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ultiple pages: format technical tokens (#5119)
Co-authored-by: bl-ue <54780737+bl-ue@users.noreply.github.com> Co-authored-by: Starbeamrainbowlabs <sbrl@starbeamrainbowlabs.com>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
committed by
GitHub

parent
dc690e38eb
commit
a5fe31bc47
@@ -4,7 +4,7 @@
|
||||
> 이것은 당신이 선호 성별, 양극화, 인종 관련, 종교에 대한 고려가 불분명하거나 다른 문구가 아닌 문구를 찾는데 도움이 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get-alex/alex>.
|
||||
|
||||
- `stdin`으로부터 텍스트 분석:
|
||||
- stdin으로부터 텍스트 분석:
|
||||
|
||||
`echo {{His network looks good}} | alex --stdin`
|
||||
|
||||
|
@@ -1,7 +1,7 @@
|
||||
# ansible
|
||||
|
||||
> SSH를 통해 컴퓨터 그룹을 원격으로 관리.
|
||||
> /etc/ansible/hosts 파일을 사용하여 새 그룹/호스트를 추가하십시오.
|
||||
> `/etc/ansible/hosts` 파일을 사용하여 새 그룹/호스트를 추가하십시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ansible.com/>.
|
||||
|
||||
- 그룹에 속한 호스트 목록:
|
||||
|
@@ -7,10 +7,9 @@
|
||||
|
||||
`awk '{print $5}' {{filename}}`
|
||||
|
||||
- 공백으로 구분 된 파일에서 `foo`을 포함한 두 번째 열 출력하기:
|
||||
|
||||
- 공백으로 구분 된 파일에서 "something"을 포함한 두 번째 열 출력하기:
|
||||
|
||||
`awk '/{{something}}/ {print $2}' {{filename}}`
|
||||
`awk '/{{foo}}/ {print $2}' {{filename}}`
|
||||
|
||||
- 공백이 아닌 쉼표를 필드 구분 기호로 사용한 파일에서 각 줄의 마지막 열을 출력하기:
|
||||
|
||||
|
@@ -15,6 +15,6 @@
|
||||
|
||||
`b2sum -c {{filename.b2}}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BLACK2 체크섬 계산:
|
||||
- stdin에서 BLACK2 체크섬 계산:
|
||||
|
||||
`{{somecommand}} | b2sum`
|
||||
|
@@ -10,6 +10,6 @@
|
||||
|
||||
`banner -w {{50}} "{{Hello World}}"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텍스트 읽기:
|
||||
- stdin에서 텍스트 읽기:
|
||||
|
||||
`banner`
|
||||
|
@@ -10,11 +10,11 @@
|
||||
|
||||
`base32 -d {{filename}}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인코딩:
|
||||
- stdin에서 인코딩:
|
||||
|
||||
`{{somecommand}} | base32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디코딩:
|
||||
- stdin에서 디코딩:
|
||||
|
||||
`{{somecommand}} | base32 -d`
|
||||
|
||||
|
@@ -10,10 +10,10 @@
|
||||
|
||||
`base64 -d {{filename}}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인코딩:
|
||||
- stdin에서 인코딩:
|
||||
|
||||
`{{somecommand}} | base64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디코딩:
|
||||
- stdin에서 디코딩:
|
||||
|
||||
`{{somecommand}} | base64 -d`
|
||||
|
@@ -23,7 +23,7 @@
|
||||
|
||||
`bash -e {{file.sh}}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명령 실행:
|
||||
- stdin에서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bash -s`
|
||||
|
||||
|
@@ -3,11 +3,11 @@
|
||||
> 유전자 분석 작업을 위한 도구의 swiss-army knife. BAM, BED, GFF/GTF, VCF 형식으로 데이터를 교차, 그룹화, 변환 및 카운트하는 데 사용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bedtools.readthedocs.io/en/latest/>.
|
||||
|
||||
- sequence의 strand를 기준으로 두개의 파일을 교차하고 결과를 {{path/to/output_file}}의 경로에 저장:
|
||||
- sequence의 strand를 기준으로 두개의 파일을 교차하고 결과를 `path/to/output_file`의 경로에 저장:
|
||||
|
||||
`bedtools intersect -a {{path/to/file_1}} -b {{path/to/file_2}} -s > {{path/to/output_file}}`
|
||||
|
||||
- 외부 조인이 왼쪽인 두개의 파일을 교차, 예시. {{file_1}}에서 각 기능을 보고하고 {{file_2}}와 겹치지 않으면 NULL:
|
||||
- 외부 조인이 왼쪽인 두개의 파일을 교차, 예시. `file_1`에서 각 기능을 보고하고 `file_2`와 겹치지 않으면 NULL:
|
||||
|
||||
`bedtools intersect -a {{path/to/file_1}} -b {{path/to/file_2}} -lof > {{path/to/output_file}}`
|
||||
|
||||
@@ -15,7 +15,7 @@
|
||||
|
||||
`bedtools intersect -a {{path/to/file_1}} -b {{path/to/file_2}} -sorted > {{path/to/output_file}}`
|
||||
|
||||
- 첫 3열과 5열을 기준으로 {{path/to/file}}을 그룹화하여 6열을 요약:
|
||||
- 첫 3열과 5열을 기준으로 `path/to/file`을 그룹화하여 6열을 요약:
|
||||
|
||||
`bedtools groupby -i {{path/to/file}} -c 1-3,5 -g 6 -o sum`
|
||||
|
||||
@@ -23,6 +23,6 @@
|
||||
|
||||
`bedtools bamtobed -i {{path/to/file}}.bam > {{path/to/file}}.bed`
|
||||
|
||||
- {{file_2}}.bed와 가장 가까운 {{file_1}}.bed에서의 모든 기능을 찾고,그들의 거리와 추가 열을 기록 (입력 파일 정렬 필요):
|
||||
- `file_2.bed`와 가장 가까운 `file_1.bed`에서의 모든 기능을 찾고,그들의 거리와 추가 열을 기록 (입력 파일 정렬 필요):
|
||||
|
||||
`bedtools closest -a {{path/to/file_1}}.bed -b {{path/to/file_2}}.bed -d`
|
||||
|
@@ -11,7 +11,7 @@
|
||||
|
||||
`clamscan -r {{경로/디렉토리}}`
|
||||
|
||||
- `stdin` 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사합니다:
|
||||
- stdin 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사합니다:
|
||||
|
||||
`{{명령어}} | clamscan -`
|
||||
|
||||
|
@@ -11,7 +11,7 @@
|
||||
|
||||
`comm -12 {{파일1}} {{파일2}}`
|
||||
|
||||
- `stdin`으로 읽어드린 하나의 파일과 나머지 파일의 공통된 줄들만 출력:
|
||||
- stdin으로 읽어드린 하나의 파일과 나머지 파일의 공통된 줄들만 출력:
|
||||
|
||||
`cat {{파일1}} | comm -12 - {{파일2}}`
|
||||
|
||||
|
@@ -2,6 +2,6 @@
|
||||
|
||||
> Command 명령은 쉘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동일한 이름의 기능, 빌드인 및 별칭을 무시하도록 합니다.
|
||||
|
||||
- ls 별칭이 존재하더라도 문자 그대로 ls 프로그램을 실행:
|
||||
- ls 별칭이 존재하더라도 문자 그대로 `ls` 프로그램을 실행:
|
||||
|
||||
`command {{ls}}`
|
||||
|
@@ -7,14 +7,14 @@
|
||||
|
||||
`cppclean {{프로젝트/의/경로}}`
|
||||
|
||||
- 헤더가 "inc1/" 및 "inc2/" 디렉토리에 있는 프로젝트에서 실행:
|
||||
- 헤더가 `inc1/` 및 `inc2/` 디렉토리에 있는 프로젝트에서 실행:
|
||||
|
||||
`cppclean {{프로젝트/의/경로}} --include-path={{inc1}} --include-path={{inc2}}`
|
||||
|
||||
- 특정 팡리 "main.cpp"에서 실행:
|
||||
- 특정 팡리 `main.cpp`에서 실행:
|
||||
|
||||
`cppclean {{main.cpp}}`
|
||||
|
||||
- "build"디렉토리를 제외한 현재 디렉토리에서 실행:
|
||||
- `build`디렉토리를 제외한 현재 디렉토리에서 실행:
|
||||
|
||||
`cppclean {{.}} --exclude={{build}}`
|
||||
|
@@ -1,8 +1,8 @@
|
||||
# cut
|
||||
|
||||
> `stdin` 혹은 파일에서 출력 필드를 자른다.
|
||||
> stdin 혹은 파일에서 출력 필드를 자른다.
|
||||
|
||||
- `stdin`의 각 라인에 첫번째 16개의 문자를 자르기:
|
||||
- stdin의 각 라인에 첫번째 16개의 문자를 자르기:
|
||||
|
||||
`cut -c {{1-16}}`
|
||||
|
||||
|
Reference in New Issue
Block a use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