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rom 9babed1c75a7b0823ff0448135573c344ad1f17d Mon Sep 17 00:00:00 2001 From: =?UTF-8?q?=EC=BD=94=EB=93=9C=EC=8B=B8=EC=9D=B4?= <81800589+CodePsy-2001@users.noreply.github.com> Date: Thu, 31 Oct 2024 19:14:08 +0900 Subject: [PATCH] dolt*,mysql*,psql,sqlite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442) --- pages.ko/common/mysql.md | 32 +++++++++++++++++ pages.ko/common/mysql_secure_installation.md | 16 +++++++++ pages.ko/common/mysqlbinlog.md | 24 +++++++++++++ pages.ko/common/mysqlcheck.md | 20 +++++++++++ pages.ko/common/mysqld.md | 32 +++++++++++++++++ pages.ko/common/mysqldump.md | 21 ++++++++++++ pages.ko/common/mysqlsh.md | 33 ++++++++++++++++++ pages.ko/common/psql.md | 24 +++++++++++++ pages.ko/common/sqlite-utils.md | 36 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common/sqlite3.md | 16 +++++++++ 10 files changed, 254 insertions(+)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mysql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mysql_secure_installation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mysqlbinlog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mysqlcheck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mysqld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mysqldump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mysqlsh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psql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sqlite-utils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sqlite3.md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mysql.md b/pages.ko/common/mysq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5f9c87d8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mysql.md @@ -0,0 +1,32 @@ +# mysql + +> MySQL 명령줄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데이터베이스에 연결: + +`mysql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` + +-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고, 비밀번호 입력 요청: + +`mysql -u {{사용자}} --password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` + +- 다른 호스트의 데이터베이스에 연결: + +`mysql -h {{데이터베이스_호스트}}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` + +- Unix 소켓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연결: + +`mysql --socket {{경로/대상/socket.sock}}` + +- 스크립트 파일(배치 파일)에서 SQL 문 실행: + +`mysql -e "source {{파일이름.sql}}"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` + +- `mysqldump`로 생성된 백업에서 데이터베이스 복원 (비밀번호 입력 요청): + +`mysql --user {{사용자}} --password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 < {{경로/대상/backup.sql}}` + +- 백업에서 모든 데이터베이스 복원 (비밀번호 입력 요청): + +`mysql --user {{사용자}} --password < {{경로/대상/backup.sql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mysql_secure_installation.md b/pages.ko/common/mysql_secure_installatio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d92eee78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mysql_secure_installation.md @@ -0,0 +1,16 @@ +# mysql_secure_installation + +> MySQL을 보다 안전하게 설정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대화형 설정 시작: + +`mysql_secure_installation` + +- 특정 호스트와 포트 사용: + +`mysql_secure_installation --host={{호스트}} --port={{포트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mysql_secure_installation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mysqlbinlog.md b/pages.ko/common/mysqlbinlo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c0c3bf52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mysqlbinlog.md @@ -0,0 +1,24 @@ +# mysqlbinlog + +> MySQL 바이너리 로그 파일을 처리하는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바이너리 로그 파일에서 이벤트 표시: + +`mysqlbinlog {{경로/대상/바인로그}}` + +-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바이너리 로그의 항목 표시: + +`mysqlbinlog --database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 {{경로/대상/바인로그}}` + +- 특정 날짜 사이의 바이너리 로그에서 이벤트 표시: + +`mysqlbinlog --start-datetime='{{2022-01-01 01:00:00}}' --stop-datetime='{{2022-02-01 01:00:00}}' {{경로/대상/바인로그}}` + +- 특정 위치 사이의 바이너리 로그에서 이벤트 표시: + +`mysqlbinlog --start-position={{100}} --stop-position={{200}} {{경로/대상/바인로그}}` + +- 지정된 호스트의 MySQL 서버에서 바이너리 로그 표시: + +`mysqlbinlog --host={{호스트_이름}} {{경로/대상/바인로그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mysqlcheck.md b/pages.ko/common/mysqlchec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51d066f1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mysqlcheck.md @@ -0,0 +1,20 @@ +# mysqlcheck + +> MySQL 테이블 검사 및 복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테이블 검사: + +`mysqlcheck --check {{테이블}}` + +- 테이블을 검사하고 접근을 위한 인증 정보 제공: + +`mysqlcheck --check {{테이블}} --user {{사용자_명}} --password {{비밀번호}}` + +- 테이블 복구: + +`mysqlcheck --repair {{테이블}}` + +- 테이블 최적화: + +`mysqlcheck --optimize {{테이블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mysqld.md b/pages.ko/common/mysql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094b89f2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mysqld.md @@ -0,0 +1,32 @@ +# mysqld + +> MySQL 데이터베이스 서버 시작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MySQL 데이터베이스 서버 시작: + +`mysqld` + +- 서버 시작 및 오류 메시지를 콘솔에 출력: + +`mysqld --console` + +- 서버 시작 및 로그 출력을 사용자 지정 로그 파일에 저장: + +`mysqld --log={{경로/대상/파일.log}}` + +- 기본 인자와 그 값을 출력하고 종료: + +`mysqld --print-defaults` + +- 파일에서 인자와 값을 읽어 서버 시작: + +`mysqld --defaults-file=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사용자 지정 포트에서 서버 시작: + +`mysqld --port={{포트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mysqld --verbose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mysqldump.md b/pages.ko/common/mysqldum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897ae5b6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mysqldump.md @@ -0,0 +1,21 @@ +# mysqldump + +> MySQL 데이터베이스 백업. +> 데이터베이스 복원에 대해서는 `mysql`을 참조하세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백업 생성 (사용자에게 비밀번호가 요청됨): + +`mysqldump --user {{사용자_명}} --password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 --result-file={{경로/대상/파일.sql}}` + +- 특정 테이블을 백업하여 파일로 출력 (사용자에게 비밀번호가 요청됨): + +`mysqldump --user {{사용자_명}} --password {{데이터베이스_이름}} {{테이블_이름}} > {{경로/대상/파일.sql}}` + +-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여 파일로 출력 (사용자에게 비밀번호가 요청됨): + +`mysqldump --user {{사용자_명}} --password --all-databases > {{경로/대상/파일.sql}}` + +- 원격 호스트의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여 파일로 출력 (사용자에게 비밀번호가 요청됨): + +`mysqldump --host={{IP_또는_호스트이름}} --user {{사용자_명}} --password --all-databases > {{경로/대상/파일.sql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mysqlsh.md b/pages.ko/common/mysqls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0d49e718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mysqlsh.md @@ -0,0 +1,33 @@ +# mysqlsh + +> SQL, JavaScript, Python을 지원하는 MySQL의 고급 명령줄 클라이언트. +> InnoDB 클러스터 및 문서 저장소 컬렉션 관리를 위한 기능 제공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대화형 모드로 MySQL Shell 시작: + +`mysqlsh` + +- MySQL 서버에 연결: + +`mysqlsh --user {{사용자_명}} --host {{호스트_명}} --port {{포트}}` + +- 서버에서 SQL 문을 실행하고 종료: + +`mysqlsh --user {{사용자_명}} --execute '{{sql_문}}'` + +- JavaScript 모드로 MySQL Shell 시작: + +`mysqlsh --js` + +- Python 모드로 MySQL Shell 시작: + +`mysqlsh --py` + +- JSON 문서를 MySQL 컬렉션에 가져오기: + +`mysqlsh --import {{경로/대상/파일.json}} --schema {{스키마_명}} --collection {{컬렉션_명}}` + +- 상세 출력 활성화: + +`mysqlsh --verbose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psql.md b/pages.ko/common/psq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bcfbebd7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psql.md @@ -0,0 +1,24 @@ +# psql + +> PostgreSQL 명령줄 클라이언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데이터베이스에 연결. 기본적으로,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로 포트 5432를 사용하여 로컬 소켓에 연결: + +`psql {{데이터베이스}}` + +- 주어진 서버 호스트에서 주어진 포트로 주어진 사용자 명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, 비밀번호 입력은 생략: + +`psql -h {{호스트}} -p {{포트}} -U {{사용자_명}} {{데이터베이스}}` + +- 데이터베이스에 연결;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함: + +`psql -h {{호스트}} -p {{포트}} -U {{사용자_명}} -W {{데이터베이스}}` + +- 주어진 데이터베이스에서 단일 SQL 쿼리 또는 PostgreSQL 명령 실행 (쉘 스크립트에 유용): + +`psql -c '{{쿼리}}' {{데이터베이스}}` + +- 주어진 데이터베이스에서 파일로부터 명령 실행: + +`psql {{데이터베이스}} -f {{파일.sql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sqlite-utils.md b/pages.ko/common/sqlite-util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ec21ee90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sqlite-utils.md @@ -0,0 +1,36 @@ +# sqlite-utils + +> SQLite 데이터베이스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하기 위한 명령줄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데이터베이스 생성: + +`sqlite-utils create-database {{경로/대상/database.db}}` + +- 테이블 생성: + +`sqlite-utils create-table {{경로/대상/database.db}} {{테이블_이름}} {{id integer name text height float photo blob --pk id}}` + +- 테이블 목록: + +`sqlite-utils tables {{경로/대상/database.db}}` + +- 레코드 삽입 또는 업데이트: + +`{{echo '[ {"id": 1, "name": "Linus Torvalds"}, {"id": 2, "name": "Steve Wozniak"}, {"id": 3, "name": "Tony Hoare"} ]'}} | sqlite-utils upsert {{경로/대상/database.db}} {{테이블_이름}} - {{--pk id}}` + +- 레코드 선택: + +`sqlite-utils rows {{경로/대상/database.db}} {{테이블_이름}}` + +- 레코드 삭제: + +`sqlite-utils query {{경로/대상/database.db}} "{{delete from table_name where name = 'Tony Hoare'}}"` + +- 테이블 삭제: + +`sqlite-utils drop-table {{경로/대상/database.db}} {{테이블_이름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sqlite-utils -h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sqlite3.md b/pages.ko/common/sqlite3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..561838c3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sqlite3.md @@ -0,0 +1,16 @@ +# sqlite3 + +> SQLite 3의 명령줄 인터페이스로, 자체 포함 파일 기반 임베디드 SQL 엔진입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 데이터베이스로 대화형 셸 시작: + +`sqlite3` + +- 기존 데이터베이스로 대화형 셸 열기: + +`sqlite3 {{경로/대상/데이터베이스.sqlite3}}` + +- 데이터베이스에 SQL 문 실행 후 종료: + +`sqlite3 {{경로/대상/데이터베이스.sqlite3}} '{{SELECT * FROM some_table;}}'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