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s*: add backticks to every io stream (#10442)
* pages*: add backticks to every io stream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@@ -20,7 +20,7 @@
|
||||
|
||||
`7za x {{경로/archive.7z}} -o{{아웃풋/의/경로}}`
|
||||
|
||||
- stdout에 압축파일 추출:
|
||||
- `stdout`에 압축파일 추출:
|
||||
|
||||
`7za x {{경로/archive.7z}} -so`
|
||||
|
||||
|
@@ -20,7 +20,7 @@
|
||||
|
||||
`7zr x {{경로/archive.7z}} -o{{아웃풋/의/경로}}`
|
||||
|
||||
- stdout에 압축파일 추출:
|
||||
- `stdout`에 압축파일 추출:
|
||||
|
||||
`7zr x {{경로/archive.7z}} -so`
|
||||
|
||||
|
@@ -4,7 +4,7 @@
|
||||
> 이것은 당신이 선호 성별, 양극화, 인종 관련, 종교에 대한 고려가 불분명하거나 다른 문구가 아닌 문구를 찾는데 도움이 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get-alex/alex>.
|
||||
|
||||
- stdin으로부터 텍스트 분석:
|
||||
- `stdin`으로부터 텍스트 분석:
|
||||
|
||||
`echo {{His network looks good}} | alex --stdin`
|
||||
|
||||
|
@@ -15,6 +15,6 @@
|
||||
|
||||
`b2sum -c {{filename.b2}}`
|
||||
|
||||
- stdin에서 BLACK2 체크섬 계산:
|
||||
- `stdin`에서 BLACK2 체크섬 계산:
|
||||
|
||||
`{{somecommand}} | b2sum`
|
||||
|
@@ -3,7 +3,7 @@
|
||||
> 코드를 JavaScript ES6/ES7 문법에서 ES5 문법으로 변환하는 변환기입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babeljs.io/>.
|
||||
|
||||
- 지정된 입력 파일을 변환하고 `stdout'으로 출력:
|
||||
- 지정된 입력 파일을 변환하고 ``stdout`'으로 출력:
|
||||
|
||||
`babel {{path/to/file}}`
|
||||
|
||||
|
@@ -11,6 +11,6 @@
|
||||
|
||||
`banner -w {{50}} "{{Hello World}}"`
|
||||
|
||||
- stdin에서 텍스트 읽기:
|
||||
- `stdin`에서 텍스트 읽기:
|
||||
|
||||
`banner`
|
||||
|
@@ -11,10 +11,10 @@
|
||||
|
||||
`base32 --decode {{filename}}`
|
||||
|
||||
- stdin에서 인코딩:
|
||||
- `stdin`에서 인코딩:
|
||||
|
||||
`{{somecommand}} | base32`
|
||||
|
||||
- stdin에서 디코딩:
|
||||
- `stdin`에서 디코딩:
|
||||
|
||||
`{{somecommand}} | base32 --decode`
|
||||
|
@@ -11,10 +11,10 @@
|
||||
|
||||
`base64 --decode {{filename}}`
|
||||
|
||||
- stdin에서 인코딩:
|
||||
- `stdin`에서 인코딩:
|
||||
|
||||
`{{somecommand}} | base64`
|
||||
|
||||
- stdin에서 디코딩:
|
||||
- `stdin`에서 디코딩:
|
||||
|
||||
`{{somecommand}} | base64 --decode`
|
||||
|
@@ -28,6 +28,6 @@
|
||||
|
||||
`bash -e {{경로/대상/script.sh}}`
|
||||
|
||||
- stdin에서 bash 실행하기:
|
||||
- `stdin`에서 bash 실행하기:
|
||||
|
||||
`{{echo "echo 'bash가 실행되었습니다'"}} | bash`
|
||||
|
@@ -19,7 +19,7 @@
|
||||
|
||||
`black --check {{파일_또는_디렉토리/의/경로}}`
|
||||
|
||||
- 파일 또는 디렉토리가 stderr에 배타적 오류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자동 포맷:
|
||||
- 파일 또는 디렉토리가 `stderr`에 배타적 오류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자동 포맷:
|
||||
|
||||
`black --quiet {{파일_또는_디렉토리/의/경로}}`
|
||||
|
||||
|
@@ -11,7 +11,7 @@
|
||||
|
||||
`clamscan -r {{경로/디렉토리}}`
|
||||
|
||||
- stdin 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사합니다:
|
||||
- `stdin` 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사합니다:
|
||||
|
||||
`{{명령어}} | clamscan -`
|
||||
|
||||
|
@@ -12,7 +12,7 @@
|
||||
|
||||
`comm -12 {{파일1}} {{파일2}}`
|
||||
|
||||
- stdin으로 읽어드린 하나의 파일과 나머지 파일의 공통된 줄들만 출력:
|
||||
- `stdin`으로 읽어드린 하나의 파일과 나머지 파일의 공통된 줄들만 출력:
|
||||
|
||||
`cat {{파일1}} | comm -12 - {{파일2}}`
|
||||
|
||||
|
@@ -1,9 +1,9 @@
|
||||
# cut
|
||||
|
||||
> stdin 혹은 파일에서 출력 필드를 자른다.
|
||||
> `stdin` 혹은 파일에서 출력 필드를 자른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gnu.org/software/coreutils/cut>.
|
||||
|
||||
- stdin의 각 라인에 첫번째 16개의 문자를 자르기:
|
||||
- `stdin`의 각 라인에 첫번째 16개의 문자를 자르기:
|
||||
|
||||
`cut -c {{1-16}}`
|
||||
|
||||
|
@@ -31,6 +31,6 @@
|
||||
|
||||
`grep --only-matching "{{검색_패턴}}" {{파일/의/경로}}`
|
||||
|
||||
-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라인에 대한 stdin 검색:
|
||||
-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라인에 대한 `stdin` 검색:
|
||||
|
||||
`cat {{파일/의/경로}} | grep --invert-match "{{검색_패턴}}"`
|
||||
|
Reference in New Issue
Block a use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