트에 연결된 프로세스와 함께 모든 TCP 소켓 표시:
|
||||
|
||||
`ss -pt dst :{{ssh}}`
|
||||
|
||||
- 특정 소스 및 목적지 포트에 연결된 모든 UDP 소켓 표시:
|
||||
|
||||
`ss -u 'sport == :{{소스_포트}} and dport == :{{목적지_포트}}'`
|
||||
|
||||
- 서브넷 192.168.0.0/16에 로컬로 연결된 모든 TCP IPv4 소켓 표시:
|
||||
|
||||
`ss -4t src {{192.168/16}}`
|
||||
|
||||
- 목적지 IP 192.168.1.17 및 목적지 포트 8080의 IPv4 또는 IPv6 소켓 연결 종료:
|
||||
|
||||
`ss --kill dst {{192.168.1.17}} dport = {{8080}}`
|
20
pages.ko/linux/sshare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share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share
|
||||
|
||||
> 클러스터에 대한 연결의 공유 목록을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share.html>.
|
||||
|
||||
- Slurm 공유 정보 나열:
|
||||
|
||||
`sshare`
|
||||
|
||||
- 출력 형식 제어:
|
||||
|
||||
`sshare --{{parsable|parsable2|json|yaml}}`
|
||||
|
||||
- 표시할 필드 제어:
|
||||
|
||||
`sshare --format={{형식_문자열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만 표시:
|
||||
|
||||
`sshare --users={{사용자_ID_1,사용자_ID_2,...}}`
|
29
pages.ko/linux/sslstrip.md
Normal file
29
pages.ko/linux/sslstrip.md
Normal file
@@ -0,0 +1,29 @@
|
||||
# sslstrip
|
||||
|
||||
> Moxie Marlinspike의 Secure Sockets Layer (SSL) 스트리핑 공격을 수행합니다.
|
||||
> ARP 스푸핑 공격을 함께 수행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kali.org/tools/sslstrip/>.
|
||||
|
||||
- 기본으로 포트 10000에서 HTTPS POST 트래픽만 로깅:
|
||||
|
||||
`sslstrip`
|
||||
|
||||
- 포트 8080에서 HTTPS POST 트래픽만 로깅:
|
||||
|
||||
`sslstrip --listen={{8080}}`
|
||||
|
||||
- 포트 8080에서 서버와 주고받는 모든 SSL 트래픽 로깅:
|
||||
|
||||
`sslstrip --ssl --listen={{8080}}`
|
||||
|
||||
- 포트 8080에서 서버와 주고받는 모든 SSL 및 HTTP 트래픽 로깅:
|
||||
|
||||
`sslstrip --listen={{8080}} --all`
|
||||
|
||||
- 로그를 저장할 파일 경로 지정:
|
||||
|
||||
`sslstrip --listen={{8080}} --write=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sslstrip --help`
|
16
pages.ko/linux/sstat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sstat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sstat
|
||||
|
||||
> 실행 중인 작업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lurm.schedmd.com/sstat.html>.
|
||||
|
||||
- 쉼표로 구분된 작업 목록의 상태 정보를 표시:
|
||||
|
||||
`sstat --jobs={{작업_ID}}`
|
||||
|
||||
- 쉼표로 구분된 작업 목록의 작업 ID, 평균 CPU 및 평균 가상 메모리 크기를 파이프로 구분하여 표시:
|
||||
|
||||
`sstat --parsable --jobs={{작업_ID}} --format={{JobID,AveCPU,AveVMSize}}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필드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sstat --helpformat`
|
24
pages.ko/linux/st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st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st
|
||||
|
||||
> X Window System을 위한 간단한 터미널 에뮬레이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t.suckless.org>.
|
||||
|
||||
- 터미널 열기:
|
||||
|
||||
`st`
|
||||
|
||||
- 특정 제목을 가진 터미널 열기:
|
||||
|
||||
`st -T {{제목}}`
|
||||
|
||||
- 터미널을 열고, 지정된 명령을 실행하며 출력을 파일에 저장:
|
||||
|
||||
`st -o {{경로/대상/파일}} -e {{명령어 인수1 인수2}}`
|
||||
|
||||
- 글꼴 크기 증가/감소:
|
||||
|
||||
`<Ctrl> + <Shift> + {{Page Up|Page Down}}`
|
||||
|
||||
- 클립보드에서 복사/붙여넣기:
|
||||
|
||||
`<Ctrl> + <Shift> + {{C|V}}`
|
20
pages.ko/linux/startx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startx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startx
|
||||
|
||||
> 단일 X 윈도우 시스템 세션 실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`xinit`의 프론트엔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x.org/releases/X11R7.5/doc/man/man1/startx.1.html>.
|
||||
|
||||
- X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startx`
|
||||
|
||||
- 미리 정의된 깊이 값으로 X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startx -- -depth {{값}}`
|
||||
|
||||
- 미리 정의된 DPI 값으로 X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startx -- -dpi {{값}}`
|
||||
|
||||
- `.xinitrc` 파일의 설정을 무시하고 새 X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startx /{{경로/대상/윈도우_매니저_또는_데스크톱_환경}}`
|
8
pages.ko/linux/steamos-add-to-steam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steamos-add-to-steam.md
Normal file
@@ -0,0 +1,8 @@
|
||||
# steamos-add-to-steam
|
||||
|
||||
> Steam 라이브러리에 프로그램 추가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lab.com/users/evlaV/projects>.
|
||||
|
||||
- 프로그램을 Steam 라이브러리에 추가:
|
||||
|
||||
`steamos-add-to-steam {{경로/대상/파일}}`
|
8
pages.ko/linux/steamos-dump-info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steamos-dump-info.md
Normal file
@@ -0,0 +1,8 @@
|
||||
# steamos-dump-info
|
||||
|
||||
> SteamOS 시스템 정보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lab.com/users/evlaV/projects>.
|
||||
|
||||
- SteamOS 시스템 정보 보기:
|
||||
|
||||
`sudo steamos-dump-info`
|
12
pages.ko/linux/steamos-readonly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steamos-readonly.md
Normal file
@@ -0,0 +1,12 @@
|
||||
# steamos-readonly
|
||||
|
||||
> 파일 시스템의 읽기 전용 상태 설정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lab.com/users/evlaV/projects>.
|
||||
|
||||
- 파일 시스템을 수정 가능하게 설정:
|
||||
|
||||
`sudo steamos-readonly disable`
|
||||
|
||||
- 파일 시스템을 읽기 전용으로 설정:
|
||||
|
||||
`sudo steamos-readonly enable`
|
Some files were not shown because too many files have changed in this diff Show More
Reference in New Issue
Block a use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