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reebsd/*,netbsd/*,openbsd/*,sunos/*: add Korean translation (#13120)
* freebsd/*: add Korean translation * netbsd/*: add Korean translation * openbsd/*: add Korean translation * sunos/*: add Korean translation * freebsd/look: update Korean translation * prstat: fix placeholder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36
pages.ko/netbsd/cal.md
Normal file
36
pages.ko/netbsd/cal.md
Normal file
@@ -0,0 +1,36 @@
|
||||
# cal
|
||||
|
||||
> 달력을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.freebsd.org/cgi/man.cgi?cal>.
|
||||
|
||||
- 현재 월의 달력 표시:
|
||||
|
||||
`cal`
|
||||
|
||||
- 특정 연도의 달력 표시:
|
||||
|
||||
`cal {{연도}}`
|
||||
|
||||
- 특정 월과 연도의 달력 표시:
|
||||
|
||||
`cal {{월}} {{연도}}`
|
||||
|
||||
- 1부터 시작하는 율리우스력을 사용해 현재 연도의 전체 달력 표시:
|
||||
|
||||
`cal -y -j`
|
||||
|
||||
- 오늘을 강조하고 날짜를 포함해 3개월 표시:
|
||||
|
||||
`cal -h -3 {{월}} {{연도}}`
|
||||
|
||||
- 현재 연도의 특정 월의 이전 2개월과 이후 3개월 표시:
|
||||
|
||||
`cal -A 3 -B 2 {{월}}`
|
||||
|
||||
- 지정한 월의 이전 및 이후의 월 수를 지정:
|
||||
|
||||
`cal -C {{월 수}} {{월}}`
|
||||
|
||||
- 주의 시작 요일을 지정 (0: 일요일, 1: 월요일, ..., 6: 토요일):
|
||||
|
||||
`cal -d {{0..6}}`
|
7
pages.ko/netbsd/chfn.md
Normal file
7
pages.ko/netbsd/chfn.md
Normal file
@@ -0,0 +1,7 @@
|
||||
# chfn
|
||||
|
||||
> 이 명령어는 `chpass`의 에일리어스 (별칭) 입니다.
|
||||
|
||||
- 원본 명령의 도큐멘테이션 (설명서) 보기:
|
||||
|
||||
`tldr chpass`
|
29
pages.ko/netbsd/chpass.md
Normal file
29
pages.ko/netbsd/chpass.md
Normal file
@@ -0,0 +1,29 @@
|
||||
# chpass
|
||||
|
||||
>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정보, 로그인 셸 및 비밀번호를 추가하거나 변경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passwd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.openbsd.org/chsh>.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에게 특정 로그인 셸을 대화식으로 설정:
|
||||
|
||||
`su -c chpass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에게 특정 로그인 셸 설정:
|
||||
|
||||
`chpass -s {{경로/대상/셸}}`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에게 로그인 셸 설정:
|
||||
|
||||
`chpass chsh -s {{경로/대상/셸}}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`passwd` 파일 형식으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항목 지정:
|
||||
|
||||
`su -c 'chpass -a {{사용자명:암호화된_비밀번호:uid:gid:...}} -s {{경로/대상/파일}}'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로컬 비밀번호 파일만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su -c 'chpass -l -s {{경로/대상/셸}}'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데이터베이스 [y]P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 항목을 강제로 변경:
|
||||
|
||||
`su -c 'chpass -y -s {{경로/대상/셸}}' {{사용자명}}`
|
7
pages.ko/netbsd/chsh.md
Normal file
7
pages.ko/netbsd/chsh.md
Normal file
@@ -0,0 +1,7 @@
|
||||
# chsh
|
||||
|
||||
> 이 명령어는 `chpass`의 에일리어스 (별칭) 입니다.
|
||||
|
||||
- 원본 명령의 도큐멘테이션 (설명서) 보기:
|
||||
|
||||
`tldr chpass`
|
32
pages.ko/netbsd/df.md
Normal file
32
pages.ko/netbsd/df.md
Normal file
@@ -0,0 +1,32 @@
|
||||
# df
|
||||
|
||||
> 파일 시스템 디스크 공간 사용량 개요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.netbsd.org/NetBSD-9.3/df.1>.
|
||||
|
||||
- 512바이트 단위로 모든 파일 시스템과 디스크 사용량 표시:
|
||||
|
||||
`df`
|
||||
|
||||
- [h]uman-readable 단위 사용 (1024의 거듭제곱에 기반):
|
||||
|
||||
`df -h`
|
||||
|
||||
- `statvfs`에 의해 반환된 구조체의 모든 필드 표시:
|
||||
|
||||
`df -G`
|
||||
|
||||
- 주어진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파일 시스템과 해당 디스크 사용량 표시:
|
||||
|
||||
`df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
|
||||
|
||||
- 빈 및 사용중인 [i]노드의 통계 포함:
|
||||
|
||||
`df -i`
|
||||
|
||||
- 공간 값을 쓸 때 1024바이트 단위 사용:
|
||||
|
||||
`df -k`
|
||||
|
||||
- [P]ortable한 방식으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df -P`
|
28
pages.ko/netbsd/pkgin.md
Normal file
28
pages.ko/netbsd/pkgin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pkgin
|
||||
|
||||
> NetBSD에서 `pkgsrc` 바이너리 패키지를 관리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pkgin.net/#usage>.
|
||||
|
||||
- 패키지 설치:
|
||||
|
||||
`pkgin install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패키지 및 해당 의존성 제거:
|
||||
|
||||
`pkgin remove {{패키지}}`
|
||||
|
||||
- 모든 패키지 업그레이드:
|
||||
|
||||
`pkgin full-upgrade`
|
||||
|
||||
- 패키지 검색:
|
||||
|
||||
`pkgin search {{키워드}}`
|
||||
|
||||
- 설치된 패키지 나열:
|
||||
|
||||
`pkgin list`
|
||||
|
||||
- 필요없는 의존성 제거:
|
||||
|
||||
`pkgin autoremove`
|
33
pages.ko/netbsd/sed.md
Normal file
33
pages.ko/netbsd/sed.md
Normal file
@@ -0,0 +1,33 @@
|
||||
# sed
|
||||
|
||||
> 스크립트로 텍스트를 편집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awk`, `ed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.netbsd.org/sed.1>.
|
||||
|
||||
- 모든 입력 라인에서 `apple` (기본 정규표현식)을 `mango` (기본 정규표현식)로 대체하고 결과를 `stdout`에 인쇄:
|
||||
|
||||
`{{명령}} | sed 's/apple/mango/g'`
|
||||
|
||||
- 특정 스크립트 [f]파일을 실행하고 결과를 `stdout`에 인쇄:
|
||||
|
||||
`{{명령}} | sed -f {{경로/대상/스크립트.sed}}`
|
||||
|
||||
- 관련 `w` 함수 또는 플래그가 포함된 명령이 입력 줄에 적용될 때까지 각 파일 열기 지연:
|
||||
|
||||
`{{명령}} | sed -fa {{경로/대상/스크립트.sed}}`
|
||||
|
||||
- GNU [g]정규식 확장 활성화:
|
||||
|
||||
`{{명령}} | sed -fg {{경로/대상/스크립트.sed}}`
|
||||
|
||||
- 모든 입력 라인에서 `apple` (확장 정규표현식)을 `APPLE` (확장 정규표현식)으로 대체하고 결과를 `stdout`에 인쇄:
|
||||
|
||||
`{{명령}} | sed -E 's/(apple)/\U\1/g'`
|
||||
|
||||
- 첫 번째 줄만 `stdout`에 인쇄:
|
||||
|
||||
`{{명령}} | sed -n '1p'`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에서 `apple` (기본 정규표현식)을 `mango` (기본 정규표현식)로 모두 대체하고 원본 파일 덮어쓰기:
|
||||
|
||||
`sed -i 's/apple/mango/g' {{경로/대상/파일}}`
|
26
pages.ko/netbsd/sockstat.md
Normal file
26
pages.ko/netbsd/sockstat.md
Normal file
@@ -0,0 +1,26 @@
|
||||
# sockstat
|
||||
|
||||
> 열린 인터넷 또는 UNIX 도메인 소켓을 나열합니다.
|
||||
> 참고: 이 프로그램은 FreeBSD의 `sockstat`를 NetBSD 3.0용으로 다시 작성한 것입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netstat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.freebsd.org/cgi/man.cgi?sockstat>.
|
||||
|
||||
- IPv4, IPv6 및 Unix 소켓에 대한 수신 및 연결된 소켓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ockstat`
|
||||
|
||||
- 특정 포트에서 특정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Pv[4]/IPv[6] 소켓 [l]istening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ockstat -{{4|6}} -l -P {{tcp|udp|sctp|divert}} -p {{port1,port2...}}`
|
||||
|
||||
- [c]onnected 소켓도 표시하며 [u]nix 소켓도 표시:
|
||||
|
||||
`sockstat -cu`
|
||||
|
||||
- 주소 및 포트의 심볼릭 이름을 해결하지 않고 [n]umeric 출력만 표시:
|
||||
|
||||
`sockstat -n`
|
||||
|
||||
- 지정된 주소 [f]amily의 소켓만 나열:
|
||||
|
||||
`sockstat -f {{inet|inet6|local|unix}}`
|
Reference in New Issue
Block a use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