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/k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708)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37
pages.ko/linux/kde-builder.md
Normal file
37
pages.ko/linux/kde-builder.md
Normal file
@@ -0,0 +1,37 @@
|
||||
# kde-builder
|
||||
|
||||
> 소스 저장소에서 KDE 구성 요소를 쉽게 빌드.
|
||||
> `kdesrc-build`의 대체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de-builder.kde.org/en/cmdline/cmdline-usage.html>.
|
||||
|
||||
- `kde-builder` 초기 설정:
|
||||
|
||||
`kde-builder --initial-setup`
|
||||
|
||||
- KDE 구성 요소 및 의존성을 소스에서 컴파일:
|
||||
|
||||
`kde-builder {{구성_요소_이름}}`
|
||||
|
||||
- 로컬 코드를 업데이트하지 않고 의존성을 컴파일하지 않으며 구성 요소 컴파일:
|
||||
|
||||
`kde-builder --no-src --no-include-dependencies {{구성_요소_이름}}`
|
||||
|
||||
- 컴파일 전 빌드 디렉토리 [r]efresh:
|
||||
|
||||
`kde-builder --refresh-build {{구성_요소_이름}}`
|
||||
|
||||
- 특정 의존성부터 컴파일 재개:
|
||||
|
||||
`kde-builder --resume-from={{의존성_구성_요소}} {{구성_요소_이름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실행 파일 이름으로 구성 요소 실행:
|
||||
|
||||
`kde-builder --run {{실행_파일_이름}}`
|
||||
|
||||
- 모든 구성된 구성 요소 빌드:
|
||||
|
||||
`kde-builder`
|
||||
|
||||
- 빌드 실패 시 구성 요소 대신 시스템 라이브러리 사용:
|
||||
|
||||
`kde-builder --no-stop-on-failure {{구성_요소_이름}}`
|
16
pages.ko/linux/kde-inhibit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kde-inhibit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kde-inhibit
|
||||
|
||||
> 명령어 실행 중 데스크탑의 다양한 기능을 억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invent.kde.org/plasma/kde-cli-tools/-/blob/master/kdeinhibit/main.cpp>.
|
||||
|
||||
- 전원 관리 억제:
|
||||
|
||||
`kde-inhibit --power {{명령어}} {{명령어_인자}}`
|
||||
|
||||
- 화면 보호기 억제:
|
||||
|
||||
`kde-inhibit --screenSaver {{명령어}} {{명령어_인자}}`
|
||||
|
||||
- VLC를 실행하고, 실행 중 색 보정(야간 모드)을 억제:
|
||||
|
||||
`kde-inhibit --colorCorrect {{vlc}}`
|
36
pages.ko/linux/kdesrc-build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kdesrc-build.md
Normal file
@@ -0,0 +1,36 @@
|
||||
# kdesrc-build
|
||||
|
||||
> KDE 구성 요소를 소스 저장소에서 손쉽게 빌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docs.kde.org/trunk5/en/kdesrc-build/kdesrc-build/index.html>.
|
||||
|
||||
- `kdesrc-build` 초기화:
|
||||
|
||||
`kdesrc-build --initial-setup`
|
||||
|
||||
- KDE 구성 요소와 그 의존성을 소스에서 컴파일:
|
||||
|
||||
`kdesrc-build {{구성_요소_이름}}`
|
||||
|
||||
- 로컬 코드 업데이트 없이, 의존성 컴파일 없이 구성 요소 컴파일:
|
||||
|
||||
`kdesrc-build --no-src --no-include-dependencies {{구성_요소_이름}}`
|
||||
|
||||
- 컴파일 전에 빌드 디렉토리 새로고침:
|
||||
|
||||
`kdesrc-build --refresh-build {{구성_요소_이름}}`
|
||||
|
||||
- 특정 의존성에서 컴파일 재개:
|
||||
|
||||
`kdesrc-build --resume-from={{의존성_구성_요소}} {{구성_요소_이름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실행 파일 이름으로 구성 요소 실행:
|
||||
|
||||
`kdesrc-build --run --exec {{실행_파일_이름}} {{구성_요소_이름}}`
|
||||
|
||||
- 모든 구성된 구성 요소 빌드:
|
||||
|
||||
`kdesrc-build`
|
||||
|
||||
- 빌드 실패 시 구성 요소 대신 시스템 라이브러리 사용:
|
||||
|
||||
`kdesrc-build --no-stop-on-failure {{구성_요소_이름}}`
|
36
pages.ko/linux/kdialog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kdialog.md
Normal file
@@ -0,0 +1,36 @@
|
||||
# kdialog
|
||||
|
||||
> 쉘 스크립트 내에서 KDE 대화 상자를 표시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develop.kde.org/docs/administration/kdialog/>.
|
||||
|
||||
- 특정 메시지를 표시하는 대화 상자 열기:
|
||||
|
||||
`kdialog --msgbox "{{메시지}}" "{{선택_세부_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`예`와 `아니오` 버튼이 있는 질문 대화 상자를 열고, 각각 `0`과 `1`을 반환:
|
||||
|
||||
`kdialog --yesno "{{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`예`, `아니오`, `취소` 버튼이 있는 경고 대화 상자를 열고, 각각 `0`, `1`, 또는 `2`를 반환:
|
||||
|
||||
`kdialog --warningyesnocancel "{{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입력 대화 상자를 열고 `확인`을 누를 때 입력을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kdialog --inputbox "{{메시지}}" "{{선택_기본_텍스트}}"`
|
||||
|
||||
- 특정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대화 상자를 열고 비밀번호를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kdialog --password "{{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특정 드롭다운 메뉴가 포함된 대화 상자를 열고 선택한 항목을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kdialog --combobx "{{메시지}}" "{{항목1}}" "{{항목2}}" "{{...}}"`
|
||||
|
||||
- 파일 선택 대화 상자를 열고 선택한 파일의 경로를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kdialog --getopenfilename`
|
||||
|
||||
- 진행 표시줄 대화 상자를 열고 통신을 위한 D-Bus 참조를 `stdout`에 출력:
|
||||
|
||||
`kdialog --progressbar "{{메시지}}"`
|
28
pages.ko/linux/kdocker.md
Normal file
28
pages.ko/linux/kdocker.md
Normal file
@@ -0,0 +1,28 @@
|
||||
# kdocker
|
||||
|
||||
> 애플리케이션을 시스템 트레이에 쉽게 도킹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user-none/KDocker>.
|
||||
|
||||
- 왼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창을 시스템 트레이로 보내기 위해 커서 표시 (다른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취소):
|
||||
|
||||
`kdocker`
|
||||
|
||||
- 애플리케이션을 열고 시스템 트레이로 보내기:
|
||||
|
||||
`kdocker {{애플리케이션}}`
|
||||
|
||||
- 포커스된 창을 시스템 트레이로 보내기:
|
||||
|
||||
`kdocker -f`
|
||||
|
||||
- 왼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지정 아이콘과 함께 창을 시스템 트레이로 보내기 위해 커서 표시:
|
||||
|
||||
`kdocker -i {{경로/대상/아이콘}}`
|
||||
|
||||
- 애플리케이션을 열고 시스템 트레이로 보내며 포커스를 잃으면 최소화하기:
|
||||
|
||||
`kdocker -l {{애플리케이션}}`
|
||||
|
||||
- 버전 표시:
|
||||
|
||||
`kdocker --version`
|
16
pages.ko/linux/kernel-install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kernel-install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kernel-install
|
||||
|
||||
> 커널 및 initrd 이미지를 `/boot`에 추가 및 제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kernel-install.8>.
|
||||
|
||||
- 커널 및 initramfs 이미지를 부트로더 파티션에 추가:
|
||||
|
||||
`sudo kernel-install add {{커널-버전}} {{커널-이미지}} {{경로/대상/initrd-파일 ...}}`
|
||||
|
||||
- 부트로더 파티션에서 커널 제거:
|
||||
|
||||
`sudo kernel-install remove {{커널-버전}}`
|
||||
|
||||
- 구성되거나 자동으로 감지된 다양한 경로와 매개변수 표시:
|
||||
|
||||
`sudo kernel-install inspect {{커널-이미지}}`
|
20
pages.ko/linux/kexec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kexec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kexec
|
||||
|
||||
> 새 커널로 직접 재부팅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kexec>.
|
||||
|
||||
- 새 커널 로드:
|
||||
|
||||
`kexec -l {{경로/대상/커널}} --initrd={{경로/대상/initrd}} --command-line={{인자들}}`
|
||||
|
||||
- 현재 부팅 매개변수로 새 커널 로드:
|
||||
|
||||
`kexec -l {{경로/대상/커널}} --initrd={{경로/대상/initrd}} --reuse-cmdline`
|
||||
|
||||
- 현재 로드된 커널 실행:
|
||||
|
||||
`kexec -e`
|
||||
|
||||
- 현재 kexec 대상 커널 언로드:
|
||||
|
||||
`kexec -u`
|
36
pages.ko/linux/keyctl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keyctl.md
Normal file
@@ -0,0 +1,36 @@
|
||||
# keyctl
|
||||
|
||||
> Linux 커널 키링을 조작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keyctl>.
|
||||
|
||||
- 특정 키링에 있는 키 나열:
|
||||
|
||||
`keyctl list {{대상_키링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기본 세션의 현재 키 나열:
|
||||
|
||||
`keyctl list {{@us}}`
|
||||
|
||||
- 특정 키링에 키 저장:
|
||||
|
||||
`keyctl add {{타입_키링}} {{키_이름}} {{키_값}} {{대상_키링}}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값을 받아 키 저장:
|
||||
|
||||
`echo -n {{키_값}} | keyctl padd {{타입_키링}} {{키_이름}} {{대상_키링}}`
|
||||
|
||||
- 키에 시간 제한 설정:
|
||||
|
||||
`keyctl timeout {{키_이름}} {{초단위_시간_제한}}`
|
||||
|
||||
- 키를 읽어 16진 덤프로 형식화 (출력 불가 시):
|
||||
|
||||
`keyctl read {{키_이름}}`
|
||||
|
||||
- 키를 읽어 그대로 형식화:
|
||||
|
||||
`keyctl pipe {{키_이름}}`
|
||||
|
||||
- 키를 취소하고 추가 작업 방지:
|
||||
|
||||
`keyctl revoke {{키_이름}}`
|
37
pages.ko/linux/kill.md
Normal file
37
pages.ko/linux/kill.md
Normal file
@@ -0,0 +1,37 @@
|
||||
# kill
|
||||
|
||||
> 프로세스에 신호를 보내는 유틸리티로, 주로 프로세스 중지와 관련이 있습니다.
|
||||
> SIGKILL 및 SIGSTOP을 제외한 모든 신호는 프로세스에 의해 가로채져서 안전하게 종료될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kill>.
|
||||
|
||||
- 기본 SIGTERM (종료) 신호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종료:
|
||||
|
||||
`kill {{프로세스_ID}}`
|
||||
|
||||
- 신호 값과 해당 이름 목록 표시 (`SIG` 접두사를 제외하고 사용):
|
||||
|
||||
`kill -L`
|
||||
|
||||
- 백그라운드 작업 종료:
|
||||
|
||||
`kill %{{작업_ID}}`
|
||||
|
||||
- SIGHUP (연결 끊김) 신호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종료. 많은 데몬이 종료 대신 다시 로드됩니다:
|
||||
|
||||
`kill -{{1|HUP}} {{프로세스_ID}}`
|
||||
|
||||
- SIGINT (인터럽트) 신호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종료.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`Ctrl + C`를 누를 때 시작됩니다:
|
||||
|
||||
`kill -{{2|INT}} {{프로세스_ID}}`
|
||||
|
||||
- 운영 체제에 프로그램을 즉시 종료하도록 신호 (프로세스가 신호를 캡처할 기회가 없음):
|
||||
|
||||
`kill -{{9|KILL}} {{프로세스_ID}}`
|
||||
|
||||
- 운영 체제에 SIGCONT ("계속") 신호를 받을 때까지 프로그램을 일시 중지하도록 신호:
|
||||
|
||||
`kill -{{17|STOP}} {{프로세스_ID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GID (그룹 ID)를 가진 모든 프로세스에 `SIGUSR1` 신호 보내기:
|
||||
|
||||
`kill -{{SIGUSR1}} -{{그룹_ID}}`
|
25
pages.ko/linux/killall.md
Normal file
25
pages.ko/linux/killall.md
Normal file
@@ -0,0 +1,25 @@
|
||||
# killall
|
||||
|
||||
> 프로세스 이름으로 모든 인스턴스에 종료 신호를 보냅니다 (정확한 이름이어야 함).
|
||||
> SIGKILL 및 SIGSTOP을 제외한 모든 신호는 프로세스에서 가로챌 수 있어 깨끗한 종료가 가능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killall>.
|
||||
|
||||
- 기본 SIGTERM(종료) 신호를 사용하여 프로세스 종료:
|
||||
|
||||
`killall {{프로세스_이름}}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신호 이름 나열('SIG' 접두사 없이 사용):
|
||||
|
||||
`killall --list`
|
||||
|
||||
- 종료 전에 확인을 요청:
|
||||
|
||||
`killall -i {{프로세스_이름}}`
|
||||
|
||||
- SIGINT(인터럽트) 신호를 사용하여 프로세스 종료, 이는 `Ctrl + C`를 눌렀을 때 보내지는 신호와 동일:
|
||||
|
||||
`killall -INT {{프로세스_이름}}`
|
||||
|
||||
-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:
|
||||
|
||||
`killall -KILL {{프로세스_이름}}`
|
36
pages.ko/linux/kjv.md
Normal file
36
pages.ko/linux/kjv.md
Normal file
@@ -0,0 +1,36 @@
|
||||
# kjv
|
||||
|
||||
> 하나님의 말씀을 데스크탑에서 바로 확인 가능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bontibon/kjv>.
|
||||
|
||||
- 책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kjv -l`
|
||||
|
||||
- 특정 책 열기:
|
||||
|
||||
`kjv {{Genesis}}`
|
||||
|
||||
- 특정 책의 특정 장 열기:
|
||||
|
||||
`kjv {{Genesis}} {{2}}`
|
||||
|
||||
- 특정 책의 특정 장의 특정 절 열기:
|
||||
|
||||
`kjv {{John}} {{3}}:{{16}}`
|
||||
|
||||
- 특정 책의 장에서 특정 범위의 절 열기:
|
||||
|
||||
`kjv {{Proverbs}} {{3}}:{{1-6}}`
|
||||
|
||||
- 다른 장의 절 범위를 표시:
|
||||
|
||||
`kjv {{Matthew}} {{1}}:{{7}}-{{2}}:{{6}}`
|
||||
|
||||
- 패턴과 일치하는 모든 절 표시:
|
||||
|
||||
`kjv /{{Plagues}}`
|
||||
|
||||
- 특정 책에서 패턴과 일치하는 모든 절 표시:
|
||||
|
||||
`kjv {{1Jn}}/{{antichrist}}`
|
20
pages.ko/linux/knock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knock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knock
|
||||
|
||||
> 방화벽의 특정 포트를 열기 위한 포트 노킹 클라이언트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knock>.
|
||||
|
||||
-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포트 노킹:
|
||||
|
||||
`knock {{호스트명}} {{포트번호}}:{{프로토콜}}`
|
||||
|
||||
- UDP를 사용하여 포트 노킹:
|
||||
|
||||
`knock -u {{호스트명}} {{포트번호}}`
|
||||
|
||||
- IPv4/IPv6 강제 사용:
|
||||
|
||||
`knock {{-4|-6}} {{호스트명}} {{포트번호}}`
|
||||
|
||||
- 연결 오류 및 세부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knock -v {{호스트명}} {{포트번호}}`
|
12
pages.ko/linux/knockd.md
Normal file
12
pages.ko/linux/knockd.md
Normal file
@@ -0,0 +1,12 @@
|
||||
# knockd
|
||||
|
||||
> 포트 노킹을 감지하고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포트 노킹 데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knockd>.
|
||||
|
||||
- knockd 시스템 데몬 시작:
|
||||
|
||||
`knockd -d`
|
||||
|
||||
- 지정된 구성 [f]파일을 사용하여 knockd 실행:
|
||||
|
||||
`knockd -c {{경로/대상/파일}}.configuration`
|
32
pages.ko/linux/konsave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konsave.md
Normal file
@@ -0,0 +1,32 @@
|
||||
# konsave
|
||||
|
||||
> 한 번의 명령으로 Linux 사용자 설정을 저장하고 적용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Prayag2/konsave>.
|
||||
|
||||
- 현재 설정을 프로필로 저장:
|
||||
|
||||
`konsave --save {{프로필_이름}}`
|
||||
|
||||
- 프로필 적용:
|
||||
|
||||
`konsave --apply {{프로필_이름}}`
|
||||
|
||||
- 현재 설정을 프로필로 저장하며, 동일한 이름의 기존 프로필이 있을 경우 덮어쓰기:
|
||||
|
||||
`konsave -s {{프로필_이름}} --force`
|
||||
|
||||
- 모든 프로필 나열:
|
||||
|
||||
`konsave --list`
|
||||
|
||||
- 프로필 제거:
|
||||
|
||||
`konsave --remove {{프로필_이름}}`
|
||||
|
||||
- 프로필을 `.knsv`로 내보내기하여 홈 디렉토리에 저장:
|
||||
|
||||
`konsave --export-profile {{프로필_이름}}`
|
||||
|
||||
- `.knsv` 프로필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konsave --import-profile {{경로/대상/프로필_이름.knsv}}`
|
20
pages.ko/linux/konsole.md
Normal file
20
pages.ko/linux/konsole.md
Normal file
@@ -0,0 +1,20 @@
|
||||
# konsole
|
||||
|
||||
> KDE의 터미널 에뮬레이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docs.kde.org/stable5/en/konsole/konsole/command-line-options.html>.
|
||||
|
||||
- 특정 디렉토리에서 터미널 열기:
|
||||
|
||||
`konsole --workdir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특정 명령을 [e]실행하고 종료 후 창 닫지 않기:
|
||||
|
||||
`konsole --noclose -e "{{명령}}"`
|
||||
|
||||
- 새 탭 열기:
|
||||
|
||||
`konsole --new-tab`
|
||||
|
||||
- 백그라운드에서 터미널을 열고 `Ctrl+Shift+F12`를 누르면 앞으로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konsole --background-mode`
|
24
pages.ko/linux/kpackagetool5.md
Normal file
24
pages.ko/linux/kpackagetool5.md
Normal file
@@ -0,0 +1,24 @@
|
||||
# kpackagetool5
|
||||
|
||||
> K패키지 관리자: Plasma 패키지 설치, 나열, 제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techbase.kde.org/Development/Tutorials/Plasma5/QML2/GettingStarted#Kpackagetool5>.
|
||||
|
||||
- 설치 가능한 모든 패키지 유형 나열:
|
||||
|
||||
`kpackagetool5 --list-types`
|
||||
|
||||
- 디렉토리에서 패키지 설치:
|
||||
|
||||
`kpackagetool5 --type {{패키지_유형}} --install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디렉토리에서 설치된 패키지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kpackagetool5 --type {{패키지_유형}} --upgrade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설치된 플라스모이드 나열 (--global로 모든 사용자에 대해 표시):
|
||||
|
||||
`kpackagetool5 --type Plasma/Applet --list --global`
|
||||
|
||||
- 이름으로 플라스모이드 제거:
|
||||
|
||||
`kpackagetool5 --type Plasma/Applet --remove "{{이름}}"`
|
16
pages.ko/linux/kpartx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kpartx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kpartx
|
||||
|
||||
> 파티션 테이블에서 디바이스 맵 생성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kpartx>.
|
||||
|
||||
- 파티션 매핑 추가:
|
||||
|
||||
`kpartx -a {{디스크_전체.img}}`
|
||||
|
||||
- 파티션 매핑 삭제:
|
||||
|
||||
`kpartx -d {{디스크_전체.img}}`
|
||||
|
||||
- 파티션 매핑 나열:
|
||||
|
||||
`kpartx -l {{디스크_전체.img}}`
|
16
pages.ko/linux/kreadconfig5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kreadconfig5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kreadconfig5
|
||||
|
||||
> KDE Plasma의 KConfig 항목 읽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userbase.kde.org/KDE_System_Administration/Configuration_Files>.
|
||||
|
||||
- 전역 설정에서 키 읽기:
|
||||
|
||||
`kreadconfig5 --group {{그룹_이름}} --key {{키_이름}}`
|
||||
|
||||
- 특정 설정 파일에서 키 읽기:
|
||||
|
||||
`kwriteconfig5 --file {{경로/대상/파일}} --group {{그룹_이름}} --key {{키_이름}}`
|
||||
|
||||
- systemd가 Plasma 세션을 시작하는지 확인:
|
||||
|
||||
`kreadconfig5 --file {{startkderc}} --group {{General}} --key {{systemdBoot}}`
|
8
pages.ko/linux/krfb-virtualmonitor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krfb-virtualmonitor.md
Normal file
@@ -0,0 +1,8 @@
|
||||
# krfb-virtualmonitor
|
||||
|
||||
> 가상 모니터를 생성하고 해당 모니터를 VNC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invent.kde.org/network/krfb>.
|
||||
|
||||
- 가상 모니터 생성:
|
||||
|
||||
`krfb-virtualmonitor --resolution {{1920}}x{{1080}} --name {{모니터_이름}} --password {{비밀번호}} --port {{5900}}`
|
32
pages.ko/linux/kscreen-console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kscreen-console.md
Normal file
@@ -0,0 +1,32 @@
|
||||
# kscreen-console
|
||||
|
||||
> KScreen의 상태를 조회하는 커맨드라인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kscreen-console>.
|
||||
|
||||
- 모든 출력 및 구성 파일을 버그 보고서에 첨부할 수 있도록 표시:
|
||||
|
||||
`kscreen-console bug`
|
||||
|
||||
- KScreen 구성 파일 경로 표시:
|
||||
|
||||
`kscreen-console config`
|
||||
|
||||
- KScreen 출력 정보 및 구성 표시:
|
||||
|
||||
`kscreen-console outputs`
|
||||
|
||||
- 변경 사항 모니터링:
|
||||
|
||||
`kscreen-console monitor`
|
||||
|
||||
- 현재 KScreen 구성을 JSON 형식으로 표시:
|
||||
|
||||
`kscreen-console json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kscreen-console --help`
|
||||
|
||||
- Qt 특정 커맨드라인 옵션을 포함한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kscreen-console --help-all`
|
16
pages.ko/linux/kscreen-doctor.md
Normal file
16
pages.ko/linux/kscreen-doctor.md
Normal file
@@ -0,0 +1,16 @@
|
||||
# kscreen-doctor
|
||||
|
||||
> 화면 설정을 변경하고 조작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invent.kde.org/plasma/libkscreen>.
|
||||
|
||||
-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kscreen-doctor --outputs`
|
||||
|
||||
- ID가 1인 디스플레이 출력의 회전을 오른쪽으로 설정:
|
||||
|
||||
`kscreen-doctor {{output.1.rotation.right}}`
|
||||
|
||||
- ID가 `HDMI-2`인 디스플레이 출력의 배율을 2 (200%)로 설정:
|
||||
|
||||
`kscreen-doctor {{output.HDMI-2.scale.2}}`
|
8
pages.ko/linux/ksvgtopng5.md
Normal file
8
pages.ko/linux/ksvgtopng5.md
Normal file
@@ -0,0 +1,8 @@
|
||||
# ksvgtopng5
|
||||
|
||||
> SVG 파일을 PNG 형식으로 변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invent.kde.org/plasma/kde-cli-tools/-/blob/master/ksvgtopng/ksvgtopng.cpp>.
|
||||
|
||||
- SVG 파일(절대 경로여야 함)을 PNG로 변환:
|
||||
|
||||
`ksvgtopng5 {{너비}} {{높이}} {{경로/대상/파일.svg}} {{출력_파일명.png}}`
|
21
pages.ko/linux/kwrite.md
Normal file
21
pages.ko/linux/kwrite.md
Normal file
@@ -0,0 +1,21 @@
|
||||
# kwrite
|
||||
|
||||
> KDE Desktop 프로젝트의 텍스트 편집기.
|
||||
> 같이 보기: `kat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apps.kde.org/kwrite/>.
|
||||
|
||||
- 텍스트 [f]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kwrite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여러 텍스트 [f]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kwrite {{파일1 파일2 ...}}`
|
||||
|
||||
- 특정 인코딩으로 텍스트 [f]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kwrite --encoding={{UTF-8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특정 줄과 열로 이동하여 텍스트 [f]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kwrite --line {{줄_번호}} --column {{열_번호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32
pages.ko/linux/kwriteconfig5.md
Normal file
32
pages.ko/linux/kwriteconfig5.md
Normal file
@@ -0,0 +1,32 @@
|
||||
# kwriteconfig5
|
||||
|
||||
> KDE Plasma의 KConfig 항목 쓰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userbase.kde.org/KDE_System_Administration/Configuration_Files>.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kwriteconfig5 --help`
|
||||
|
||||
- 전역 설정 키 설정:
|
||||
|
||||
`kwriteconfig5 --group {{그룹_이름}} --key {{키}} {{값}}`
|
||||
|
||||
- 특정 설정 파일에 키 설정:
|
||||
|
||||
`kwriteconfig5 --file {{경로/대상/파일}} --group {{그룹_이름}} --key {{키}} {{값}}`
|
||||
|
||||
- 키 삭제:
|
||||
|
||||
`kwriteconfig5 --group {{그룹_이름}} --key {{키}} --delete`
|
||||
|
||||
- systemd를 사용하여 Plasma 세션이 가능할 때 시작:
|
||||
|
||||
`kwriteconfig5 --file {{startkderc}} --group {{General}} --key {{systemdBoot}} {{true}}`
|
||||
|
||||
- 창이 최대화될 때 제목 표시줄 숨기기 (Ubuntu와 유사):
|
||||
|
||||
`kwriteconfig5 --file {{~/.config/kwinrc}} --group {{Windows}} --key {{BorderlessMaximizedWindows}} {{true}}`
|
||||
|
||||
- KRunner를 Meta(커맨드/윈도우) 글로벌 핫키로 열리도록 설정:
|
||||
|
||||
`kwriteconfig5 --file {{~/.config/kwinrc}} --group {{ModifierOnlyShortcuts}} --key {{Meta}} {{"org.kde.kglobalaccel,/component/krunner_desktop,org.kde.kglobalaccel.Component,invokeShortcut,_launch"}}`
|
Reference in New Issue
Block a user